▲ 홍성장<시민자치부 기자>
지난해 제주도 한 도의원은 기초단체가 연 행사에서 자신의 자리가 낮게 배치된 데 격분해 행사장 직원의 뺨을 때려 물의를 일으켰다. 도의원이 지위가 높은데도 기초의원보다 뒤에 자리를 배치했다는 불만 때문이었다. `내가 누군데’라는 권위의식 탓이었을 것이다.
보복폭행 사건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한화 김승연 회장의 차량번호 뒷자리는 `1001번’이다. 자동차 번호에는 1000번이 없기 때문에 자동차 번호 중 맨 앞번호인 셈이다. 이 역시 자신은 `다른 사람’임을 보여주고 싶은 일종의 권위의식으로 비쳐지고 있다.
광주시의회 의원들이 재보선 당선자인 초선 의원의 자리 배치 때문에 줄줄이 자리를 옮겼다. 빠져나간 의원 자리에 앉으면 될 것이라고 쉽게(?) 생각했지만 그들에겐 초선 의원을 앞줄에 앉히는 관행이 있었다.
이러한 좌석배치도 권위의식의 결과물이다. 그래서 잘못된 관행이다.
신참이 가장 앞줄에 앉고 뒷좌석으로 갈수록 다선인 중진 의원이 앉는 국회의사당 자리배치를 그대로 따랐다.
여기에 구태에 대한 비판은 없었다. 우리 국정이 의사당의 맨 앞, 즉 의장석과 발언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맨 뒷자리 중진 의원석에서 결정된다는 우스갯소리도 자리배치와 무관치 않다.
의원 수가 19명에 불과한 시의회에 굳이 국회까지 들먹이며 문제 삼는 것이 괜한 딴지걸기라 주장할지 모른다.
관점에 따라서는 `당선횟수와 나이 순’이 가장 합리적인 기준이고, 선배나 상사가 뒤쪽에 앉고 후배나 아랫사람은 앞쪽에 앉는 우리사회의 일반적 모습이라 이야기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관행이라며 쉽게 지나치는 `권위의식’은 시민을 무시하고, 시민 위에 군림하려는 잘못된 모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 말이다.
hong@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