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광주시교육청이 요구한 해임안(중징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답= 시교육청 감사 결과가 잘못됐다는 것이 아니라 정관·징계법령을 참조했을 때 중징계 가운데 ‘해임’보다는 ‘정직’이 더 합리적이다.
문= 교육청이 행·재정적인 제재 가한다고 했는데.
답= 공로가 있는 교장을 해임하라고 하는 것은 사립학교 자율성에 옥죄는 것이다.
답변의 주인공은 사학재단인 정광학원 징계위원장이다. 정광학원 징계위원장은 지난 23일 시교육청 브리핑 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징계당사자들이 금품수수나 대가가 전혀 없고, 학교 발전을 위해 선의의 욕심에서 무리하게 법을 위반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또 시교육청이 해임을 요구한 대상자에게 이후 소청심사에서 감경될 것이라는 인식 하에 미리 정직 1개월을 내려놓고 엄정한 징계라고 주장했다. 오히려 두 교장을 감싸듯 했다.
어떻게 이런 답변이 나왔을까 할 정도로 의아스럽다. 교원 채용비리 사건이 두 교장의 개인적인 일로만 치부될 수는 없다. 언론이 무슨 비리가 있는 것처럼 보도하느냐는 식의 이사장의 발언은 더 더욱 바람직스럽지 못했다. 이사장은 채용비리 책임을 전 이사장들에게 돌렸다. 전직 두 이사장이 뜻이 안 맞았다는 것이다. 또 전교조에도 문제가 있다는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 학원 수장이라면 잘못을 인정하고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사죄하는 교육자적 양심을 보여줬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학교 안에서 벌어진 위법한 행위를 공로가 있다고 해서 덮어 둔다면 아이들이 비리를 저질러도 된다는 말과 다를 게 없다.
교직사회는 엄격한 도덕적 기준이 요구되는 곳이다. 미래의 주역인 아이들의 올바른 인격형성이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기 때문이다. 시교육청은 교단의 신뢰를 찾을 수 있는 도덕적 기준이 나올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무딘 칼을 들이대면서 청렴을 강조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이석호 <자치부 기자> observer@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