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이은 폭우로 광주천에 있던 많은 것들이 ‘날아갔다’. 큰 돈 들여 만들어놨던 분수대도 훼손됐고, 산책로 보도블록도 빗물에 쓸려갔다. 광주천 중상류 구간은 범람 위험에 처하기도 했다. ‘터질 게 터졌다’는 게 환경단체 관계자들의 얘기다.
지난 6월 초 광주천 ‘펌핑수’ 개통식에서 박광태 시장은 “광주천에만 오면 발 담그고 놀 수 있게 만들겠다”고 역설했지만, 몇 백억이 들어간 ‘자연형’하천정화사업이 ‘영 아니올시다’이다.
수질은 여전히 그대로고, 폭이 넓은 산책로, 과도한 둔치 포장 등은 수마에 맥없이 꺼지고 패였다. 광주천, 아파 보인다.
왜 이런 상황까지 온 것일까. “하천을 살린 지역을 보면 공무원들이 환경단체, 전문가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요. 그런데 광주시 담당자들은 그런 자세가 안 돼 있어요.” 지역 환경단체 활동가의 답답함이다.
지역 환경 관련 교수들에게서 듣는 이야기도 이와 다르지 않다. 그들은 시 담당자들에게 ‘찬밥’ 신세다.
폭우가 있기 전 광주천 사업 담당자는 “하천을 사람들이 이용하지 않으면 그게 하천입니까.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어야죠. 그리고 꽃도 있고, 음악도 나오면 더 좋은 거 아닙니까”라고 말했다. 그런데 지금 상황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하천은 공원이 아니라 하천이다. 전주천이 ‘생태하천’이 될 수 있었던 건 관이 활동가·전문가들을 인정했고 그들과 함께 파트너십을 이뤘기 때문이다. 하천을 공원으로만 보는 시민들의 ‘민원’만 들어선 안된다. 인공적인 시설물이 아니라 진정 광주천 수질이 좋아지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올 게 자명하다. 시가 전문가에게 귀를 열지 않으면 광주천에는 펌핑수만 빵빵하게 흐를 것이다.
조선 <생활부 기자> su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