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you are not from Korea (or Finland) it may be unusual for you to consider spending a cold Sunday languishing with strangers in a hot room. Even if you are familiar with the Korean bath house (jimjilbang 찜질방) remember there are always new and interesting ways to heat up this winter. This month I was lucky enough to be introduced to a brand new bathing experience on a trip with nine others to a traditional Korean saltwater steam room called a haesujjim (해수찜) .

 The history of haesujjim is long and colorful, much of it centering around the South Jeolla coastline. The steam room which we headed to is located in Hampyeong district, just under an hour's drive from downtown Gwangju. This small area has become popular with visitors from all over Korea who come to enjoy the supposed healing properties of the salt water steam. Thankfully the location has yet to be overcome with tourists and has maintained much of its rural charm in the face of increased commercialization. Set in a tiny village on the windswept coast of the Yellow Sea, the steam room looks more like a ramshackle collection of buildings than a popular tourist destination. Only the hundreds of towels drying on long lines outside give an indication of its true identity.

 After several minutes of being chilled by the sea air, we were ushered into the complex of buildings and handed heavy cotton uniforms to wear inside. Looking much like wide-eyed visitors on a temple stay, we dressed in orange and blue trousers and wrap-around tops and stowed our belongings in lockers just outside the room where we would be spending the next two hours.

 The rooms at the haesujjim are warm, damp and lined with wood, with two pools filled with sea water set into the floor. After we seated ourselves awkwardly against the walls next to a small plastic bowl and towel, men clad in protective gloves strolled in and dumped shovels full of red hot coals into the already steaming water. I jumped to my feet, afraid of being caught by the spitting drops that leapt out of the pool, and was soon told in universal sign language by the friendly lady proprietor to sit down and stop being such a fusspot.

 The hot coals are in fact a mixture of pinewood, sulphur and various herbs thought to have healing properties. The burning mixture heats the salt water to a blistering 80 degrees and fills the room with steam, obscuring the faces of those around you. It is claimed that the salts and minerals in the steam can cure or aid in the treatment of, among other things, skin disorders, nerve pain, arthritis and diabetes. Whatever your beliefs concerning the healing properties of the haesujjim, the experience itself is extremely enjoyable. The heat is not only bearable but rather welcome after the chill of the wind outside. The wooden slats on the floor let in some cool air and the steam shrouds bathers in a crystallising layer of salt which can be crunched between your teeth.

 After the water has cooled a little from actually scalding to merely simmering, bathers can dip their towels into the pools, making sure to hold onto a dry corner as the water is still far too hot to touch directly. The plastic bowls that have been provided are then used to crush out the excess water and the steaming towels can be draped around the body. The thick uniforms provide a buffer against the heat of the water and it's possible, with good company, to lose hours in the steam.

 Sometime later and feeling clean, salty and rather smug, our group left the room in ones and twos to change back into our clothes. There are no showers on the site as it is believed that washing too soon will remove the beneficial layer of minerals that the steam has left on your skin. The prospect of riding home on public transport while smelling distinctly of feet may be less than thrilling, but you will likely feel so relaxed that you won't even notice.

 

 Practicalities

 The sauna pictured and described here is Jupo Seawater Sauna (주포 해수찜) to the west of Hampyeong. The area is renowned for its saunas and there are several scattered around the countryside.

 To get to Jupo haesujjim by public transport take the bus to Hampyeong bus terminal and then the local bus to Jupo Sonbul (주포·손불). If you are in a group then a taxi from Hampyeong should cost no more than 20,000 won and is more convenient than the bus which only runs once an hour. For driving directions search for 주포 해수찜 on Google Maps.

 The steam room costs 30,000 won for every three people and up to ten can fit into a room. This price includes towels, uniforms and lockers and you are welcome to stay in the room for several hours.

 For trips like this and a whole lot more join "Lonely Korea" on Facebook; a group based in Gwangju and run by the wonderful Pedro Kim.

By Anna Corbett

Pictures: Julie Maycock



▶원문해석

겨울의 온기:함평 해수 찜질방 체험기

 한국인이나 핀란드인이 아니라면 추운 일요일에 뜨거운 방에서, 모르는 사람들과 함께 머무르며 추운 일요일을 보내는 걸 생각하기란 쉽지 않을 겁니다. 만약 여러분이 한국식 목욕탕(찜질방)에 익숙할지라도, 겨울을 따뜻하게 보내기 위한 참신하고 흥미로운 방법은 많이 있습니다. 저는 이번 달에 아홉 명의 친구들과 함께 해수찜으로 불리는 해수 한증탕으로 여행을 떠나 운 좋게도 새로운 목욕 체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 전라남도 해안 지대에 집중되어 있는 해수찜은 다채롭고 긴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는 광주 도심에서 차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함평의 한증탕에 머물렀는데, 이 작은 지역은 해수 증기의 효능을 얻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전국에서 찾아오며 유명해졌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이 지역은 높아지는 상업화 바람에도 불구하고, 관광객들에게 묻히지 않고 아직 시골의 매력을 지키고 있었습니다. 서해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닿는 해안의 작은 마을에 위치한 한증탕은 유명한 관광지보다는 금방이라도 쓰러질 듯한 건물들이 모여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오직 긴 빨랫줄 위에 건조시키고 있는 수백 개의 수건만이 이곳의 본모습을 알려주는 표시였습니다.

 우리는 해풍을 맞아 으스스해진 몸을 이끌고 안내를 받으며 건물 안으로 들어섰고 실내에서 입기 위한 두꺼운 면 재질의 유니폼을 받았습니다. 템플 스테이의 호기심 많은 관광객처럼 우리는 주황색과 파란색의 몸을 감싸는 상의와 바지를 입었습니다. 그리고 한증탕 밖의 사물함에 소지품을 넣고 두 시간 동안 해수 찜질을 하였습니다.

 해수 찜질방은 따뜻하고 축축하며 나무가 깔려있었고 바닥으로 향하는 바닷물로 채워진 해수탕 두 개가 있었습니다. 조금 어색했지만 우리 모두 벽에 기대어 앉았고, 그 옆에는 작은 플라스틱 통과 수건이 있었습니다. 이때 보호 장갑을 착용한 남자들이 들어와 빨갛게 달아 오른 뜨거운 숯덩어리를 이미 끓고 있는 물 속에 떨어뜨렸습니다. 저는 불똥이 탕 밖으로 튀어 나올까봐 두려워하며 벌떡 일어섰습니다. 그러자 친절한 여주인은 호들갑 피우지 말고 앉아있으라고 손짓했습니다.

 이 뜨거운 숯은 사실은 소나무, 유황 그리고 치유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다양한 약초의 혼합물입니다. 이 연소하는 혼합물은 해수를 80도까지 올리고 방안을 수증기로 자욱하게 만들어 옆 사람 얼굴이 희미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수증기에 포함된 염기와 미네랄들은 피부질환이나 신경통증, 관절염, 당뇨병 등 많은 질병을 치료할 수 있거나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수찜의 약효를 믿든 그렇지 않든, 해수찜 경험은 그 자체로 매우 즐겁습니다. 해수찜의 열은 견딜만하며 바깥 찬바람을 쐰 후에는 오히려 이 열기를 즐기게 됩니다. 바닥의 목판은 찬 공기를 들어오게 하고, 수증기는 치아로 아작아작 씹을 수 있는 투명한 소금 결정체에 있는 해수찜을 즐기는 이들을 뒤덮었습니다.

 델 것만 같은 높은 온도에서 끓는 상태로 물이 식혀진 후에 이용자들은 수건을 해수탕 안으로 담글 수 있습니다. 물을 직접적으로 만지기에는 아직 너무 뜨겁기 때문에 건조한 가장자리를 잡아야 합니다. 그 다음, 제공되는 플라스틱 용기는 넘치는 물을 퍼내도록 쓰이며 김이 나는 수건으로 몸을 두를 수 있습니다. 두꺼운 유니폼은 물의 열기로부터 완충작용을 해주었고 좋은 친구와 함께 있으면 증기 안에서 몇 시간씩 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얼마 후에 염기는 남아있지만 개운함과 함께 꽤 말쑥한 상태로 우리들은 하나 둘씩 해수찜 방을 나와서 옷을 갈아입었습니다. 해수욕 후 바로 샤워를 하면 수증기로 피부에 형성되었던 미네랄 층이 씻겨 버린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샤워를 할 수는 없습니다. 냄새를 풍기며 대중교통을 타고 집으로 돌아갈 생각을 하니 달갑지만은 않았지만, 해수찜은 여러분이 인식하지 못 할 정도로 안락함을 줄 것입니다.

 

 보충 설명

 여기에 사진과 함께 설명된 곳은 함평의 서쪽에 있는 주포 해수찜입니다. 이 지역은 사우나로 유명하고 시골 지역 곳곳에 사우나가 흩어져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버스를 타고 함평버스 터미널로 갑니다. 그 후 마을버스를 타고 주포·손불로 향합니다. 함께 몇 명끼리 간다면 함평에서 택시를 타고 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택시비용은 2만 원이 안되며 시간마다 한 대만 다니는 버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욱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직접 운전할 때는 구글 맵에서 주포해수찜을 검색하시면 됩니다.

 해수찜방은 세 명 기준 3만 원이며 총 10 명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찜질방 비용에는 수건, 유니폼, 사물함 사용료가 포함되며 몇 시간동안 찜질방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여행에 관하여 알고 싶다면 페이스북 “론리 코리아(Lonely Korea)”에 가입하세요. Pedro Kim이 운영하고 광주에 본거지를 둔 그룹입니다.

글=Anna Corbett

사진= Julie Maycock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