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혈통”

This series of articles will shed light on some Korean myths, folklore, traditions and superstitions. Every country has their own share of beliefs, fact or fiction, and many foreigners living in Korea have not yet heard or understand the basis of various Korean beliefs as they become apparent.
“Pure Bloodlines”
Most people love their country. You’ll hear many reasons why people think their country is the best in the world. Maybe it’s the delicious and healthy food. It could be the beautiful landscape and architecture of the buildings. Perhaps it’s the friendly, good-looking people. Korea possesses such beliefs about its country as well. There is a strong nationalistic feeling in Korea. One of these particular beliefs is about their heritage and ethnic identity. Some Koreans think that as a nation and as a race of people, they are a `pure blooded’ population and Korea has descended from a unified group of ancestors with no racial mixing.
Scientific study has revealed that the earliest settlers on the Korean peninsula may have arrived some 500,000 years ago. Since then, early migrations came from the Siberian plains, then Mongolia and through the Manchurian area of eastern China. DNA sample studies also show strong similarities in traits between southern Koreans and the Japanese.
To truly understand this Korean myth, you have to recall history spanning the past century. In the very early 20th century, the `pure bloodline’ belief came about when historian Shin Chaeho wrote about the Korean `minjok’, which he described as a warrior group who fought off invaders to preserve the Korean ethnic identity hundreds of years prior. He decried that since the minjok movement had been in decline, it was necessary to reinvigorate the cause, especially due to Japanese colonization and assimilation at that time. This belief was a strong way for the Korean people to resist Japanese rule and unite the people during a time of serious national crisis.
As time continued, the `pure bloodline’ myth remained a steadfast ideology. Despite the fact that the beliefs in a pure race declined after the World War II defeat of Germany and Japan, Korea (both North and South) kept on teaching this philosophy. It was used as a political campaign by former presidents Syngman Rhee and Park Chung-hee as a means to make the citizens more obedient and support an anti-Communist agenda. North Korean propaganda declared Koreans as `the cleanest race’. These beliefs continue on today and help shape political and foreign relations. Also, it provides Koreans motivation for national pride and further fuels hope for a reunified Korea.
Times are changing and Koreans are forced to re-assess their beliefs in a single-blood population of people. Korea is increasingly becoming more multi-cultural, as many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couples are calling Korea their home. Multiculturalism was highly publicized in Korea by Hines Ward, American football player and Superbowl MVP. Ward's father is African American and his mother is South Korean. After travelling to Korea, he preached acceptance of mixed-raced children and donated USD $1 million to found the “Hines Ward Helping Hands Foundation” for helping mixed-race children in Korea. But not all Koreans have accepted an international and multi-cultural presence in Korea. Many migrant workers and other immigrants still fac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Xenophobic concerns arise from many Koreans when foreigners (including United Nations committees) attempt to refute these claims about a pure race. Some Koreans believe a challenge to this national belief may dilute the strong national pride of the people and weaken the desire for Korean reunification.
All things considered, believing in single, pure-blooded ethnicity was an integral ideology during the past century, given the many challenges that Koreans faced. Maintaining a sense of nationalistic pride was essential during times of invasion by other forces which threatened the well-being and culture of Korea. Now in the modern era, Korea must deal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here as many Koreans are building families with partners from foreign nations. The number of people moving to Korea and raising multi-cultural children is continually increasing as well. In fact, roughly 15% of children born in Korea are from a mixed marriage. Love and acceptance for non-Koreans living in Korea is something that will hopefully be a widespread reality and, despite those with conservative beliefs, will strengthen the Korean nation both in the eyes of its people and in the rest of the world.
By Stephen Redeker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GIC) is a nonprofit organization helping Korean and international residents to come together and collaborate on community building in Gwangju. GIC runs programs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such as GIC Talk, Korean language class, GIC tour, and the Gwangju homestay program.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a monthly English language magazine produced through the GIC, which is written entirely by Korean and international volunteers. One article will be translated into Korean every two weeks.
For program participation and support, please contact 062-226-2733~4, www.gic.or.kr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국가를 사랑한다. 사람들이 왜 자신의 국가를 세계에서 최고라고 생각하는지 많은 이유를 들을 것이다. 맛있고 건강한 음식이 될 수 있고, 아름다운 경관일 수도 있으며 건축 양식이 될 수도 있다. 혹은 친절하고 근사한 외모를 가진 국민일 수도 있다. 한국 또한 그러한 믿음들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는 국가주의 분위기가 강하다. 이러한 특정 믿음들 중 하나는 한국의 유산과 민족 정체성에 대해서이다. 일부 한국인들은 한국을 단일민족국가로서 바라보며, 한국인들을 `순수 혈통’으로 구성된 인구이며 인종간 결합이 없는 하나로 통일된 집단으로 이루어진 선조의 자손이라고 생각한다.
과학적 연구에 따르면 한반도의 초기 정착자들은 약 50만년 전에 한국에 정착했다고 한다. 그 이후, 초기 이주자들은 시베리아 평원에서 그 다음에는 몽골 그리고 중국 동부의 만주 지역에서 한반도로 옮겨왔다. 또한 DNA 표본 연구를 통하여 일본인들과 한반도 남쪽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의 특징을 비교하면 뚜렷한 유사점들이 존재함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한국의 신화를 실제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난 세기에 걸친 역사를 상기할 필요가 있다. 20세기 초, `순수 혈통’에 대한 믿음은 역사학자 신채호가 한국 `민족’에 대하여 글을 쓴 것에서 기인했다. 그는 한국 민족을 수백 년 전에 한국 민족 정체성을 지키고자 침입자들을 싸워 물리친 전사 집단으로 묘사했다. 그는 특히 당시 일제의 식민지 동화정책 때문에 쇠퇴하고 있는 민족 운동을 비난하며, 다시 이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 믿음은 어려운 국가 위기 동안 한국인들이 일제 통치에 저항하고 한국인들을 결속시키기 위한 강력한 방법이었다.
세월이 지나면서, `순수 혈통’에 대한 믿음은 확고한 이념으로 남게 되었다. 독일과 일본이 제 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이후, 순수한 인종에 대한 믿음이 약화된 사실에도 불구하고, 남한과 북한 양쪽은 이 사상을 계속해서 가르치고 있다. 한국의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은 국민들이 반(反) 공산주의 선전을 좀 더 충실하게 따르고 지지하도록 만드는 수단으로 이 믿음을 정치 운동에 활용했다. 북한은 선전을 이용하여 한국인들은 “가장 깨끗한 민족”이라고 공표했다. 이러한 믿음은 오늘날에도 지속되고 있으며 정치 및 외교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게다가 이 믿음은 한국인들에게 국가적 자긍심을 위한 동기와 더 나아가 통일 국가로서의 한국에 대한 희망을 제공한다.
시대는 변화하고 있으며 한국인들은 순수 혈통을 가진 단일민족에 대한 개념을 재평가해야 할 때가 왔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들과 국제 결혼으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많은 외국인들은 한국을 그들의 조국으로 부르고 있으며 한국은 점점 더 다문화 국가를 향해 가고 있는 중이다. 미식축구 선수이며 2006년 프로 미식축구 전미 결승전 최우수 선수인 하인즈 워드(Hines Ward)를 통해 한국에 다문화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하인즈 워드 선수는 흑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한국을 방문하여 혼혈아의 용인에 대하여 강연을 하였으며, 100만 달러를 쾌척하여 다문화가정의 자녀들과 입양아들을 돕기 위한 '하인즈 워드 복지재단(Hines Ward Helping Hands Foundation)' 을 설립하였다. 그러나 모든 한국인들이 한국에서 국제다문화를 용인해 온 것은 아니다. 많은 이주 노동자들과 이민자들은 여전히 차별과 편견에 직면해 있다. 유엔위원회를 포함하여 외국인들이 순수 혈통에 대한 이러한 주장들을 반박하고자 할 때, 많은 한국인들에게서 외국인 혐오증에 대한 염려가 나타나고 있다. 일부 한국인들은 이러한 국가적 믿음에 대한 도전은 한국인들의 강한 국가적 자긍심을 낮추고 한국 통일에 대한 열망을 약하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한국인들이 직면했던 수많은 난관 등 모든 점에서 미루어 볼 때, 단일민족의 순수혈종에 대한 믿음은 지난 한 세기 동안 한국에서 필수적인 이념이었다. 한국의 안녕과 문화를 위협하는 외부 세력의 침략시기 동안 국가적 자부심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했다. 현대를 살아가는 이제 한국은 한국에 살고 있는 증가하는 다문화 가족들을 생각해야 한다. 왜냐하면 많은 한국인들이 다른 국가 출신의 삶의 동반자를 만나 가족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으로 이주하는 외국인들과 다문화 자녀의 양육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로 한국에서 출생한 약 15%의 아이들은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들이라고 한다. 비록 일각에서는 보수적인 견해들이 존재하지만, 바라건대 한국에서 한국인이 아닌 사람들을 향한 애정과 용인이 보편화된다면 한국인과 나머지 세계인의 눈으로 볼 때 한국의 힘을 키우는 귀중한 일이 될 것이다.
글: Stephen Redeker 번역: 정자연
<참조 자료>
신기욱 `한국 민족주의의 계보와 정치’ (스탠퍼드 대학교 2006년)
배형일 `한국 기원의 구성: 한국 국가 형성 이론에 있어서 고고학, 역사학, 민족 신화의 비판적 재검토’(2000년) 6쪽
신해인 - 2006년 8월 3일자 코리안 헤럴드 기사
아틀라스 한국사 (사계절 출판사)
광주국제교류센터(GIC; Gwangju International Center)는 지역민과 외국인이 함께 소통하는 지역을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하는 비영리단체입니다. 사람과 문화가 함께 만나는 국제교류를 위해, 강좌, 한국어교실, 투어, 홈스테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격주로 연재될 기사는 GIC에서 발행하는 영문월간지 “Gwangju News”에서 발췌한 기사며, 잡지제작의 모든 과정이 내·외국인들의 자원활동으로 이루지고 있습니다. 문의 062-226-273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