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스 외국인 이웃: 하나센터

Wednesday night (July 4) on the banks of the Gwangju Stream, the scene is a strange little slice of America: a makeshift barbecue with burgers and chips and salsa, wandering swarms of mosquitoes, and someone wearing an oversized sequined American flag hat.
This is a group of Fulbright grantees. Every year thousands of U.S. students apply for the Fulbright English Teaching Assistantship (ETA) to teach English and gain cultural knowledge abroad for one year. Hundreds apply to the Korean program and less than 90 are accepted. ETAs in Korea are required to live with a homestay and are strongly encouraged to engage in as many cultural activities as possible.
But tonight isn’t about cultural activities-at least not Korean ones. Tonight, July 4, is about celebrating something: an old tradition from a new point of view; a reflection of one year in Korea having passed.
Di-Hoa Le is reflecting on how she spent her free time.
“I’ve noticed that when I refer to my volunteer work many South Koreans will ask me, `Do they `North Koreans’ look different?’ They’re surprised to learn that they look just like South Koreans.” She laughs softly into the night.
Di-Hoa is talking about volunteering at the Hana Center (하나센터), one of several interconnected government centers whose objective is to help North Korean refugees integrate into South Korean society. There are three such centers in Gwangju, and since October 2011, six Fulbright ETAs have organized and participated in a volunteer program with two of them. They came biweekly on Wednesdays and Saturdays, teaching English for everyday life and offering their North Korean students what are most likely their first interactions with foreigners.
Esther Kim-one of two founders-acknowledges the program’s struggles. “Because we were the pilot program, there were many obstacles and challenges that we faced.” Still, she notes that their program here set the framework for subsequent programs around Korea, such as a similar program in Busan.
Her co-founder Kyle Ferri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uch programs. “Our involvement with these North Korean defectors definitely helps to build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m. We are the first foreigners they usually meet and we are able to put them in a positive environment.” He’s right. Few foreigners are even aware that there are over 500 North Korean refugees in Jeolla-do alone.
“It’s been really rewarding in the sense that North Koreans have been de-mystified to me,” Jacob Owens, another volunteer, relates. “They’re not just the nameless face on propaganda posters or U.S. newspapers when they talk about on the North Korean regime. Now they’re actual people-I can get to know them on a personal level and make the human connection.” Eric Horvath and Anskar Fosse, the final two of six, chime in with agreement.
With their grant year ending most of these ETAs will be moving on from Gwangju, but they hope that their program will continue to thrive. Di-Hoa will take over as program coordinator from September 2012 and encourages anyone interested-foreigners and South Koreans-to contact her and get involved.
It’s undoubtedly been hard work, but none of them regret it. As a second round of burgers sizzle on the grill, Ester sums things up nicely. “I’m sure that the lasting friendships we made together will be worth all the effort and time that’s being committed.”
If you are interested in becoming a Hana Center volunteer, please contact Di-Hoa Le at dihoa.le@gmail.com.
By Leigh Hellman
Photos by Anskar Fosse
지난 7월4일 수요일 밤, 광주천 뚝방은 미국의 단면을 재현해 놓은 것처럼 보였다. 버거, 감자튀김, 소스로 임시 바비큐 파티가 열렸고, 모기떼들이 날아다녔으며, 스팽글로 장식된 성조기가 새겨진 큰 사이즈의 모자를 쓴 사람이 있었다.
이들은 미국의 풀브라이트 장학생(Fulbright Grantee)들이었다. 매년 수천 명의 미국 학생들은 일 년 동안 해외에서 문화적 지식을 얻고 영어를 가르치고자 풀브라이트 영어교육지원(ETA) 프로그램에 지원한다. 그 중 한국 프로그램에는 수백 명의 미국 학생들이 지원하며, 90명 이하의 인원이 선발된다. 한국으로 오는 미국의 풀브라이트 장학생들은 홈스테이에 거주해야 하며 가능한 한 많은 문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권장된다.
그렇지만 지난 수요일 저녁은 한국문화체험이 아닌 축하를 위한 시간이었다.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는 오랜 전통과 한국에서 보낸 지난 1년을 돌아보고 축하하는 자리였다.
Di-Hoa Le 씨는 한국에서 어떻게 자유 시간을 보냈는지 돌아보았다.
“제가 참여하는 자원활동을 언급할 때 많은 남한 사람들은 나에게 ‘그들(북한사람)은 다르게 보이나요?’라고 질문한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북한 사람들이 자신들과 똑같이 생겼다는 걸 알면 남한 사람들은 놀라곤 하죠.” 그녀는 어둠이 깔린 밤 부드럽게 웃었다.
Di-Hoa 씨는 현재 참여하고 있는 하나센터의 자원활동에 관하여 말하고 있던 중이다. 하나센터는 정부에서 위탁 받아 민간에서 운영하는 센터들 중 하나로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광주에는 세 기관이 있는데 2011년 10월 이후, 6명의 풀브라이트 영어교육지원 학생들이 단체를 조직했고 그 중 2명은 자원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들은 격주로 수요일과 토요일에 센터에 와서 일상생활 영어를 가르치고 그들이 외국인과 처음 대화할 때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이 자원활동 프로그램을 설립한 2명 중 1명인 Esther Kim 씨는 프로그램이 힘들었음을 인정한다. “시범 프로그램이었기 때문에, 우리는 많은 난관과 어려움에 직면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부산의 유사한 프로그램처럼 한국 도처에 후속 프로그램을 위한 뼈대를 여기 광주에 세웠다고 언급한다.
공동 설립자인 Kyle Ferrier 씨는 이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북한이탈주민들을 위한 우리의 활동은 미국과 탈북자들 간의 관계가 보다 돈독해지도록 돕죠. 우리는 탈북자들이 보통 처음 만나는 외국인들이고 이들이 긍정적인 환경 안에 있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요. ”
또 다른 자원활동가 Jacob Owens 씨도 이야기를 들려준다 “내가 지니고 있던 북한 사람들에 대한 신비감을 줄여왔다는 측면에서 이 자원활동은 정말 보람 있어요. 그들이 북한 정권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이들은 단지 선전 포스터나 미국 신문에 나오는 이름 없는 얼굴들이 아니에요. 이제 그들은 실재 인물이에요. 나는 개인적으로 북한 사람들을 가깝게 볼 수 있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요.” 6명 중 마지막 2명인 Eric Horvath 씨와 Anskar Fosse 씨는 이에 동의하며 맞장구 친다.
주어진 1년이 지나가면서, 이 풀브라이트 장학생들 중 대부분은 광주를 떠나겠지만, 그들의 자원활동이 계속해서 번영하기를 희망한다. Di-Hoa 씨는 2012년 9월부터 하나센터 자원활동 프로그램의 담당자로 활동하며 남한 사람, 외국 사람 등 이 프로그램에 흥미가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그녀에게 연락하고 참여하도록 장려할 계획이다.
이 자원활동은 의심할 여지 없이 힘든 일이었지만, 참여했던 사람들 중 그 누구도 후회하지 않는다. 두 번째 버거가 석쇠에서 지글거릴 때, Easter 씨는 상황을 훌륭히 요약한다. “우리가 함께 만들었던 지속적인 우정은 그에 수반된 모든 노력과 시간의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만약 하나센터 자원활동에 관심 있다면, Di-Hoa Le 씨 이메일(dihoa.le@gmail.com)로 연락 바랍니다.
글: Leigh Hellman
사진: Anskar Fosse
번역: 정자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