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풍경을 바라보기

▲ 높은 하늘에서.

 September marked the beginning of my second year teaching at a hagwon in Gwangju. This year, one of my goals is to travel and see as much of South Korea as possible. But recently, my method of sightseeing has changed.

 In July, some friends and I were introduced to paragliding in Korea. It all started when a friend of mine turned 25 and said, “I need to jump out of something.” That jump-started the plan and his Korean coworker helped him find Freeman Paragliding School, which is conveniently located in Unam-dong, Gwangju.

 On the day of, it was boiling hot out. We all arrived at a simple, dusty office for our safety presentation. They informed us, in Korean, that we were going to Gochang, a city 40 minutes north of Gwangju, and that ours would be a 640-meter descent. We had a group of 13 people and three trained paragliders. After about 10 minutes of waiting for a translator, and after a 30-minute demonstration, we were on our way.

 When the instructors asked for volunteers to make the first jump, naturally three of us girls raised our hands. We were driven up a mountainous dirt road to our take-off spot. The ride requires a bit of breath holding because of the twisting, narrow turns and crazy speed we have all experienced in Korea, not to mention the anticipation of jumping off a mountain.

 When we arrived to the top, we took in the amazing landscape that stretched out beyond us. Then, our instructors went into working mode, strapping my two friends into their parachutes and helmets. It was everyone’s first time, so we were all going tandem. Other assistants fanned the chute out behind the instructor and my friend, Ally, as she got ready to run.

 Running is the key to your success; you need to run when they yell and then run some more, even if the chute pulls you back. We were basically running until our feet were no longer touching the ground, and even then, most of us kept our legs swinging in the air.

 So began our extra-long day, waiting for 13 people to have their turn. One side tip: don’t go with more than a few people, unless everyone has their own rides home, and wear a body suit to avoid scratches!

 After my liftoff, there was a moment of breathlessness as I scanned the land before me. There were rivers, forests, buildings, roads and even cemetery plots hidden in the nooks of the mountain. The chute is attached to a padding that transforms into a chair when you jump; you go from running to sitting in the air. I was awestruck; my instructor had to remind me to scoot myself as far back in the chair as possible to maintain balance.

 Surprisingly, I didn’t feel afraid or nervous once we got in the air. In the moments up there, several things happened.

 First, my instructor took many pictures and videos of me with the company’s extended camera (which was basically a camera tied onto a pole with a shutter button), which he held out in all different directions. During the video, I decided to tell my twin sister how much I love her all the way from Korea. Ha-ha. Fear definitely has weird ways of getting to you. 

 Second, I managed to have a decent conversation with my instructor in Korean about his personal story. I found out he has been paragliding for more than 10 years, he runs this company with a few of his good friends, and they try to take the jump every weekend.

 Lastly, halfway through my descent, while still a safe distance from the ground, my instructor placed the two handles (which controlled the chute) in my hands and told me to pull. Excitedly, I pulled down hard with my right hand and we swung hard towards the right--oops! He immediately eased my hand up a bit and said, “Only a little.”

 Our landing was soft and thankfully uneventful. The only thing the rider had to do was stretch their legs out in front of them at a 50-degree angle. They land everyone on their backside to prevent broken or sprained legs.

 When I got down I realized my stomach was doing flips. I wondered how long I had held my breath for during the landing. As the day went by, we waited around six hours for everyone else to finish, and it got even more humid and hotter. But, it was nice to sit in the shade of the stadium and watch as our friends dropped out of the sky.

 All in all, it was an amazing experience for only 100,000 won. If you take your own car, it is 80,000 won. Their location changes based on weather; last week we went to Yeonggwang because the recent typhoon caused some damage in Gochang. This company takes gliders out all year round, and apparently winter is the best season to go.

 One last tip: when you get up there, don’t forget to scream! It is to prevent you from throwing up and getting altitude sickness.

 Happy gliding!

 By Jannies Le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GIC) is a nonprofit organization helping Korean and international residents to come together and collaborate on community building in Gwangju. GIC runs programs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such as GIC Talk, Korean language class, GIC tour, and the Gwangju homestay program. This article was originally published in Gwangju News, a monthly English language magazine produced through the GIC, which is written entirely by Korean and international volunteers. One article will be translated into Korean every two weeks.

 For program participation and support, please contact 062-226-2733~4, www.gic.or.kr


 


 올해 9월 광주에서 학원 강사로 일한 지 2년이 되었다. 올해 나의 목표 중 하나는 가능한 한 한국을 많이 여행하고 보는 것이었다. 하지만 최근 나의 관광의 방법은 바뀌었다.

 지난 7월 한국에서 친구들과 나는 패러글라이딩을 소개받았다. 내 친구 중 한 명이 25세가 되면서 “무언가에서 뛰어 내리고 싶어”라고 언급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이 계획과 함께 그의 한국인 동료는 광주 운암동에 위치한 광주 패러글라이딩 프리맨 스쿨을 찾도록 도와주었다.

 찌는 듯한 더운 날, 친구들과 나는 안전 예방 교육을 위하여 간소하고 먼지투성이인 어느 사무실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우리는 광주에서 차로 40분 정도 소요되는 거리에 있는 고창으로 갈 예정이며 640미터 높이에서 하강할 것이라고 설명을 들었다. 우리는 총 13명의 사람들이었고 3명의 훈련 받은 패러글라이더들이 있었다. 10분 정도 통역가의 설명을 듣고 30분의 시연을 본 후에, 우리는 패러글라이딩을 하러 향했다.

 강사들이 첫 번째로 점프를 하고 싶은 이들이 누구일지 물었을 때, 나를 포함하여 3명의 여성들이 자연스럽게 손을 들었다. 우리는 이륙지를 향하여 차를 타고 산악지대의 비포장 도로로 올라갔다. 자동차로 올라가면서는 조금 숨을 참는 것이 필요한데 그 이유는 산에서 뛰어내리는 기대는 물론이거니와 우리 모두가 한국에서 경험한 구불구불하고 좁은 모퉁이와 미친 듯이 빠른 차의 질주 때문이다.

 우리가 산 정상에 도착했을 때, 놀라운 풍경이 펼쳐져 있었다. 강사들은 계속 일하는 모드에 돌입하여, 내 친구 2명에게 낙하산과 헬멧을 끈으로 묶었다. 모두에게 패러글라이딩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서로를 가르쳐주었다. 다른 조수들은 내 친구 Ally가 달릴 준비가 됐을 때, 그녀와 강사 뒤로 낙하산을 펼쳤다.

 달리기는 성공적인 패러글라이딩의 필수 요소이다. 사람들이 소리칠 때 당신은 달려야 하며, 낙하산이 당신을 뒷걸음치게 만들지라도 좀 더 달려야 한다. 우리는 발이 더 이상 땅을 닫지 않을 때까지 달렸고 심지어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공기 중에 발을 굴렀다.

 그렇게 해서 13명의 사람들이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며, 평소보다 긴 여정이 시작되었다.

 조언: 각자가 자신의 집으로 가는 탈 것이 없다면, 많은 사람들과 가지는 말 것이며 긁히는 상처를 피하기 위하여 수영복을 입으면 좋을 것이다.

 이륙 후, 내 앞에 있는 육지를 살펴보며 숨을 참는 순간이 있었다. 강, 숲, 건물, 길 그리고 심지어 산 구석구석에 숨겨져 있는 묘지도 보였다. 낙하산은 패딩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패딩은 패러글라이딩을 하는 사람이 달려서 공기 중에 앉을 때 의자가 된다. 나는 두려움을 느꼈고 강사는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최대한 의자 뒤로 질주하라고 나에게 상기시켰다.

 놀랍게도, 공중에 떠오르자 나는 두려움을 느끼거나 긴장을 하지 않았다. 하늘에서의 짧은 시간 동안, 몇 가지의 일들이 있었다.

 첫째, 강사는 막대기에 부착되고 셔터버튼이 달린 확장카메라로 나의 사진과 영상을 많이 찍었다. 강사는 그 카메라를 모든 다른 방향으로 펼쳤다. 비디오를 찍는 동안 나는 쌍둥이 여동생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말하기로 결심했다. 하하. 두려움은 확실히 마음 깊숙한 곳으로 다가가게 하는 기묘한 방법을 가지고 있는 듯 하다.

 둘째, 나는 한국어로 그럭저럭 강사의 개인적인 삶의 이야기에 대하여 꽤 괜찮은 이야기를 나눴다. 나는 그가 패러글라이딩을 10년 이상 하고 있으며, 그의 좋은 친구들 몇몇과 함께 이 회사를 운영해오고 있으며 매 주말마다 패러글라이딩을 하려고 노력함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하강 반쯤 도중이며 지면으로부터 여전히 안전한 거리에서 강사는 (낙하산을 조절했던) 두 개의 핸들을 나의 손에 쥐어주며 당기라고 말했다. 나는 신이 나서 오른손을 세게 잡아당겼는데 우리는 오른쪽을 향하여 세게 흔들리게 되었다. 이런! 그는 즉시 내 손의 속도를 줄이며 말했다. “아주 조금만요.”

 우리의 착륙은 순조로웠고 감사하게도 무사했다. 패러글라이딩을 탄 사람이 해야 하는 한 가지 일은 50도의 각도에서 다리를 뻗는 것이었다. 강사는 다리가 부러지거나 삐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둔부쪽으로 우리 모두를 착륙시켰다.

 나는 착륙했을 때 속이 뒤틀리고 있음을 깨달았다. 착륙 동안 내가 얼마나 오랫동안 숨을 참고 있었는지 궁금했다. 시간이 지나며, 우리는 모두가 패러글라이딩을 마칠 때까지 6시간을 기다렸고 날씨는 좀 더 습하고 더워졌다. 하지만 경기장 그늘에 앉아서 친구들이 하늘에서 내려오는 것을 바라보는 것은 멋진 일이었다.

 10만원으로 이토록 놀라운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만약 차를 가지고 간다면, 8만원으로 패러글라이딩을 경험할 수 있다. 패러글라이딩 위치는 날씨에 따라 바뀐다. 지난 주 우리는 영광으로 갔는데 최근 태풍으로 고창에 피해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행글라이더를 1년 내내 운영하며, 분명히 겨울은 이를 위한 최고의 계절이다.

 마지막 조언: 소리치는 것을 잊지 마세요! 구토와 고산병을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행복한 글라이딩하세요!

 글쓴이: Jannies Le

 번역인: 정자연


 광주국제교류센터(GIC; Gwangju International Center)는 지역민과 외국인이 함께 소통하는 지역을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하는 비영리단체입니다. 사람과 문화가 함께 만나는 국제교류를 위해, 강좌, 한국어교실, 투어, 홈스테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격주로 연재될 기사는 GIC에서 발행하는 영문월간지 “Gwangju News”에서 발췌한 기사며, 잡지제작의 모든 과정이 내·외국인들의 자원활동으로 이루지고 있습니다. 문의 062-226-2733~4.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