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istory and Use of Ondol: Korea’s Traditional Heating System

 The ondol, Korea’s traditional underfloor heating system, has not only heated the houses of Korea for thousands of years, it has also, by its very use, shaped and landscaped Korean culture and lifestyle as we witness and experience it to this very day.

 The first documented usage of the ondol in Korea’s history has been recorded at an archaeological site in Unggi, Hamgyeongbuk-do, in present-day North Korea. This particular find of the ondol has been dated as far back as the Bronze Age, circa 1000 B.C.E.

 The word ondol, meaning “warm stone” was not always the term used to describe Korea’s traditional underfloor heating system. The term gudeul, which has the same meaning as ondol, has been recorded as the term used colloquially for the modern day ondol in Korea for over two thousand years. Korean historians have recorded the use of ondol in traditional Korean housing, called hanok, as beginning around the end of the 19th century.

 Korean homes use the ondol heating system to warm their houses against the bitter cold that resides in Korea during the winter months. The primary difference between today’s heating systems and the original ondol is that today a homeowner can turn his heating system on by a flick of a switch, whereas traditionally the initial heat would have to be generated by lighting a fire. The principles, however, remain the same. The ondol warms a home by transferring heat via under-floor flues, or passages. This system is unique in its method because it heats a room, or living space, from the outside, as opposed to the typical Western-style heating system, which dictates that the heat should come from inside the room which you are trying to heat. It achieves this, heating a space from outside, through its structure. Each part of its structure provides a specific service; a synergy takes place. Firstly, the heat is created in agungi, a furnace, located in the kitchen, where firewood is burned. The hot air is filtered through horizontal flue passageways that run beneath the room’s floor, connecting the burning furnace to the chimney locat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house. Hot air could then move along the flues, heating the stone, ondol and mud floor. For this process to succeed, two conflicting requirements had to be met. For the fuel to burn well, its smoke had to pass quickly through the flues and go out of the chimney for any heat to generate under the floors. Flues that were straight and short were best for that purpose. For the heat from the fire to warm the floor, however, the hot air and smoke had to stay in the flues as long as possible. To accomplish this, the flues were made to cover the area under the whole floor, thus preventing the hot air from going out through the chimney too quickly. Thus, the heat would circulate the room as much as possible before exiting through the chimney.

 Dealing with a dangerous element such as fire brought its difficulties, such as the potential for the flames coming from a burning furnace to damage the house itself. To overcome such a difficulty, Korea’s ancestors, remarkably, divided the flame from the smoke. The flame would be sent horizontally, against its very nature to rise vertically. This was achieved by having a flue entry located beside the furnace. This was essential as it would not allow the smoke to travel upward, causing the flame to go out too soon. And as the flame would pass through the flue entrance, it would be guided through the network of passages with the smoke.

 Traditionally, the ondol was used primarily for two things, heating a home and cooking. With the latter, when a fire was lighted in the furnace to cook rice for dinner, the heat would not only cook the rice as was expected, but the heat would remain inside the home until the next morning, thus keeping the house warm throughout the night. The smoke, in addition, was put to its maximum usage.

 Traditional Korean houses, hanok, due to being constructed with wood primarily, were extremely prone to insects, fungi, bacteria and other worrying hygienic problems attacking a home. However, by lighting a fire, thus causing smoke, the smoke would become a natural sanitizer for the home, killing germs and bacteria as it filtered through the flues. It is incredible to think that the ancestors of Korea, thousands of years ago, were equipped with the knowledge and wisdom to use one of the elements to its full potential, turning a natural danger, fire, into something that both heats and sanitizes a home all at once.

 We cannot but admire the ondol system, particularly if you come from the “Western world”, where the individual home relies on oil, a natural resource in diminishing supply but in high demand, to heat homes. The ondol also retains more heat than lighting a fire inside the room you intend to heat. It achieves this as the smoke never enters the room, it remains in the flues.

 On a final note, it cannot be stressed enough just how pivotal the ondol system was in landscaping Korean culture and lifestyle. This is evidenced the first time you arrived in Korea and enter a living space or restaurant. The first thing you do is take off your shoes, and more than likely, you sit down on the floor. When you become aware of the ondol heating system, it is logical and makes perfect sense as to why Korean people sit on the floor, for the floor is warmer than the air that is circulating around, thus sitting on a chair would not be as comfortable as sitting on the floor.

 The ondol heating system is distinctly Korean. It dates back to the pre-historic age, and as a consequence it is embedded into Korean folklore and tradition. It is remarkable how intuitive and clever Korean ancestors were when creating such a dynamic piece of architecture. It has also given added comfort to one of Korea’s unique and distinctive cultural traits, using the floor as the social space, and not a higher table and chairs, to come together to talk, eat and share in one another's company. This is, I am sure, something we all treasure about Korea.

 By Andrew Sweeney

 Copy-edited by Bean

 Proofread by Samantha Richter







 한국에서 바닥 아래에 설치하는 난방 설비인 온돌은 수천 년 동안 한국의 주택을 따뜻하게 유지해왔을 뿐만 아니라 그 용도 자체는 오늘날 우리들이 목격하고 경험한 한국의 문화 및 생활양식의 형태를 형성했다.

 한국 역사에서 온돌의 기원은 현재 북한 함경북도 웅기(雄基)지방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됐다. 이는 약 기원전 1000년인 청동기 시대로 추정된다.

 따뜻한 돌이라는 의미의 ‘온돌’ 이라는 단어가 처음부터 한국에서 전통적인 바닥 아래에 설치하는 난방 장치를 의미한 것은 아니었다. ‘온돌’과 동일한 뜻의 ‘구들’이라는 단어는 약 2000년 동안 현대의 온돌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구어였다. 한국의 역사학자들은 19세기 말, 한국 전통 가옥인 한옥에서 온돌의 사용을 기록해 오고 있다.

 한국의 주택은 혹한을 나기 위해 집을 따뜻하게 데우고자 온돌 난방 체계를 사용한다. 오늘날에는 스위치를 켜기만 해도 난방을 할 수 있지만, 본래의 온돌은 열을 내기 위해 불을 지펴야 했다는 것이 현대와 전통 난방 체계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하지만 작동 원리는 그대로다. 온돌은 바닥 아래에 설치된 관을 통하여 열을 전달함으로써 집을 따뜻하게 만든다.

 이러한 난방 방식은 외부에서 거주지를 따뜻하게 한다는 점에서, 내부에서부터 가열을 하는 서양식의 방식과 비교해 특별하다. 온돌은 고유의 방식으로, 따뜻하게 하고자 하는 방 외부의 공간을 데움으로써 방을 따뜻하게 한다. 온돌 각 부분은 각자 특정한 역할을 하고 이 부분들의 조화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첫째, 부엌에 있는 아궁이에서 장작을 태움으로써 열을 발생시킨다. 이 곳에서 만들어진 뜨거운 공기는 방 바닥 아래를 가로질러 아궁이와 반대편에 위치한 굴뚝을 연결하는 가로 연관(聯關)을 통과하고, 그 과정에서 온돌과 진흙으로 구성된 바닥을 따뜻하게 만든다. 이 과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상반된 조건이 갖춰져야 한다. 연료가 잘 타기 위해서는 연기가 연관을 빠르게 통과해서 굴뚝으로 나가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곧고 짧은 연관이 가장 좋은 해결책이다. 하지만 불을 통해 생성된 열이 바닥을 데우기 위해서는 뜨거운 열과 연기가 연관에 최대한 오래 머물러야 한다. 이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기 위해서, 연관은 바닥 아래 공간 전체를 포함하도록 뜨거운 공기가 굴뚝 밖으로 너무 빨리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열은 굴뚝을 통과하기 전까지 최대한 많이 방을 순환하게 된다.

 온돌의 위험요소가 있다면, 아궁이에서 불이 번져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이었다. 이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해결하기 위해 놀랍게도 한국의 선조들은 불과 연기를 분리시키는 방법을 선택했다. 세로로 타오르려는 불의 특성과 다르게 불을 가로로 보내는 방식을 택하며, 연관의 입구를 아궁이 옆에 설치했다. 즉, 연기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을 빨리 꺼지도록 하는 필수적인 구조였다. 그리고 불꽃은 연관의 입구를 통과하면서 연기와 함께 관을 통하여 이동했다.

 전통적으로, 온돌은 두 가지 목적을 위해 사용되었다. 주택의 난방과 요리를 위해서다. 후자의 경우, 밥을 짓기 위해 아궁이에 불을 피우면 그 때 발생된 열은 요리뿐만 아니라 온돌설비를 통해 다음날 아침까지 집을 따뜻하게 했다. 연기 또한 최대한 유용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한국 전통 가옥인 한옥은 주로 나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벌레, 곰팡이, 박테리아 그리고 다른 위생적인 문제들에 노출되어 있었다. 그러나 아궁이에 불을 지핀 다음 만들어지는 연기가 연관을 통해 이동하며 천연 살균작용을 함으로써 위생상의 많은 부분이 해결될 수 있었다. 한국의 선조들이 수천 년 전부터 4대 원소 중 하나인 불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어 집을 난방하고 동시에 살균까지 하는 지식과 지혜를 지니고 있었다는 점이 놀랍다.

 수요가 높으며 매장량이 줄어들고 있는 기름을 사용해서 난방을 하는 ‘서양’에서 온 사람들은 이 온돌 방식에 감탄할 수밖에 없다. 온돌 체계는 연기가 집 안에 들어오는 일 없이, 집 안에서 불을 때우는 것 보다 더욱 많은 열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온돌 체계가 한국 문화 및 생활방식의 풍경을 형성했다는 점에서 볼 때 한국에서 온돌 체계의 중추적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한국에 처음 방문해서 온돌의 영향력을 느끼고자 한다면, 주거공간이나 음식점에 들어가면 바로 알 수 있다. 처음 할 일은 신발을 벗고 아마 십중팔구 바닥에 앉는 일이 될 것이다. 온돌 체계를 알게 된다면 한국인들이 바닥에 앉는 것이 논리적으로 완벽하게 이치에 맞는다고 생각할 것이다. 바닥 아래의 공기가 공간 속 공기보다 더 따듯하기 때문에 의자에 앉는 것은 바닥에 앉는 것만큼 편하지 않기 때문이다.

 온돌 난방 체계는 한국의 고유한 난방 방식이다. 온돌의 역사는 선사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온돌은 한국의 민속과 전통문화에 내재되어 있다. 이 역동적인 건축학 설계를 창조해낸 한국의 선조들이 얼마나 깊은 통찰력과 현명함을 지녔는지 생각하면 대단히 놀라운 일이다. 온돌은 사람들이 높은 식탁과 의자 대신 바닥에 모여 앉아 음식을 먹고 대화를 나누며 서로의 곁에서 함께 하는 사회 공간을 가능하도록 이끌었으며, 한국 고유의 뚜렷한 문화적 특징에 편안함을 더했다. 외국인으로서 바라보건대, 바로 이 점이 우리 모두가 한국을 생각할 때 소중하게 생각하는 중요한 특징이라고 확신한다.

 글쓴이: Andrew Sweeney

 번역: 강용구

 감수: 정자연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