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립미술관

There is always a balance between the young and old, between innovation and experience. For the next two months, the Gwangju Museum of Art (GMA) will be exploring this dynamic as they try and push the viewer to recognize that despite remaining years apart, nothing ever really changes. We are victims (or champions) of the human condition and even as time passes on, everything turns out to be nothing really new. Inherently, we have all been there before.
Last week marked the opening of two new exhibits at the Gwangju Museum of Art that find the balance between the old and the new with a life retrospective and an emerging artist exhibition. The retrospective Paek Youngsu: 70 Years in Paintings (백영수 회화 70년) features 70 years of artwork by the legendary Korean artist, Paek Youngsu (백영수). His simple, abstract portraits center around themes of home and family in a style that has become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new realism.”
On the other side of the fence, or rather in the case of the GMA, on the floor below, is the 12th Ha Jung-woong Young Artists Invitation Exhibition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 “빛2012”) which features the work of seven contemporary, emerging artists from all over Korea. The pieces all have a sense of urgency and self-reflection as they echo the world we live in. While Paek shows us the world he lived through, the contemporary exhibition shows us a reflection of our world and the many ways to see it.
Together, the pieces show the then and now; but more importantly, they show that the then and now are not so different after all. The human experience never changes; the world the human experience creates does.
Walking through the Paek exhibition traces one man’s 70-year cultivation of humanity. This exhibition is Paek’s first solo exhibition since returning to Korea in 2011. For the past 35 years he has been living and making art in Paris. Paek studied art at the Pacific College of Art in Tokyo and the Osaka College of Art in Japan. It was there that he refined his craft before moving to Mokpo in 1945.
For a short time he worked to help found an art department at Chosun University here in Gwangju, but he soon left to live as a recluse at the Nine-storied Monastery of Hwaeomsa in Gurye, near Jirisan. It is this time of self-reflection that one can see reflected in the works of Paek Youngsu. His paintings feature the reoccurring face of contentment present on each of his subjects. They tilt their heads to the side, possibly mimicking the reclining Buddha, calm, collected and content in their present moment, in the simplest places, doing the simplest of tasks.
Paek was in Seoul when the Japanese occupation ended in Korea, and the artists began taking to the tea-houses to interact, create and respond freely. Paek describes Seoul’s recapture in the 1950s as a changed world: “Once all the hiding, running, being taken and being shot went away, new freedom, new movements and new activities unfolded as high and blue as the autumn sky.”
Throughout the 1950s and 1960s, Paek continued to refine and redefine his direction as an artist and he eventually settled in France to live and work in 1977. The majority of the pieces on display at the GMA are taken from this period in Paek’s life. While some sketches and early works from the 1950s and 1960s can be seen, we are mostly met by that one, content, tilted face that dominates all of Paek’s art throughout his time in France. His paintings are simple impressions of family life. Often his subjects, a mother and child, are simply resting in each other’s presence. The child is often wearing nothing at all or the clothes are simply omitted from the drawings all together.
We see Paek’s content face staring back at us in each painting with slightly different props and settings to give it context, but it is the face alone that stands out. This is the essence of Paek’s work. It is simple, and it delicately pushes us to remember and recall what family is to us. Who is the mother or the child that we find this comfort? The paintings show a simple life that Paek Youngsu never seems to have had. It is as if his paintings are love and contentment personified more than personal images from his life. They are moments of love he remembers not as photographs, but rather, as the essence of what true happiness is.
As the paintings progress into the contemporary, we see Paek simplify his art more and more. The pieces on display from 2011 and 2012 are little more than shapes and empty space. In fact, an interesting comparison can be made between Paek’s contemporary works and the works of Lee Ufan still on display on the third floor of the GMA. The series Nude by Paek Youngsu that came out in 2011, pictures parts of his subjects that are simplified to shapes resembling little more than fruit.
It is so fascinating to see the life’s work of one man (who's still creating) in one room. You can really see a return to simplicity that Paek, now in his 90s, is in the process of. We all grow old and we all die. The works of Paek shows that all we really have in the end is our moments of happiness. We are simple creatures at our core that need each other more than anything else.
The works of Lee Ufan on the third floor of the GMA are part of the tremendous amount of works donated to the museum by Ha Jung-woong. The museum currently holds 2302 pieces of art in the Ha Jung-woong Collection (the third floor gallery). In recognition of the generosity of Ha, the GMA, along with Ha, choose six or seven artists each year to take part in an exhibition to display emerging contemporary talents from all over Korea. This year marks the 12th annual show.
The pieces in the exhibition range from paintings, to mixed media, to installation, to sculpture. While the works of Paek represent a study of a life, the contemporary art works convey a sense of urgency and restlessness that can only be found in youth. Each of the seven artist featured takes a very different approach to addressing what the human condition means in the 21st century. There is a boat sinking in a pool of red, an homage to the glory of simple hand tools and works devoted to the ominous, pessimistic message: “Life is so long, but there is nothing to do. The world is so big, but there is nowhere to go.” One of the curators at the museum, Lim Jong-young (임종영) was quick to add “… except Gwangju Museum of Art” to the end of that last one.
For me personally, the works of two artists really stood out: a series of paintings by Lim Nam-jin (임남진) and a series of sculptures by Song Sung-jin (송성진). The paintings by Lim are subject paintings that seek to take a picture of something without forcing any sort of intention upon the subject. The majority of the paintings on display feature subjects painted in a style inspired by Goryo Buddhist paintings that can be seen on the sides of the temples throughout Korea. The works show love, compassion and empathy for all the sentient human beings Lim shares her life with.
The subjects of Lim’s paintings are detailed renderings of the people who make up modern society at their best and their worst. She comments on what it means to be a modern Korean, carefully interplaying her subjects with ancient images and celestial entities. Her painting “Genre Painting III” establishes this connection with a spirit dominating the middle of the painting while life happens all around him. Children eat kimbap, a woman pictures herself as slender and beautiful, and a boy steps off of a roof blindfolded. She does not disown, judge or correct life as she sees it; rather she celebrates it as a beautiful, colorful tapestry that is simply trying.
In the spirit of Lim’s celebration of life, Song brings two beautifully detailed landscapes to the exhibition. Both of his works center on the way we physically live. His sculpture “Tower and Palace” shows the rush of people to live the same as everyone else. The subject of his sculpture shows people living wall to wall in houses underneath a cloud city of high-rises up above. Surrounding the houses is a spattering of farm houses filled with plants and seeds. In a final corner before exiting the galleries is a piece called “Urban Development.” It is one piece that should not be missed: a picture of a certain beauty that comes out of so much destruction.
The two exhibits are on display now at the GMA. Paek Youngsu: 70 Years in Paintings is on display until February 24th and the 12th Ha Jung-woong Young Artists Invitation Exhibition is on display until February 17th. The museum is located in Jungoe Park across from the Biennalle Exhibition Hall. It is a beautiful museum and the two exhibitions together take about two hours to see thoroughly. Spend a cold Saturday embracing the wonderful artwork available in Gwangju and don’t forget, the more things change, the more things stay the same.
The author would like to thank Lim Jong-young (임종영) and Park Kye-yeon (박계연) for their insight, company and tour through the exhibitions.
By Adam Hogue
노(老)와 소(少), 그리고 혁신과 경험의 사이에는 항상 균형이 존재한다. 광주시립미술관은 방문객들로 하여금 세월이 많이 흐를지언정 실제로 바뀌는 것은 없음을 보여주기 위해 신(新)·구(舊)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한다.
신·구의 조화를 기획한 광주시립미술관은 전설의 예술가의 회고전과 신인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한 청년작가초대전을 열었다. 백영수 화백의 회고전인 ‘백영수 회화 70년’ 전시회는 한국 근현대미술의 전설이라 불리는 백영수 화백의 작품들을 전시하는데, 그는 국내‘신사실파’그룹에 참여한 화가이며 추상적인 화법(畵法)으로 집과 가족을 화폭에 주로 담는다.
다른 쪽에는 한국 전역에서 초대받은 신인 현대 작가 7명의 작품, 하정웅 청년작가초대전 ‘빛2012’를 전시회가 있다. 이 전시회의 작품들은 우리가 사는 세상의 반사상으로써, 긴박함과 자아성찰을 담고 있다. 백 화백의 작품들은 그가 살아온 세계를 우리에게 보여주지만 이 7명의 청년작가들의 작품들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다른 각도로 보여준다.
백 화백의 작품들과 청년작가들의 작품들은 함께 ‘그 때 그 시절’과 ‘지금’을 보여준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 두 전시는 결국 과거와 현재가 많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인간이 경험하는 것은 많이 바뀌지 않지만 인간의 경험이 만들어 가는 세계는 많이 바뀐다는 것을 말해준다.
백영수 화백의 작품이 전시된 갤러리를 걸으면, 그의 한 개인으로서 70년을 되짚어 볼 수 있다. 이번 전시회는 그가 2011년에 한국에 돌아 온 후 처음으로 갖는 단독 전시회이다. 그는 지난 35년 동안 파리와 이탈리아에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했었고 일본 오사카 미술학교에서 서양화를 공부했다. 그는 1945년 목포로 귀국하기 전 까지 그의 미술기법을 정교화 하는데 힘썼다.
그는 조선대학교가 미술대학을 설립하는데 도왔으나, 곧 구례 지리산 근교에 있는 화엄사에서 은둔생활을 시작했다. 이 시간 동안의 성찰은 그의 작품 세계에서 잘 묻어난다. 백영수 화백의 작품에는 만족한 얼굴을 한 사람들이 계속해서 등장하는데 그들은 소박한 공간에서 단순한 작업들을 한다. 그들은 마치 누워있는 부처를 상징하기라도 하듯이 머리를 약간 옆으로 기울인 채 차분함과 침착함 그리고 현재에 대한 만족을 보여준다.
백 화백은 해방 후 격동의 시대와 6·25전쟁을 겪으면서 서울의 예술가들과 찻집에서 교류하며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창작을 했다. 백화백은 1950년 서울 탈환이 세상을 뒤바꾼 사건이라고 설명했다. “도망가거나 숨거나 끌려가서 총을 맞는 일이 사라진 후 새로운 자유, 새로운 움직임이 파랗고 높은 가을하늘처럼 펼쳐졌다”고 했다.
1950년대에서부터 1960년대까지 백화백은 예술가로서 자신의 예술적 방향을 끊임없이 수정하고 재정립했고 마침내 그는 1977년 프랑스에 정착했다. 광주시립미술관에 전시된 대부분의 작품들은 이 시기에 백영수 화백이 그린 작품들이다. 그의 1950년대와 1960년대 작품들도 하나둘 보이기는 하지만 이번 전시회에서는 그의 작품 특유의 만족한 표정의 갸우뚱한 얼굴이 대부분이다. 그의 회화(繪畵)들은 가정생활의 소박한 서술이다. 그의 주체들은 어머니와 아이가 서로에 의지해 쉬고 있는 모습인 경우가 많다. 발가벗은 아이가 등장하거나 회화 내에 옷 자체가 아예 등장하지 않는 경우도 더러 있다.
백화백의 많은 그림에 평안한 표정을 지은 약간 갸우뚱한 얼굴은 여러 가지 다른 소재들과 함께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항상 이 얼굴들이 눈에 가장 띈다. 바로 이 얼굴들이 백영수 화백의 작품의 근본이기 때문이다. 이 소박한 얼굴은 우리들에게 가족이 무엇인가 되새기게 하며, 감성을 섬세하게 부추긴다. 백화백의 작품들은 그가 가지지 못 했었던 소박한 일상을 보여주는 듯하다. 바꾸어 말하면 그의 작품들은 그의 일상에서의 나온 형상들이 아닌 사랑과 만족을 상상하며 표현한 것처럼 보인다. 그의 작품은 형상으로 기억하는 사랑의 순간이 아닌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 감성으로 표현한다.
그의 화풍은 시간이 흐를수록 좀 더 간소하게 변화한다. 2011년부터 2012년에 완성한 작품들은 비어있는 공간에 간단한 모양 몇 개에 불과할 지경이다. 2011년에 완성한 누드 시리즈의 경우 몇 개의 모양이 과일의 집합체처럼 보일 정도로 간단하다.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한 작가의 회고전을 한 곳에서 모두 볼 수 있다는 것은 대단히 좋은 기회이다. 관람객들은 현재 90대에 접어든 백영수 화백의 작품이 소박함, 간소함으로 돌아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우리는 모두 나이가 들고 죽는다. 백화백의 작품들은 우리의 행복이 유한함을 보여준다. 그의 작품은 우리의 핵심적으로 단순하며 다른 무엇보다 서로 함께 존재하는 것이 필요한 생물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시립미술관은 하웅정 씨의 2302점 예술작품들을 3층 갤러리에서 전시하고 있다. 광주시립미술관 3층에 전시된 이우환의 작품들은 하정웅씨(광주시립미술관 명예관장)가 시립미술관에 기부한 많은 작품들 중 일부이다. 하웅정씨고마움에 보답하고자 매년 예닐곱 명을 촉망 받는 미술인재를 발굴하여 전시 기회를 부여하고 있는데 금년이 12번째 연례전시회다.
이 연례전시회의 작품들은 일반회화부터 혼합 매체를 사용한 예술, 설치미술, 그리고 조각까지 다양하다. 백영수 화백의 작품들이 인생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다면 이 초대된 작가들의 작품들은 젊은이들에게서만 느낄 수 있는 열정과 실험 정신을 전달한다. 7명의 예술가들은 21세기 사회 구성원으로서 무엇이 필요한지 여러 가지 시각에서 예술세계를 접근한다.
=개인적으로 두 명의 예술가들의 작품들이 나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임남진 작가의 회화와 송성진 작가의 조각 전시들이 그것들인데 임 작가의 회화는 소재를 의도와 목적을 철저히 배재한 채로 최대한 중립적으로 담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임작가의 대부분의 작품들은 한국 내 사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고려시대 불교 회화에서 영감을 받은 화법으로 우리 일상의 다양한 형상들을 새롭게 표현한다. 그녀의 작품들은 자신의 일생을 공유한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 연민, 그리고 동정을 보여준다.
임 작가는 현대인들이 살아가며 보이는 최고와 최악의 모습을 상세하게 담아낸다. 그녀는 작품의 주체를 고대의 이미지 및 천상의 존재들과 상호작용 시킴으로써 이 시대에서 한국인으로 살아가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제시한다. 임 작가의 회화 중 ‘풍속도 III’은 중앙을 지배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영적인 존재와 그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생명의 모습을 이용하여 현대 한국인으로써 산다는 것의 의미와 고대의 이미지 및 천상의 존재 사이의 관계를 부각시킨다. 중앙의 영적 존재 주변에는 김밥을 먹는 아이들, 자신을 날씬하고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여자, 그리고 눈가리개를 하고 지붕 위에서 떨어지려는 남자아이가 있다. 임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인생을 판단하거나, 거부하거나, 고치려하지 않고, 인생이라는 이름의 아름답고 다채로운 태피스트리를 그녀에게 보이는 그대로 표현한다.
임 작가의 생명의 찬미에 입각하여 송성진 작가는 아름다고 섬세하게 표현된 두 개의 공간을 보여준다. 두 작품 모두 우리들이 물리적으로 어떻게 사는지를 중심적으로 다룬다. 그의 조각 ‘타워펠리스&다름을 짓다’는 다른 사람에게 뒤쳐지지 않기 위해 사는 사람들의 급히 서두르는 모습을 묘사한다. 이 작품에서 사람들이 고층빌딩이 있는 구름 도시 아래에 서로 다닥다닥 붙어사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 주변에는 풀과 씨앗으로 가득 찬 농가들이 여기저기 흩어져있다. 갤러리의 출구에 바로 옆에 전시된 ‘도시 성장’이라는 작품은 절대 놓쳐서는 안 되는 작품이다. 임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파괴적인 경쟁을 통해 아름다움이 탄생하는 것을 보여준다.
광주시립미술관은 비엔날레 전시회장의 뒤편 중외 공원에 위치해있다. 이곳에서는 놓쳐서는 안 되는 두 전시회가 진행 중인데 백영수 화백의 회고전 ‘백영수 회화 70년’은 2월24일까지 전시되고 하정웅 청년작가초대전 ‘빛2012’는 2월17일까지 한다. 이 두 전시회는 천천히 둘러볼 경우 2시간 정도 걸린다. 추운 토요일을 투자하여 광주에서 접할 수 있는 이 멋진 예술작품들을 감상해보는 건 어떨까.
마지막으로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많은 것이 변할수록 그만큼 많은 것이 변화하지 않는다.
글·그림 Adam Hogue
번역 강용구·감수 김민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