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양궁 금메달리스트, 기보배

Olympic Gold medalist Ki Bo-bae
On a hot day last summer, in a crowded stadium in London, the Republic of Korea won its staggering seventh consecutive gold medal in women's team archery. Just a few days later, a young lady from that winning team beat Mexico's A?da Rom?n in a head-to-head shootout to take the individual women's gold back to Korea for the seventh time in the last 20 years. That woman was Ki Bo-bae, and she shares our home here in the city of Gwangju. These days, she can't walk down its streets without being recognized by proud Koreans.
But she still makes time for her fans - both native and those originating from far-flung locales. So much so that Gwangju News was recently given the chance to meet this hero of the bow, in an interview conducted at the Yeomju sports center.
Ki is by no means resting on her laurels. Catching up with her on a break from heavy training, we took note of Ki's gentle voice and lithe, strong hands. Her eyes stand out too - bold with concentration. Hours spent locking in on targets may have left her with a thousand-yard stare, but her face remains soft and lovely, and her manner is warm and kind.
She spoke gently about her childhood in Anyang, and the things that have shaped her passion for archery.
"It was curiosity that got me started," she said, recalling the first time she joined a school club at the age of 11.
But of course curiosity alone will not carry you along to Olympic gold. By the time she became serious, still a girl in all respects, she was up to practicing for six to seven hours a day. With such due diligence, combined with parental backing and her culture's mad pace for obsessive preparation, she would grow great in time.
"At first of course, I wasn't much good. I decided to dream my dream bigger…. so I had to make sacrifices."
She must have missed out on something; some essential period of childhood tranquility was surely lost among the nocks and vanes. But she seemed to have very little regret. And why would she? Who among us can say we have experienced the adoration of our entire country, hard earned by being the absolute best at what we do?
Ki can. She recalls that the bigger her dream grew the more the rest of her young girl's life would shrink into the background, for being a champion at something as competitive as archery comes at no small price.
"I was so busy training, I didn't even know that I had gone through puberty," she told us, no doubt somewhat embarrassed by the admission.
Her prescient parents (thankfully, for the future of Korean sporting pride) were supportive of her. They shuttled her to and from practice and made great allowances, always picking up the slack and helping her to advance. They were also both so pleasantly surprised by her ability.
"I am the only athlete in my family," she laughed.
There were other supporters too, coaches and friends. There were rumors that one of her coaches had made her handle snakes in order to learn dexterity and fearlessness. But Ki assured us that they were false.
But there are rituals and ceremony, nonetheless. Ki told us that she has a special way of counting the arrows she uses, to ensure that she never gets an unlucky one: numbering each arrow with a mark before competitions. Instead of dreading the thirteenth arrow, as westerners might, she instead always skips the fourth one. This, of course, is in deference to the fact that the Sino-Korean word for "four" and for "death" are the same (sa), and thus the fourth arrow has always seemed ill-fated to her.
Superstitions aside, Ki knows how to preform when the pressure is on, as it was in full force in the 2012 London Olympics. She's no stranger to competition, and had already competed in the Asian Games among many other such tournaments, but the feeling of being in the Olympics, she says, was incomparable.
"It felt different when I participated in the Olympics. There was great pressure to achieve [the gold] as an athlete to represent Korea, which is well known for archery and archers."
It is true. No one can deny that Ki comes from a great tradition of wonderful Korean archers. The women of the ROK in particular have completely dominated the competition for the last two decades, only failing to win gold once, when they came in second to China in Beijing, 2008. Where does such skill come from? We asked the expert: "What makes this a sport that Korea, as a nation and a culture, seems to excel at?"
She mentioned Korea's "tenacity," and speculated that the Han peninsula has a long tradition of hunting wild and sometimes dangerous game using bows and arrows. Both are true enough, and surely the tireless hours that Koreans spend at work and practice must be of key importance.
With such history and culture at her back, the incredible feeling when she finally won the gold was breathtaking.
She described it to us: "I cannot express how happy I was then. In fact, I think I was out of my mind. I couldn't believe that I won the gold medal."
When she returned to Korea, and back to Gwangju, she would find that she was a local star. These days, she gets a lot of attention. One might be tempted to call it adulation, but the humble Ki knows how to handle it with grace and dignity.
"I was spotlighted…. The attention I received made me feel glad that I won two gold medals... When people recognized me, I felt that I had achieved a big thing."
So what is in store for this world class athlete? Surely more medals are on the cards for her future, and at the very least a trip to Rio in 2016. She keeps up her training at a frantic pace, keeping sharp.
"I will participate in the World Championship this year and I will do my best so I can participate in the Brazil Olympics as well."
She also has plans for the future that go beyond pulling a bowstring. We learned that Ki is going to do a postgraduate course at Gwangju Women's University. She'll take special education so that in the future, she can teach disabled children archery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the Paralympics. Also, she'd like to live in London for a while, having fallen in love with the city during the Olympics.
Ki Bo-bae is a true sports hero, and a role model for young Koreans who want to achieve something that doesn't necessarily require late night cramming and a high SAT score. The Gwangju News team left the interview feeling awe inspired by her achievements, her dedication and the fact that she remains so humble and kind throughout all the limelight. She is a true credit to her country. With Ki at the helm, there is no doubt that the dominance of Korean archery will continue on into the future.
By Seth Pevey
Copy-edited by: Bradley
Proofread by: Jon O
올림픽 양궁 금메달리스트, 기보배
유난히도 더웠던 지난 여름, 관객으로 꽉 찬 런던의 한 양궁경기장에서 대한민국은 양궁 여자단체전에서 일곱 번째 금메달을 땄다. 며칠 뒤, 대한민국 양궁 여자단체전 우승팀원 중에서 가장 어린 선수가 멕시코의 로만 아이다 선수를 제치고 올림픽 양궁여자개인전 결승전에서 일곱 번째 금메달을 선사했다. 금메달의 주인공은 바로 우리지역 광주시청 소속의 기보배 선수이다. 요즘 그는 길을 걸을 때마다 자신을 알아보며 자랑스러워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한다.
기선수는 광주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의 많은 팬들과 만남의 시간을 자주 갖으려고 한다. 이에 Gwangju News 편집팀이 여궁사 기보배 선수를 염주체육관 양궁장에서 만났다.
기 선수는 런던올림픽 금메달의 영광에 안주하지 않고, 여전히 마음을 다잡고 맹연습 중이었다. 부드럽고 상냥한 목소리에 반해 그의 강인한 손과 과녁을 향해 매섭게 노려보는 눈은 화살을 날려 온 그간의 시간들을 말해주었다. 그런 강인한 모습과는 달리 부드럽고 사랑스런 외모는 따뜻하고 친절해 보였다.
인터뷰를 시작하며 기보배 선수는 안양에서 보낸 어린 시절과 양궁에 열정을 갖게 된 계기에 대해 이야기했다. “처음엔 호기심으로 시작하게 되었어요”라고 말하는 기 선수는 11살 때 학교 양궁팀에 들어갔다.
호기심 하나로 지금의 금메달리스트 기보배가 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양궁을 진지하게 시작하게 되면서 어린 나이에도 하루에 예닐곱 시간의 연습을 했다. 꾸준한 노력과 부모님의 지원 그리고 한번 빠지면 몰입하는 성격이 지금의 기보배 선수를 만들었다.
“물론 처음에는 잘 못 했죠. 하지만 저는 꿈을 크게 가지기로 했어요.… 그랬기에 희생을 해야 하는 건 당연했었죠.”
활과 화살 사이에서 평안한 유년시절은 놓쳐버렸지만, 그는 후회하지 않는다. 후회할 일이 있을까? 어떤 한 분야에서 최고가 되어 전 국민의 사랑을 받기가 쉬운 일인가?
하지만 기 선수는 해냈다. 기보배 선수는 우리나라에서 양궁과 같은 경쟁이 심한 스포츠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한 더 큰 꿈을 꿀수록 일반 소녀로서의 삶은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고 어린 시절을 회상했다. “훈련을 하느라 너무 바빠서 사춘기가 지나가버린 것도 몰랐어요.”하며 수줍게 답했다.
선견지명이 있었던 기선수의 부모님은 적극적인 지지자가 되어주었다. 연습장과 집을 매일 같이 바래다주며 부족한 부분을 하나하나 챙겨주고, 기 선수가 양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었다. 부모님 또한 기 선수의 재능에 놀라움과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집에서 저 혼자만 운동선수예요.” 기 선수는 웃었다. 기 선수의 영광 뒤에는 부모님 외에도, 코치들과 친구 등 든든한 지지자들이 있었다. 소문에 의하면 손의 민첩성과 담력을 기르기 위해 코치 중 한 명이 기 선수에게 뱀을 만지게 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건 사실이 아니라 그저 소문이라고 기 선수는 해명했다. 그렇지만, 기보배 선수만의 특정한 의식행위는 있다고 밝혔다. 기선수는 ‘운 없는 화살’에 걸리지 않도록 사용한 화살을 세는 특별한 방식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모든 화살에 숫자를 매겨 놓는데 서양에서는 ‘열 세번째 화살’을 피하지만, 기 선수는 ‘네 번째 화살’을 건너뛴다고 한다. 이것은 한국문화에서 숫자 ‘4’가 죽음을 뜻하는 ‘사(死)’의 발음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굳이 미신적인 부분은 배제하더라도, 기 선수는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결승전 긴장된 슛오프 상황에서 어떻게 경기에 임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었다. 아시안 게임을 포함한 여러 국제대회에 경기를 치른 기선수이지만, 올림픽 경기는 다른 국제대회 경기와도 비교할 수 없는 긴장감을 느꼈다고 밝혔다.
“올림픽에 참여하니까 뭔가 다른 느낌이 들었어요. 양궁 강국의 대표 선수로서 금메달을 따야 한다는 강한 압박감을 느끼고 있었죠.”
그건 사실이다. 기보배 선수가 대한민국이 낳은 대표 여궁사라는 것을 부정할 사람은 없다.
대한민국의 여궁사들은 지난 20년간 세계 양궁의 제왕으로 군림해왔으며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땄던 것을 제외하고는 그동안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석권해 왔다. 이런 훌륭한 실력을 가진 선수들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 것일까? 어떤 국민성과 문화가 대한민국을 세계의 양궁 대표국가로 이름을 날리게 할 수 있는지 전문가에게 물었다.
기보배 선수는 한국인의 ‘끈기’와 활과 화살을 이용해 사냥과 전통놀이를 했던 한반도의 오랜 전통문화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추측했다.
기보배 선수의 두 추측 모두 타당성이 있어 보인다. 한국선수들이 기량을 갈고 닦는데 흘린 땀과 노력의 시간이 한국 양궁의 우수성을 증명하는 중요한 요소로도 보인다.
이런 문화와 역사가 기보배 선수의 배경이 된 만큼, 올림픽 무대에서 금메달을 검어 쥐는 순간 느낀 감정은 그야말로 숨이 멎을 것만 같은 심정이었다.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기뻤어요. 사실 제 정신이 아니었던 것 같기도 해요. 제가 금메달을 따다니 믿을 수 없었어요.”
기보배 선수가 한국, 그리고 광주에 도착 했을 때는 이미 그는 광주 지역의 스타가 된 것을 알게 되었다. 최근 기보배 선수는 큰 주목을 받고 있는데 혹자는 관심과 칭찬이 너무 과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기보배 선수는 대중의 관심을 덤덤하면서도 감사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큰 대접을 받았어요. 제가 받는 모든 관심은 제가 금메달 두 개를 땄다는 것을 충분히 기뻐 할 수 있게 해 줬어요. 또한 제가 무언가 큰 것을 이뤘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세계 최고의 양궁선수에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가깝게는 2016년 리오 올림픽 경기 참가와 아마도 더 많은 메달들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미래를 위해 쉴 새 없이 훈련하고 실력을 쌓을 것이다.
“올해 열리는 세계양궁선수권대회에 참가할 예정이고 2016년리오올림픽에 대한민국 대표선수로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기보배 선수의 날아가는 활에는 꿈이 있다. 기 선수는 광주여대 대학원에 입학할 계획이며, 특수교육을 전공하여 미래에 장애어린이들이 양궁을 익혀 세계장애인올림픽에 나갈 수 있도록 돕고 싶다고 한다. 장기적인 계획과 별개로 런던올림픽 동안 런던을 너무 좋아하게 되어 런던에서 잠깐 살아보고 싶다고 한다.
기보배 선수는 우리의 진정한 스포츠 영웅이며 밤늦게 까지 공부를 하지 않고 높은 수능점수가 필요하지 않은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싶어 하는 한국 아이들의 롤 모델일 것이다. 광주 뉴스 편집팀은 인터뷰를 마치며 기보배 선수의 공로, 노력, 그리고 최근에 쏟아지고 있는 대중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겸손하고 친절한 모습을 보여준 것에 감탄했다.
기보배 선수는 광주의 진정한 자랑거리이며, 기보배 선수를 선두로 하는 대한민국 양궁선수들이 앞으로도 세계무대에서 최고의 명맥을 이어줄 것이다.
번역 강용구/ 감수 김민수, 김종미/사진 Ken L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