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의 음식 알레르기 Part 1

Principally there are 4 methods in managing food allergies
Strict avoidance - As the name implies, “recognizing what triggers the food allergies and avoiding such ingredients in a meal or dish.”
Nutritional counseling - Dietary adjustments that serve a therapeutic role whereby a nurse, nutritional or dietician assesses eating patterns, identifies where change is needed and works to help the individual maintain those changes.
Emergency treatment - After the allergic reaction has been triggered; treatments range from mild over-the-counter antihistamines for minor reactions, to injection of epinephrine, as well as a trip to the emergency room for severe reactions.
Resistance/Immuno therapy - The most recent and still experimental treatment; where antibodies or small, weakened (through heat) doses of the allergen are administered to build tolerance and reduce sensitivity.
Commonly foreigners with food sensitivity are discouraged from coming to Korea. Those who have visited or who live in Korea can be quick to give the country a bad rap when it comes to dining, and given that most transgressions take place on the Internet, their advice is often dished up with a heaping side of misunderstanding and bigotry, leaving it up to the knowledgeable few to set things straight.
First and foremost, the onus is on the individual. There is no one held more accountable for your health than you, and having food allergies is not a disability if you understand your condition and the environment you are in. This is where going abroad can complicate things. Even though you are well aware of your allergies, you now find yourself in a new environment. All of a sudden, language barriers, unfamiliarity with the food and the host country’s perception of food allergies become factors in determining your risk of allergic reaction.
Here in Part 1 of this two-series article, we will start by examining the cultural aspects of having a food allergy in Korea. This will help shape your perspective and set the backdrop for “Perspectives: Food Allergy in Korea, Part 2,” in next month’s issue.
Culture and Perspective
Because we are discussing being abroad with food allergies, understanding and observing the host culture has a lot of significance in determining your ability to avoid dangerous foods. It also puts things into perspective, giving your soul solace when trying to rationalize why there is a strip of ham in your “veggie” kimbab, or why people around you confuse your allergies for pickiness. You could get upset and bump heads with people you encounter, or you could acknowledge that you are a visitor in a place with its own set of established social norms, food culture and national history. The latter option will ultimately help you integrate and better cope with food allergies.
First, Koreans may be unaware of your type of food allergies. If you look at the table below, you will see the top food allergens for Korea and the U.S. What you probably noticed is that NO items match (except for crab being included in the category “shellfish”), indicating that Koreans for the most part are affected by different foods than Americans (and people of cultures that reflect a Western diet).
▶Korea: Pupa, Honey, Tomato, Cherry, Celery, Crab, Chestnut, Kiwi, Shrimp
▶USA: Peanut, Mil, Shellfish, Tree Nuts, Egg, Fin Fish, Strawberry, Wheat, Soy
Therefore, it is not that Koreans do not suffer from food allergies, which is a common misconception. The triggers are just different. Knowing this fact frames why a soy or egg allergy would be foreign to a Korean person, in the way a pupa or honey allergy would sound foreign to an American. This unfamiliarity causes a range of reactions. People may not be understanding nor accepting, thinking you may be just picky or stubborn in not wanting to try new foods.
Friends or co-workers may even try to “test” you, so it is important to be blunt and maybe even over exaggerate the seriousness of your allergies: “I will die if I eat ANY _______.” It seems a little much but there is sometimes a disjunction if you do not make the statement as an absolute. For example, if you say you will get sick from eggs, people may take it to mean you will get a bad stomach ache, or they might think that only eating a full fried or boiled egg will make you sick, not the little bits in your bibimpap or the egg-wash used to seal your dumplings.
The definition of certain products is also culturally relative. You quite literally can see this principle manifested in the pink strip of ham in your supposedly-vegetarian kimbab, because ham, to some Koreans, is not considered a `meat’. If you ask a Korean what is in the dish, err on the safe side and do not take their responses at face value. Although they try to be helpful, they will give a vague response rather than say, “I don’t know” or “I’m not sure.” With this perspective in mind, please try not to be offended, be extremely clear and overtly upfront about your allergy and take the time to determine for yourself if a dish contains something unsafe for you.
By Kristal Lee
Photos by Joey Nunez
[원문해석]
광주에 사는 외국인들 중 음식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이 있기에 ‘음식 알레르기’에 대한 조언은 요구됐고, 게다가 주변의 음식문화를 이해하지 못하면 한국에서 제대로 된 음식을 먹을 수 없게 되는 매일의 투쟁이 될 수 있다. 요리의 대가이든 아니든 여러분이 이해하는 한국문화의 맥락 안에서 음식 알레르기에 대한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음식 알레르기를 관리하는 4가지 주된 방법들
철저한 제한- 이 말은 “음식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을 파악하고 음식에서 그 재료들은 피해야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영양상담 - 간호사, 영양사가 식생활 패턴을 정하고, 어디에서 변화가 필요한 지 알아본다. 그리고 이 변화들을 각각 유지하도록 돕는 일을 한다.
긴급 처치-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될 때 심각하지 않을 경우는 일반의약품 항히스타민제나 에피네프린 주사로 치료 할 수 있고, 심각한 증상인 경우는 응급실로 가야 한다.
저항/면역요법- 최근에 실험 중인 치료법으로 알레르기 항체 또는 알레르기 유발 항원(알레르겐)이 저항력을 높이고 민감도를 줄이도록 관리를 한다.
일반적으로 음식에 민감한 외국인들은 한국에 오는 것을 걱정한다. 한국에 살거나 방문한 적 있는 사람들은 식사 자리에서 이 나라를 비난할 수 있고 인터넷에 게재된 대부분의 잘못된 내용이 전달된다. 그들의 충고는 오해와 심한 편견에 의해서 자주 꾸며지고, 지식적인 것들로 오해가 풀리도록 맡겨진다.
첫째,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책임은 개인에게 있다는 점이다. 아무도 여러분의 건강에 대해 더 책임 있는 사람은 없고 여러분의 상태와 처한 환경을 알고 있다면 음식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것은 장애가 아니다. 해외를 나가는 것이 복잡할 수 있다. 여러분의 알레르기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환경에 있음을 스스로 발견한다. 갑작스런 언어장벽, 친숙하지 않는 음식 그리고 음식 알레르기에 대한 방문국의 인식이 여러분의 알레르기 반응의 위험을 알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두 번의 시리즈에서 이번 Part1에서는 한국에서 음식 알레르기에 대한 문화적 측면을 검토할 것이다. 이는 여러분의 알레르기에 대한 관점을 형성하고 다음 달 호의 ‘해석: 한국의 음식알레르기 Part2’의 배경지식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문화와 관점
해외 체류 중에 음식 알레르기를 논할 때 방문 국가를 알아보고 이해하는 것은 여러분이 위험한 음식을 피할 수 있는 능력을 결정하는 데 많은 의미를 갖는다. 왜 야채김밥 안에 햄이 들어있는지, 또는 왜 사람들이 알레르기와 까다로운 식성을 혼동하는지에 대해 합리화하려 할 때 이는 넓은 시야를 갖게 하고 심적인 위안을 줄 것이다. 화가 나고 매일 마주치는 사람들에게 머리를 박고 싶을 수도 있고 아니면 사회규범과 음식 문화 그리고 나라 역사가 이미 정해진 곳의 방문객이라는 것을 인정할 수도 있다. 후자의 선택이 음식 알레르기를 더 잘 대처하고 융합되는 데 근본적으로 도울 것이다.
먼저, 한국인들이 여러분의 음식 알레르기 종류를 알지 못할 수도 있다. 아래 표를 보면, 한국과 미국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요음식을 볼 수 있다. 표에서 조개를 게와 같은 카테고리로 넣는다고 할 경우를 제외하고 한국인과 미국인(서양음식이 반영된 문화의 사람 포함)의 같은 항목이 아마도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 번데기, 꿀, 토마토, 체리, 샐러리, 게, 밤, 키위, 새우
▶미국: 땅콩, 우유, 조개, 견과류, 달걀, 생선, 딸기, 밀, 두부
즉, 한국인들이 음식 알레르기를 겪지 않는다는 것은 오해이다. 그 원인이 다를 뿐이다. 왜 콩이나 달걀 알레르기가 한국인들에게 생소한 건지, 번데기나 꿀 알레르기는 미국인들에게 생소한 건지를 알아야 한다. 이것이 생소한 이유는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사람의 범위이다. 보통사람들은 여러분이 단지 새로운 음식을 먹는 것을 시도하지 않는 것에 대해 까다롭거나 고집이 세다고 생각하고, 여러분을 이해하지도, 인정하지 않을 수 있다.
친구들이나 동료들은 심지어 여러분을 시험할지도 모르니, “내가 _________을 먹게 되면 죽어요.”라고 여러분의 알레르기의 심각성을 직설적이고 조금은 과장하여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너무 과장된다고 볼 수 있지만, 확실하게 말하지 않으면 가끔 괴리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달걀을 먹고 아픈 것을 말한다면 비빔밥 속에 있는 소량의 달걀이나 만두 빚을 때 쓰는 달걀물이 원인이 아니라, 단순한 복통 또는 완전히 익힌 달걀 프라이나 찐 달걀을 먹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어떤 음식에 대한 정의 또한 문화상대적이다. 야채김밥 속에 들어 있는 분홍 햄에 드러난 이 원리를 문자 그대로 이해할 수 있다. 왜냐면 일반적으로 한국인들은 햄이 ‘고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한국인에게 이 음식 안에 뭐가 들어있냐고 묻는다면 큰 탈이 나지 않게 조심해야 하고 곧이 곧대로 그들의 대답을 믿지 않아야한다. 한국인들은 도와주려고 하지만, “잘 몰라요” 또는 “확실하지 않아요”보다 더 애매한 대답을 줄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기분 나빠하기 보다는 어떤 음식에 여러분을 위해 불안전한 식재료가 들어있다면 여러분의 알레르기에 대해서 아주 분명하고 솔직해야하고 스스로가 파악할 시간을 가져야한다.
글 Kristal Lee, 사진=Joey Nunez
번역 김민수(광주국제교류센터), 천소영(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