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군

▲ 승군무예 전수자, 청산스님.
 The Five Tenets of the Warrior, as taught by the Buddhist monk Won Gwang

 1)Loyalty to one’s lord.

 2)Love and respect your parents and teachers.

 3)Trust among friends.

 4)Never retreat in battle.

 5)Never take a life without a just cause.

 

 Hidden high in the Korean mountains, away from the hustle and bustle of Korean culture, is a place many Koreans aspire to be. It is not without reason that hiking is so popular in Korea. It was on one of these hikes that I discovered a hidden Korean secret, and a portal to another time in this country. The place is Geumsungsangsung Fort, and I met Cheong San, a monk, at the entrance to the fort.

 Cheong San greeted me and we headed for the temple on the hills where he lives. He is a peaceful man and very engaged in what he does. I later learned that his family is more or less self-sufficient on the mountain as I was treated to a hearty meal straight from the land. All that healthy food makes for a strong healthy man as well, which is just as well because Cheong San is no ordinary monk. He comes from a line of warrior monks who once fought the Japanese during the Imjin Wars of 1592.

 It is this heritage that has drawn me back to see Cheong San again. I am looking to discover some of Korea’s hidden history and to hear tales of honor and valor. While I am with Cheong San, he told me:

 “I started martial arts when I was 10 years old. I have been trained in martial arts for almost 40 years. My martial arts is not kendo. It is the oldest Buddhist Army Martial Arts. The Buddhist Army is the starting period of Korea.”

 A little research shows that indeed when Buddhism came to Korea in 347 CE and when it became established in the Goguryo Kingdom, it brought with it a form of martial arts practiced by Buddhists. This was known as Boolkyo Musool. It is an ancient martial art, and though what Cheong San uses has no doubt evolved considerably since those times, the original practice started centuries ago. This history also goes on to explain why Cheong San wears a phoenix symbol on his clothes, because this is a symbol represents the Goryeo Kingdom. He also told me:

 “When I became a Buddhist priest, I knew the ‘Seosan’ Buddhist master really liked the phoenix and he loved Korea. I respect the ‘Seosan’ Buddhist master.”

 Seosan Daesa is an extremely important and influential figure when one is considering martial arts in Buddhist Korea. When Korea was in its hour of need and fighting the Japanese during the Imjin Wars, he organized a Buddhist army of around 5000 into a guerilla fighting force that could undermine the weak spots in the Japanese army. Seosan Daesa’s best disciple, Soyotaeryeong Daesa attended the battle against Japanese army in association with General Kim Dukryeung at Gamagol Yongchu temple near Geumsaeongsanseong Fort. At this time the Yongchu temple was burned.

 Cheong San then is an important figure when thinking of conserving Korea's cultural heritage and his studies of this Buddhist martial arts are as important as preserving this country’s many other cultural relics. Indeed this is a phoenix rising from the ashes of the Gabo reform act of 1894, which disbanded the Korean monk army that had served its country during the Imjin Wars of 1592.

By Simon Bond





[원문해석]

 무인의 다섯 가지 계율(원광법사의 가르침)

 1) 임금을 섬기되 충성을 다하라.

 2) 어버이를 섬기되 효로써 섬겨라.

 3) 친구를 사귀되 믿음으로써 사귀어라.

 4) 싸움터에 나가서는 물러서지 말아라.

 5) 산 것을 죽일 때는 가려서 하라.

 

 숨 가쁘게 돌아가는 사회로부터 떨어진 깊은 산 어딘가를 많은 한국인들은 열망한다. 한국에서 등산이 인기 있는데는 이런 나름의 이유가 있다. 이번 산행에서 숨겨진 한국의 비밀이면서 이 나라의 또 다른 시간으로 가는 통로를 발견할 수 있었다. 금성산성이 바로 그곳이며 산성의 입구에서 청산스님을 만났다.

 청산스님이 나를 반갑게 맞아주신 후 스님 가족이 기거하는 언덕 위의 선사로 향했다. 스님은 평온하면서도 자신의 일에 진정으로 정진할 줄 아는 분이다. 나중에서야 알게 됐지만 그곳에서 대접받은 정성스런 음식이 그 땅에서 방금 수확한 재료들로 만들어진 것처럼 스님의 가족은 산중에서 자급자족하는 생활을 한다고 했다. 건강한 음식이 강한 사람을 만들 듯 청산스님은 평범한 승려가 아니었다. 청산스님은 1592년 임진왜란 때 왜군과 싸운 승군의 계보를 잇고 있다.

 이러한 계승은 나로 하여금 청산스님을 되돌아보게 했다. 앞으로 한국의 숨겨진 역사를 발견하고 용맹스런 전설을 알아가고 싶다. “10살 때 무술을 시작했어요. 거의 40년 정도 무술을 연마하고 있다고 볼 수 있죠. 제가 하는 무술은 검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정통 승군무예입니다. 승군무예가 우리 전통 무예의 시작입니다”라며 청산스님은 말한다.

 어떤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불교는 서기347년 한국으로 유입되었으며 고구려 건국 당시 불교에서 수련하던 무술 형태로 전파되었다. 이것이 바로 잘 알려진 `불교 무술’이다.

 청산스님의 무술이 그 당시의 고대무술로부터 진화되어 보이지만, 본래 수련은 수세기 전에 시작되었다. 이러한 역사는 청산스님이 고려를 대표하는 삼족오 문양이 새겨진 옷을 입는 이유가 설명된다.

 청산스님은 “승려가 되었을 때 서산대사께서 삼족오와 고려에 상당한 애착을 가지셨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서산대사는 제가 존경하는 분입니다”라며 말한다.

 서산대사는 한국불교의 무예를 깊게 생각하는 이에게는 매우 중요하며 영향력 있는 분이다. 임진왜란 때 왜구와 전투에서 도움이 절실했을 때 서산대사는 5000명의 승려들로 이루어진 군대를 보내어 왜군의 약점을 잡아 쇠퇴시키는 게릴라 전투에 투입하였다. 보국사의 산속에 그의 군대를 주둔시켰지만 서산대사의 수제자인 소요태능대사가 금성산성 주변 가마골 용추사에서 김덕령 장군과 연합하여 전투를 치르기도 하였으며 이때 용추사가 전소되었다.

 청산스님은 고려의 문화적 유산을 보존하려고 생각한 중요한 인물이고 불교무술을 연구하는 것이 이 나라의 많은 문화적 유물을 보존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고 말한다. 실제로 청산스님은 1592년 임진왜란 당시 나라를 지킨 한국의 승병을 해체시켰던 1894년 갑오개혁의 잿더미에서 되살아난 불사조와 같다.

글·사진 Simon Bond

번역 박민영(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