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이들이여, 동쪽으로 떠나라!” 선구적 교육가 데이비드 세퍼 박사의 회고

 It’s easy to look around Gwangju and convince oneself that it has always been as it is now. The vast majority of expatriates in Gwangju only ever get a snapshot: a year or two in one of the larger cities in one of the most technologically advanced countries in the world. However, even a little historical curiosity turns up the truth that Gwangju, at least the Gwangju of today, is a recent development. Even a few decades ago, this bustling city would have been unrecognizable. For most, the evidence of this sometimes shocking change must come from textbooks and museums and Google. But for some, it is more a matter of reminiscing over coffee.

 David Shaffer has been in Gwangju since the early 70s and has been a professor at Chosun University almost as long. When Shaffer first arrived in Gwangju, he lived in Nongseong-dong, an area in the West District that most would consider a stone’s throw from downtown, but back then, he says with a chuckle that is more thankful for distance than longing, “That was the edge of town, really, my hasuk-jib(home stay)-beyond it was just rice paddies…and that was terrible for mosquitoes.”

 Aside from the open sewage troughs on the sides of the roads-which have thankfully disappeared-and the tallest building being only about five stories high-the old tourist hotel-Shaffer says that the most noticeable changes stem from exposure to the West and foreign cultures. In the 70s and 80s “Korea was lucky to know about Korea,” let alone anything further afield.

 Directly after getting married, Shaffer and his new wife wanted to take a trip to the US to spend time with his family, but the bureaucracy surrounding Korean passports was so impenetrable that applying for a long-term immigration visa, even for a simple three-week trip to Pennsylvania, was the only option available. Now he recognizes that most students have been abroad before they graduate university and many aim to live abroad eventually, for a year or longer.

 His first job in Gwangju was vocational workshop training with the Peace Corps. Being one of only four volunteers in the program in Korea, the immediate need for communication with his students spurred him to pick up as much Korean as he could. This has served him well, and he encourages anyone coming to Korea to do the same, claiming that he is “treated and looked at differently from people before they know I speak Korean and afterward.”

 Shaffer’s motivation for becoming an English teacher was initially an opportunity to continue to live and work in Gwangju rather than a calling. He admits to a recognizable lack of direction in his early twenties that caused him to fall, rather than to gracefully step, into his position at Chosun. He has outgrown his partying days, “some time ago” if he is to be believed, though he took delight in recounting stories of taking the school bus home at the end of the day with other instructors, but being waylaid by intervening drinking places until late at night.

 Somewhere along the way, and not without its bumps and pit falls, he discovered a love and a talent for teaching. Now with a curriculum vitae stretching many pages with awards to compliment it, he has dreams of starting up a TESOL certification program and hopefully do some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When asked who would be replacing him at Chosun he quipped that it might be himself and did not have a second best guess.

 His years at Chosun University have put him in a unique position to talk about the future of ESL instruction in Gwangju and Korea. He says the greatest success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doesn’t come directly from the schools. Rather it is the parents’ and society’s intense focus on education and dedication to education as a path for self-improvement and social advancement that Shaffer believes is most worthy of praise. Unfortunately this devotion falls short, in his opinion, because of a teaching methodology that places memorization and high-stakes testing center-stage, “We learn by experiencing, and that is almost absent in the Korean system.”

 While some have observed that the market for English academies is quickly becoming saturated and predict a rapid decline, Shaffer sees things differently. Korean parents recognize the value of language education from a native speaker, and as Korean public schools cut jobs for international educators, families and students will turn to the private academies to get that education. The only risk to the academy system, he says, is a lack of warm bodies to fill the seats. The birth rate has been dropping recently, and Chosun, as well as universities nationwide, is already beginning to notice a decline in its enrollment. “This coming year, our incoming students are going to be less than before. I think that has been happening already at other universities. Chonnam and Chosun Universities are the biggest and are thought of as being the best in Gwangju, so we feel the effects of things like that last.”

 Before we started our interview, Shaffer wanted to clarify that this piece should not be, “He’s done. He’s finished.” And by the end, I was convinced of it. Shaffer has grown in tandem with the small, conservative city he found in 1971-and like that city, he is far from finished developing.

 by Ben Young

 Photos by Joe Wabe



-<원문해석>-

 광주를 둘러보고 광주가 항상 지금과 같았을 것임을 확신하는 것은 쉽다. 세계에서 가장 기술적으로 진보한 나라들 중 하나인 한국. 한국의 대도시 중 하나인 광주에 머무르는 1년 혹은 2년 동안에 외국인들의 대다수는 단지 사진 몇 장 찍을 뿐이다. 그러나 역사적인 호기심이 조금만 있다면 광주, 적어도 오늘날의 광주가 최근에 발달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심지어 몇십 년 전에는, 이 북적거리는 도시가 잘 알려지지 않았을 것이다. 대부분 이러한 놀라운 변화의 증거를 주로 교과서나 박물관, 구글에서 얻는다. 그러나 몇몇은 커피를 마시며 지난 추억을 회상하는 것에서 그러한 흔적을 찾기도 한다.

 데이비드 세퍼(David Shaffer)는 70년대 초반 이후로 광주에 머물렀고, 거의 그 만큼 오래 조선대학교의 교수로 지냈다. 세퍼가 처음 광주에 도착했을 때, 서구 농성동에 살았는데 대부분 사람들은 시내와 가까운 거리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때로 돌아가면, 그는 그리움보다는 그 거리에 더 감사하다고 껄껄웃으며 말한다. “제 하숙집은 정말로 시내의 끝에 있었어요. 그 너머에는 논이 있었고 모기들 때문에 끔찍했죠.”

 도로의 갓길에 놓여있던 열린 오물통들(지금은 사라진)과 5층 밖에 되지 않았던 가장 높은 빌딩(낡은 여행자 호텔)을 제외하고, 가장 알아차리기 쉬운 변화는 서양과 외국 문화에의 노출이라고 그는 말한다. “한국에 대해 알 수 있어 운이 좋았던” 70~80년대 한국만 놓고 볼 때.

 결혼 직후, 세퍼 씨와 그의 아내는 그들의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 위해 여행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한국 여권에 관한 관료 체계가 너무 견고해서, 단 3주 동안 펜실베니아 여행을 위해 장기간 이민 비자를 신청하는 것만 가능했다. 지금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외국에 다녀오고 많은 이들이 결과적으로 1년이나 더 많은 기간을 외국에서 살기를 바라고 있다는 것을 그는 알고 있다.

 광주에서 그의 첫 번째 직업은 평화봉사단의 직업관련 워크숍 교육이었다. 한국에 이 프로그램으로 온 4명의 봉사자 중 한 명이었던 그는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최대한 많은 한국어를 배웠다. 이것은 그에게 많은 도움이 됐다. 그는 “내가 한국어를 하기 전과 한 후에 사람들이 나를 대하고 쳐다보는 것이 달라졌다”며 한국에 오는 모든 사람에게 한국어를 배울 것을 권한다.

 그가 처음에 영어교사가 되고자 했던 건 천직이라기 보단 광주에서 계속 일하며 직업이 필요해서였다. 그는 젊은 시절 삶에 대한 목표나 방향이 없었다는 걸 인정했다. 이 때문에 그는 더 나은 곳으로 나아가기 보단 조선대에 직업을 얻는 것을 택했다.

 그는 예전에 놀기 바빴던 날들이 있었다고 했다. 하루가 끝날 무렵 다른 강사들과 학교 버스를 타고 집에 오다가, 어쩌다 보니 술집에서 늦은 밤까지 술을 마시게 되었었다는 이야기를 회상하면서 즐거워 했다.

 부딪히고 깨지기도 하며 지내다가, 그는 가르치는 데에 재능이 있고 좋아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제 상장과 감사장으로 몇 장이나 되는 그의 이력서와 함께, 그는 TESOL 자격증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수업자료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꿈을 가지고 있다.

 조선대학교에서 그를 대신할 사람이 있냐고 질문을 받았을 때, 그를 대신할 사람은 없고, 두번째로 잘 할 사람도 없다며 그는 웃었다.

 조선대학교에서의 근무는 그를 광주와 한국의 ESL 교육의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에 오르게 했다. 그는 한국 교육의 큰 성공이 그저 학교때문에 이뤄진 것이 아니라 교육에 대한 부모와 사회의 강렬한 의지, 자기 향상과 사회적 진보의 길로써의 교육에 대한 헌신 때문이고, 이는 가장 칭찬할만 하다고 강조했다. 불행히도 이러한 헌신과 노력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그는 가르치는 수단이 암기와 시험 중심으로 대체되고 있는 것을 그 이유로 들었다. 그는 “우리는 경험으로부터 배워야 하는데, 한국 교육 시스템에서는 이것이 거의 결여되어 있다”고 말했다.

 어떤 사람들은 영어학원 시장이 빠르게 포화상태가 되며, 빠르게 쇠퇴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그의 생각은 달랐다. 한국 부모들은 원어민 언어 교육의 가치를 인식하고 있고, 한국 공립학교들은 외국인 교사들을 해고하고 있기 때문에, 학부모와 학생들은 언어 교육을 받기 위해 학원으로 몰리고 있다.

 이러한 학원 시스템의 유일한 위험요소는 학원을 채울 학생들의 부족이라고 말한다. 출생률은 최근에 감소하고 있고, 국내 대학들처럼 조선대학교도 이미 학생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그는 “올해, 우리 등록 학생 수가 전에 비해 적어졌다. 나는 이 상황이 이미 다른 대학들에서는 이미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한다. 전남대학교와 조선대학교는 광주에서 가장 크고 좋은 학교이기 때문에, 우리는 그러한 현상들이 지속되고 있다고 느끼는 것이다”고 말했다.

 우리가 인터뷰를 시작하기 전에, 그는 “그는 다했어. 그는 끝냈어”라는 게 돼서는 안 된다는 점을 명확히 하길 원했다. 끝에 가서, 나는 그것이 어떤 의미인지 이해할 수 있었다. 그는 자신이 1971년 찾아낸 이 작고, 보수적인 도시와 함께 성장해 왔고, 이 도시처럼 끊임 없이 자신을 개발하고 발전시키고 있었다.  글=Ben Young

 사진=Joe Wabe

 번역=용유림 (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