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 가치-마리야 하포넨코

▲ Feed the Crave 122cm x 91cm.

 Look at this painting. What do you see? Teeth biting a lip? Aggression? Whimsy? Sex?

 “I think this painting really gets into the viewer’s mind,” said artist Mariya Haponenko with a laugh. “If you think sexual thoughts, then you will see something sexual. If you have an innocent mind, like a child, then you may just see an angry mouth. These paintings are created to provoke the mind.”

 Haponenko’s recent project depicting expressive mouths was inspired by the ultra-realistic paintings of Marilyn Minter and the vibrant colors of pop artists like Andy Warhol.

 “The mouth is an everyday object,” said Haponenko. “The mouth has so much expression even without the face. You can tell a lot by it, and you can tell a lot by the lips…My boyfriend and I [posed] for this series, so I suppose that (painting) is a bit sexual…I like the shock value of it, and especially in Korea sex is such taboo thing.”

 Haponenko’s fascination with art began at the age of four.

 “I began drawing when I could hold a pen…I would copy from books. I would draw over my family photos, every important document. I would ruin the walls in our house. In Ukraine, we didn’t have many materials to draw with. I just had a pen and paper.”

 Haponenko’s family moved from Ukraine to Toronto, Canada in 1998 when she was seven years old. That same year, she got her first set of crayons.

 “I was so happy. I don’t know why, but I think my family didn’t think that this talent was important. They thought it was just a hobby.”

 At school, she began to realize her artistic talentsafter getting attention from other students. They admired her work, and that made her feel special. As a teenager, she decided to attend Etobicoke School of the Arts, majoring in visual arts mainly because she was excited about the idea of being required to do art everyday for four years.

 “I think there is no such thing as talent…I think that at a young age you have interests and you practice so much that you just become good at it, and people see it as a talent…but if you don’t use it, you lose it.”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Haponenko studied at Ryerson University School of Interior Design and received a Bachelor of Industrial Design. She worked at an architectural firm briefly before deciding to come to Korea.

 “I didn’t want the rest of my life to be in an office working on a computer all the time,” said Haponenko. “I chose to come to Korea to teach English and travel. By coming to Korea, I realized that all I want to do is art.”

 Haponenko came to Gwangju in August 2013 as a teacher at a middle school in Damyang. The bulk of her recent work reflects the mixture of new influences she has discovered in Asia. She has been creating a series of “flower monsters” inspired by the Korean lotus succulent echeverias and “crystal monsters” inspired by Japanese animator Hayao Miyazaki. As a child she was obsessed with geology, so when creating the monsters, she began doodling crystals in their hollow bodies.

 “It is like a creature coming from the core of the earth, like crystals come from volcanic magma and they grow. I’m thinking of a story for them right now, and I want to develop it into figurines and some sort of merchandise. They would have their own world like Pokemon.”

 Once Haponenko arrived in Gwangju, she began seeking out the city’s art scene. Unfortunately, it was quieter than she expected. Seeking to change this,last July she began teachingthree-hour art classes every Saturday atthe Gwangju International Center (GIC). The response to her adult classes was so positive that she also began teaching art classes for elementary students at the GIC. Haponenko has found three teachers to take over her classes when she returns to Canada this month,and she is optimistic that these classes will be a lasting legacy.

 “If I didn’t start those art classes, there would be no opportunities for someone like me to draw nude models or do some painting on the weekend. Everything is kind of do-it-on-your-own here. But I think these classes are helping to change that.”

 With the aid of her boyfriend as interpreter, Haponenko has befriended many talented artists in theKorean art community at Daein Market, an experience that she has found both enlightening and frustrating.

 “The artists here are shy. They just lock themselves in their studios and work…I want them to do something for the public. Show the public that there are artists here.”

 Haponenko feels that because manyof theseartists are introverts, they need representation to help them market and promote their work. However, she thinksthat a cultural shift must first occur.

 “I feel that art is not as appreciated in Korea as inother developed countries because I don’t think Koreans see art as an investment, not yet anyway. Because the country developed so quickly, art was never in the mainstream. So I think it is going to take a while for people to appreciate art and buy art. There is an economic uncertainty with buying art, especially with artists who aren’t as renowned. For many Koreans, if they can afford it they will buy art from a well-known artist like a Damien Hirst or Marilyn Minter. It is like buying a Louis Vuitton bag or a Prada bag. It’s a brand name and they want to show it off. They don’t really buy emerging artists, as opposed to New York or LA or Chicago where they do support emerging artists, and people will buy any art. I hope Korea develops its art community and its value.”

By Karly Pierre

Photos courtesy of Mariya Haponenko

※First published in Gwangju News September 2015



-<원문해석>-

 이 그림을 보세요. 무엇이 보이세요? 입술을 물고 있는 치아? 공격성? 기발한 발상? 섹스?

 “이 그림은 정말 보는 사람의 마음 속으로 들어 오는 것 같아요.” 예술가 마리야하포넨코가 웃으며 말했다. “성적인 생각을 하면, 성적인 무언가를 볼 것이고, 아이처럼 순진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 그냥 화가 난 입만 보이겠죠. 이 그림들은 마음을 자극하기 위해 그려졌어요.”

 하포넨코가 최근 제작하는 “표현하는 입” 프로젝트는 마릴린민터의 초현실주의 그림과 앤디워홀 같은 팝 아티스트들의 강렬한 색상으로부터 영감을 얻었다.

 “입은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에요.” 하포넨코가 말했다. “얼굴 없이 입 만으로도 많은 것을 표현하죠. 입으로도 많은 것을 말하지만, 입술로도 많은 것을 말할 수 있어요. 이 시리즈는 저와 제 남자친구가 포즈를 취해서 조금 섹슈얼 할 수도 있어요. 그렇지만 전 그런 충격적인 가치가 좋아요. 특히 한국에선 섹스가 금기시 되잖아요.”

 하포넨코의 예술에 대한 열정은 네 살 때부터 시작됐다.

 “전 제가 연필을 쥘 수 있을 때부터 그림을 그렸어요. 책에서 베끼기도 하고 가족사진이나 매우 중요한 자료들을 따라 그리기도 했죠. 집안의 벽을 엉망진창으로 만들기도 하구요. 우크라이나에선 그림 도구가 많이 없었어요. 제가 가진 건 펜과 종이가 전부였어요.”

 하포넨코가 일곱 살 때인 1998년 그녀의 가족은 우크라이나에서 캐나다 토론토로 이주했다. 그녀는 바로 그 해 생애 처음으로 크레파스 세트를 받아 봤다.

 “매우 기뻤어요. 왜 그랬는지는 모르지만, 가족들은 그림 그리는 재능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아요. 그냥 취미라고 생각했죠.”

 그녀는 학교에서 다른 학생들에게 관심을 받을 때 처음 그녀가 가진 예술적 재능을 깨달았다. 주변 친구들이 그녀가 그린 것을 보며 감탄할 때면 특별한 기분이 들었다. 4년 동안 매일매일 예술을 할 수 있다는 생각에 취해서, 십대 때 에토비코크예술고에 진학하기로 결정하여 시각 예술을 전공했다.

 “전 재능 같은 것은 없다고 생각해요. 어렸을 때 무언가에 흥미를 가지고 엄청나게 연습하다 보면 잘 하게 되는 건데 그걸 사람들은 재능이라고 생각해요. 그렇지만 그것도 갈고 닦지 않으면 잃게 되죠.”

 고등학교 졸업 후 하포넨코는 리어슨 인테리어 디자인 대학교에 진학하여 산업디자인 학사 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한국에 오기 전 잠시 건설회사에서 일했다.

 “저는 사무실에서 온종일 컴퓨터를 하며 제 삶을 보내고 싶지 않았어요.” 하포넨코가 말했다. “영어를 가르치고 여행을 하려고 한국으로 오기로 결정했죠. 한국에 오고 나서 저는 제가 하고 싶어 하는 것은 예술이라는 걸 깨달았어요.”

 하포넨코는 담양에 있는 중학교 교사로 2013년 8월 광주에 왔다. 그녀의 최근 작품 대다수는 그녀가 아시아에서 발견한 영향들이 새롭게 섞여 들어갔다. 그녀는 연꽃을 닮은 한국의 다육식물을 보고 “꽃 괴물들” 연작을 그리고, 일본 애니메이션 감독 미야자키하야오로부터 영감을 얻어 “크리스탈 괴물들” 연작을 그리고 있다. 어렸을 때 지질학에 푹 빠졌던 영향으로, 괴물들을 그릴 때 속이 텅 빈 몸체에 크리스탈을 그려 넣기 시작했다.

 “이 괴물들은 지구의 핵으로부터 자란 생명체 들이에요. 마치 크리스탈이 화산마그마에서 나와서 자라는 것처럼요. 최근에는 이 괴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생각하고 있어요. 나중엔 작은 조각상이나 관련 상품으로 발전시키고 싶어요. 이 캐릭터들은 포켓몬스터처럼 자기들만의 세상을 가지게 될 거에요.”

 하포넨코가 광주에 왔을 때, 그녀는 광주의 예술 현장 등을 찾아 다녔지만 불행히도 그녀의 기대보다 더 조용했다. 이를 바꾸기 위해 그녀는 지난 7월 광주국제교류센터(GIC)에서 매주 토요일마다 세 시간 동안 예술 수업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수업의 반응이 매우 긍정적이어서 마찬가지로 GIC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도 시작했다. 이달 그녀가 캐나다로 돌아갈 때를 대비해 수업을 넘겨 줄 교사 세 명을 찾았으며, 앞으로도 이 수업이 지속될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다.

 “만약 제가 이 예술 수업을 시작하지 않았다면, 저처럼 (예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누드모델을 그리거나 주말에 그림을 그릴 기회가 없었을 거에요. 여기는 모든 것이 혼자서 하는 스타일이에요. 이 수업이 그런 경향을 바꾸는데 도움을 주고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남자친구의 통역 덕분에 하포넨코는 대인시장의 한국 예술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많은 재능 있는 예술가들과 친구를 맺으며 깨달음을 얻기도 하고, 당혹스러운 경험도 했다.

 “여기 예술가들은 부끄럼이 많아요. 그냥 스튜디오 안에 갇혀서 작업만 해요. 저는 그 예술가들이 대중을 위해 무언가를 했으면 좋겠어요. 여기에도 예술가가 있다고 사람들에게 보여줬으면 좋겠어요.”

 하포넨코는, 많은 예술가들이 내성적이기 때문에, 그들의 작품을 마케팅하고 홍보할 수 있도록 대표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그러나 그러려면 문화적인 변화가 먼저 일어나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는 예술이 다른 선진국에서만큼 중요하게 생각되지 않는다고 느꼈어요. 한국사람들은 예술을 투자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인 것 같아요. 어쨌든 아직은요. 나라가 매우 빠르게 발전했기 때문에 예술은 단 한번도 주류였던 적이 없어요. 사람들이 예술을 감상하고 구입하려면 얼마간의 시간이 필요할 것 같아요. 특히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작품을 살 때는 경제적으로 불확실하잖아요. 많은 한국인들은 혹시 여유가 있다면 데이안허스트나 마릴린민터처럼 잘 알려진 작가의 작품을 살 거에요. 그건 마치 루이뷔통이나 프라다 가방을 사는 것과 같아요. 그냥 브랜드를 사고 뽐내고 싶어하는 거죠. 잠재력이 있는 예술가의 작품은 사지 않아요. 뉴욕이나 LA나 시카고에서는 잠재력이 있는 예술가를 지원하고 사람들은 (유명작가가 아니라도) 아무 작품이나 사거든요. 저는 한국에서도 에술계가 발전하고 예술의 가치가 높아졌으면 해요.”

글=Karly Pierre

사진=Mariya Haponenko

번역=기수연 <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