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을 만나는 기발한 방법

While Korea is known for its computer game playing addicts of the P.C. room, the Genius Board Game Club (a tabletop board game society), serves a greater purpose which is simply this: an ingenious way to get people to play together in real time. Away from the glare of the computer screens, this dedicated group of board game loving enthusiasts commits itself to meeting once or twice a week for a highly entertaining evening.
Tabletop games have been around for ages, functioning as a social arena where a community can be built. So it is a no brainer that the members of this board game society benefit from an improved quality of life through the human interactions shared between members. The interactions from this society have helped many members to step out of their comfort zones and to interact with people away from the computer screen. Some members initially joined through a general curiosity to learn more about board games, but ended up staying because of the social interactions with the other members. “I really wanted to get information for when I buy board games. But after joining this club, I am often with people now, so that is a good thing,” said Lee Cheol.
These games offer members a way to relax and interact with people outside of their working environments. “After joining this club, I can play board games whenever I want to, and I can meet many people whenever I want to” says Noh Jun Hee. She adds jokingly that the only downside to this club is when she comes home late at night and gets scolded by her mom.
Lee Hyun Ho, a relatively new member who joined two weeks ago, says that by joining this club, he feels that every day is new and exciting to him, and he hopes to build friendships with the other members.
Other members have benefited from the companionship that board games create. Lee Se Hyeon feels that this has helped his life a lot. “This board game club not only plays board games, but has other socializing activities too, such as going on trips and much more. I enjoy my time with this club.” The society even puts on the occasional field trip to places like Gurye, Sansuyu, Suncheon Bay Garden or local trips to the Songsan Recreation Area. Park Eon Jong said, “since board games cannot be played alone, I have to come here and there are many people who can share my hobby, so it is good for me”, a feeling other members agree with.
At your average meeting you can expect around 10 to 25 members who are actively involved, but there are around 74 members in the club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society since it was created by Ki Su Yeon over a year and a half ago. The ages of the members range from people just out of college, to working adults in their thirties. The members are all Korean because of the language barrier, but they welcome anyone who wants to participate in the games.
What came as the biggest surprise for club organizers Ki Su Yeon and Chae Su Hun was the growth rate of the club. The club started out with around nine to10 members, but has since grown to 74 members. The club has a webpage where member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by posting reviews of the different games. The club meets twice a week and the schedule can be checked through their website at http://cafe.naver.com/gjboardgame.
by Victoria Lee
-<원문해석>-
한국은 PC방의 컴퓨터 게임중독자들로 잘 알려져 있는데, 지니어스 보드게임 클럽(테이블 위에서 하는 보드게임 모임)은 단순히 `실시간에 사람들이 함께 놀게 하는 기발한 방법’이라는 대단한 목적을 갖고 있다. 보드게임을 사랑하는 열정적인 사람들의 이 열렬한 모임은 컴퓨터 모니터에서 벗어나 일주일에 한두 차례 만나며 아주 즐거운 저녁시간을 보낸다.
보드게임은 공동체를 만들어내는 하나의 사회적 경기장 기능을 하면서 오랫동안 존재해 왔다. 따라서 이 보드게임 모임 멤버들이 멤버들 간의 인간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더 나은 삶의 질을 얻게 되는 사실은 너무나도 당연하다. 모임 멤버들 간의 상호작용은 많은 멤버들이 자신들의 안전구역에서 한발 나와서 컴퓨터 화면과 떨어져 다른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도록 해준다. 몇몇 멤버들은 보드게임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은 호기심에서 모임에 가입하게 됐는데 결국엔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만남 때문에 꾸준히 모임에 참석하고 있다. 이철 씨는“보드게임 구입을 위한 필요 정보를 꼭 얻고 싶었어요. 하지만 모임 가입 후 종종 사람들과 함께 하게 되었고, 그래서 아주 좋아요”라고 말했다.
이 게임들은 멤버들이 직장 환경 밖에서 휴식을 취하고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도록 해준다. “이 클럽에 가입한 후, 원할 때 언제든지 보드게임을 할 수 있고, 원할 때 언제든지 사람들을 만날 수 있어요”라고 노준희 씨가 말했다. 이 모임의 유일한 단점은 집에 늦게 귀가하게 되면 엄마에게 혼나는 점이라고 그녀는 농담한다.
2주전 가입한, 비교적 신규 멤버인 이현호씨는 이 모임에 가입하면서, 매일 새롭고 흥미로우며 다른 멤버들과 좋은 관계를 만들고 싶다고 말한다.
어떤 멤버들은 보드게임이 만들어내는 동료애를 얻기도 한다. 이세현 씨는 이 점이 그의 삶에 굉장히 많은 도움이 됐다고 생각한다. “이 보드게임 모임은 보드게임만 하는 것이 아니고, 함께 여행도 가는 등 많은 사교활동도 또한 하고 있죠. 이 모임과 같이 하는 시간이 굉장히 즐거워요.” 이 모임은 가끔 구례 산수유, 순천만 정원을 함께 여행하기도 하며 송산유원지와 같은 가까운 곳에 함께 가기도 한다. 박은종 씨는 “보드게임은 혼자 할 수 없기 때문에 모임에 참석해야 하며 나와 취미를 공유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어서 나에게 굉장히 도움이 된다”는 느낌을 말하는데 여기에 다른 멤버들도 공감한다.
평균 모임에 10명에서 25명의 참가자들이 활발히 참여하고 있으며, 1년 반 전 기수연 씨가 모임을 만든 이래 약 74명의 멤버들이 참여해 왔다. 멤버들의 연령대는 대학을 갓 졸업한 졸업생부터 30대의 직장인들로 이루어져 있다. 언어장벽으로 인해 멤버 모두가 한국인이지만 참여하고 싶어 하면 누구나 환영하고 있다.
모임 창시자 기수연 씨와 채수훈 씨에게 가장 놀라웠던 점은 모임의 성장률이었다. 아홉 내지 열 명으로 시작한 이 모임은 74명으로 늘었다. 이 모임 웹사이트엔 멤버들끼리 다양한 게임 후기들을 게재하며 교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있다. 모임은 주 2회이며 일정은 http://cafe.naver.com/gjboardgame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글=Victoria Lee
번역=조남희 (광주국제교류센터 인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