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름에 맡기다: 동아시아 서예가들의 화합

 In China, calligraphy was used in divination ceremonies as early as the 14th century BCE. By the third century CE, Chinese calligraphy was introduced to Korea, later reaching Japan. Since then, artistic, linguistic and political influences altered the practice significantly. Such influences have allowed each of the three countries to develop unique styles while calligraphy became a respected art form.

 Calligraphy has greatly impacted the cultures of Korea, Japan and China. The Calligraphy Exhibition of East Asian Culture Cities held from September 3 to the 23 sought to celebrate for this reason. Based on the themes of city, relationships and tea, the exhibition brought together calligraphers from the three countries to both showcase their individual art and to collaborate.

 The exhibition opened with the artists working together on a long roll of paper. Each was assigned a section in which to create their own art, but which would be next to the work of other artists. Though lacking cohesion, the resulting piece is beautiful. The various styles range from traditional to abstract, which are integrated together in a way that conveys the distinct but interconnected histories of the three countries. For the participating artists, this was a unique chance to engage with peers possessing different aesthetic sensibilities.

 “Chinese calligraphy is very different from Korean and Japanese calligraphy,” explained Huang Hong Qiong. A professor of calligraphy theory as well as an artist, Huang explained that participating in the exhibit allowed her to better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style between her and the Korean and Japanese artists. She describes her style as “formal,” wanting to convey the “elegance” of the characters while many of her counterparts had more drawing-like pieces. For her, working on the collaborative piece felt like the entire scroll “represented nature” with each artist working on “some aspect” of the larger scene somehow still reflecting how “each artist has his own way.”

 For Huang, calligraphy is a special art form she hopes will help her students develop. Just as Huang sees calligraphy as a way to help her students, Gwangju-based artist Jeon Myung Ok says calligraphy allows him to develop himself. For Jeon, calligraphy is a form of meditation that allows him to gradually improve his work, which he says is better when he is not thinking too much about it. Thus, he likes to drink a glass of makgeolli before beginning each piece since it allows him to relinquish just enough control to let the natural rhythms of the characters come out in his work. Mirroring Huang’s comments, Jeon said the exhibition helped highlight clear distinctions between contemporary calligraphy originating from the three countries: China is strictly character based; Japan is primarily concerned with drawing; and Korea is somewhere in the middle. In his own work, he always uses the shape of the characters, like hanja, hangul and Roman letters, as a necessary base, but creates images, especially faces, to convey his belief that calligraphy should reflect humanity. Jeon has begun to work with Roman characters because he aspires to see calligraphy spread internationally. A similar desire to see calligraphy further popularized prompted Yamamoto Hiroshi to represent Niigata Prefecture in the exhibition. He said that calligraphy “represents East Asia” and thus wanted to get the impressions of the other artists. He found the spirit of collaboration especially helpful in promoting calligraphy internationally. Speaking of Gwangju, he said that unlike Seoul it has a special “welcoming spirit” while adding it would be an honor to participate in the Gwangju Biennale.

 The welcoming spirit Yamamoto identified is vital for Gwangju’s branding as Asia’s Culture City. It promotes the international connections that can be built through art. For a Jeolla native like Jeon, it is especially gratifying to see Gwangju take a lead role in promoting East Asian art forms internationally. As the Asian Culture Complex starts to invite artists to learn about and from Korea, art forms like calligraphy, which have developed through hundreds of years of cultural exchange into distinct concepts while still rooted in a common tradition provide a perfect means to showcase the artistic value of Asian cultures.

By Kartin Marquez



-<원문해석>-

 중국의 서예는 기원전 14세기 이전부터 점술을 행할 때 쓰였다. 3세기 즈음 한국으로 전파됐고 이어 일본까지 건너갔다. 그 후 예술적·언어학적 그리고 정치학적 영향들이 서예 방식을 상당히 바꿔 놓았다. 이러한 영향들은 각 세 나라 고유 방식을 발전시킴과 동시에 존중받는 예술 형태로 자리잡게 했다.

 서예는 한국·일본 그리고 중국의 문화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리하여 동아시아 문화도시들의 서예 전시회가 9월3일부터 23일까지 열리게 되었다. 이번 전시회는 도시와 관계 그리고 차(茶)를 테마의 기반으로 각 국 서예가들을 한데 모아 각자의 예술품을 전시하고 화합할 수 있도록 했다.

 세 예술가가 하나의 긴 두루마리에 함께 작업 하면서 이번 전시회의 개막을 알렸다. 각 예술가들은 각자의 예술을 선보이기위해 구역을 나누어 나란히 작업했다. 화합은 부족했지만 결과물은 아름다웠다. 전통적인 서예부터 추상적 작품까지 방식들이 모두 달랐지만 세 나라의 뚜렷하지만 서로 얽혀있는 역사들이 담긴 채 통합돼 있었다. 참여한 예술가들에겐 다른 미적 감각들을 지니고있는 동료들과 어울릴 수 있는 유일무이한 기회였다.

 “중국 서예는 한국과 일본 서예와 많이 다릅니다”라고 Huang Hong Qiong 예술가는 말했다.

 서예론 교수 겸 예술가인 Huang 씨는 이번 전시회를 참여하며 한국과 일본 예술가들의 다른 방식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녀는 그녀의 방식을 글씨의 “우아함”을 담고 싶은 “격식 있는” 방식인 반면 한국과 일본은 마치 그림과 같은 작품들이라고 설명했다. 그녀에게 이번 공동 작업은 각 예술가들이 큰 그림의 “어떠한 면”을 “각자의 방식을” 비추면서 전체 두루마리가 마치 “자연을 대표하는”것처럼 느껴졌다고 한다.

 Huang씨에게 서예는 하나의 특별한 예술 형태로써 그녀의 학생들이 발전시켜 나가면 하는 바람이라고 한다.

 서예를 하나의 학생들을 돕는 방법으로 여기는 Huang 씨처럼, 광주 출신의 전명옥 예술가는 서예가 자기 자신을 발전시킨다고 한다. 전씨에게 서예는 하나의 명상요법으로 서서히 그의 작품을 향상 시키고, 생각을 덜 하면 덜 할수록 더욱 향상된다고 한다. 따라서 작품을 시작하기 전, 글씨의 자연스러운 리듬을 그의 작품에 담기 위해 막걸리 한잔을 마시고 긴장을 푼 후 몸을 맡긴다. Huang씨와 같이 전 씨는 이번 전시회가 세 나라로부터 기원된 현대 서예들의 명백한 구분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중국 서예는 한자 기반으로, 일본은 글씨체 위주로, 그리고 한국은 중국과 일본의 중간이라고 한다. 그의 작품에는 한자와, 한글 그리고 로마체의 모양들을 필요 기반으로 사용하되 서예는 인간을 비추어야 한다는 그의 믿음을 반영하기 위해 특히 얼굴과 같은 형상들을 만들어낸다.

 전 씨는 서예가 세계적으로 퍼져 나가길 열망하여 로마체 작품들을 시작했다. 서예가 더욱 번성해 가길 바라는 비슷한 욕망이 이번 전시회 니가타현 대표로 참가한 야마모토 히로시 씨를 자극시켰다. 그는 서예가 “동아시아를 대표”하기에 다른 예술가들의 느낌을 더욱 알고 싶었다고 했다. 그는 서예를 세계적으로 홍보하는데 있어 공동작업 정신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광주를 빗대어 그는 서울과 다르게 “환영하는 마음 또는 `정’”이 있고 광주 비엔날레에 참여하게 되어 영광이라고 덧붙였다.

 야마모토 씨가 밝힌 `정’은 광주를 아시아 문화도시로 자리잡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은 예술을 통해 만들어지는 국제관계를 더욱 촉진시킨다. 전라도 출신인 전 씨처럼, 광주가 동아시아 예술품을 세계적으로 홍보하는데 있어 앞장서는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한국에 대하여, 그리고 한국에서 배우려는 예술가들을 초대하기 시작하면서, 공통된 전통을 근원으로 수 백 년간의 문화교류를 통해 뚜렷한 컨셉들을 갖게 된 서예가 아시아 문화의 예술적 가치를 보여주는 최상의 방법이다고 한다.

번역=국제교류센터 인턴 조남희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