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nteers’ Efforts to Improve Conditions at Gwangju Animal Shelter
반려동물을 위한 돌봄
광주동물보호소 여건 향상 위한 자

 This past October, a 55-year-old woman was killed by a falling brick while building a shelter for feral cats at her apartment complex in Yongin, Gyeonggi Province. Identified only by her surname, Park, she quickly became known to the media as “Cat Mom”.

 With no clues surfacing in the first week, speculation focused on conflicts between “cat moms” and their neighbors. According to the polic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who threw the brick had no intention to cause harm and was too young to be held accountable under current laws.

 Park’s death may not have been the hate crime that some suspected; nonetheless, her story brought attention to the uphill battle of advocating for animals in Korea.

 Owning pets is a relatively new phenomenon in Korea. In the past, animals were viewed either as workers or as food. The pet industry began to boom when the nation industrialized and more and more people had disposable incomes. There remains a perceived distinction between small breeds, better suited for apartment living, and larger ones, such as Korea’s native Jindo dogs, which are often still seen from a strictly utilitarian perspective.

 Cats have historically been viewed unfavorably as rat control, vermin or bearers of ill fortune, but these attitudes are disappearing. A growing number of Koreans are cat lovers, especially young urban dwellers, and veterinary care and supplies for cats are readily available.

 The surge in popularity of pet dogs and cats has resulted in a parallel increase in abandoned animals. In July 2011, the Korea Times reported that over 100,000 pets were abandoned across the country in 2010. Of these, only a tiny percentage were placed in homes. An estimated 200,000 feral cats roam the streets of Seoul alone.

 Fighting against the rising tide of abandonment and neglect are a number of animal rescue and advocacy groups, among them Bodumi in Gwangju. Bodumi caused a stir this year when it sued the Gwangju Animal Shelter, accusing the shelter of misusing funds and failing to provide the animals with minimum basic care.

 Bodumi member Jiseong Heo explained that 10 years ago, the city of Gwangju was managing the shelter and welcoming a large number of volunteers. The Gwangju shelter was doing so well that other shelters around the country used it as a model of success and came to observe how it was run. Those days, however, have passed.

 Presently, the shelter receives approximately USD $400,000 per year from city government but allocates only 6-8 percent of funds to the animals’ food and needs, while 75 percent goes to officials’ salaries. The city is no longer directly running the shelter but has a contract with the Institute of Animal Medicine at Chonnam University.

 Veterinarians from the university are paid to sit on a board of directors, but they are not involved in the day-to-day running of the shelter. The head of the shelter also has ties with the group and receives pay despite not being present at the shelter. “We never see him. We have no contact with him,” Heo said.

 When Bodumi members volunteer at the Buk-gu shelter, they groom, walk and clean the animals alongside the small on-site staff: receptionist, groomer, veterinarian, janitor and eight “rescuers” whose jobs are to collect animals from the street.

 Most of the rescuers are older men employed through the city government’s job program and have little or no experience working with animals. “Sometimes people call them and they do not come, or they come but cannot catch the dog,” Heo said.

 Inside the shelter, over 100 dogs and cats live in dirty cages with wire mesh floors. The shelter stopped euthanizing animals in February 2015, but many die at the shelter from respiratory illnesses and skin conditions. Young animal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According to Heo, the shelter sometimes allows Bodumi members to foster young animals at their homes. “The shelter staff know that if the young dogs and cats stay at the shelter, they will die,” Heo said.

 Before the lawsuit, the shelter was closed off to volunteers, unwilling to let them see what was going on inside. Today, Bodumi members volunteer on weekends and are collaborating with a local cat mom group to work out a schedule of alternating weekends.

 Bodumi volunteers may not be a welcome sight for all at the shelter. Bodumi’s decision to put public pressure on the shelter and demand more transparency and better conditions for the animals strained the organization’s relationship with shelter officials.

 “If they try to say they are not accepting volunteers, we just tell them we are from Bodumi, and they let us in,” Ms. Heo said. “They know that if they do not, we will make trouble.” An English academy owner, Heo brings students to the shelter and tasks them with dog-walking while the adults tackle the more difficult job of cleaning the cages.

 Gwangju residents who speak Korean can register to volunteer at the Gwangju Animal Shelter through its website, kcanimal.or.kr. English speakers are encouraged to watch the Gwangju Pets Facebook page for opportunities to volunteer on weekends with Bodumi.

By Laura Becker



-<원문해석>-

 지난 10월, 경기도 용인에 사는 55세의 한 여인이 자기 아파트 단지에서 길고양이들의 집을 만들어주다가, 떨어지는 벽돌에 맞아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박 씨라고만 확인되는 그녀는, `캣 맘’으로 언론에 빠르게 알려졌다.

 첫 주에는 뚜렷한 증거 없이, `캣 맘’과 이웃들 간의 갈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경찰에 의하면, 벽돌을 던진 초등학교 학생은 해를 끼칠 의도가 없었으며 나이가 너무 어려서 현행법상 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했다.

 박 씨의 죽음은 어떤 이들이 의심하듯 증오에 의한 범죄는 아닐지도 모르지만, 그녀의 이야기는 한국에서 동물을 옹호하는 힘겨운 싸움을 주목하기에 충분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건 한국에선 비교적 새로운 현상이다. 과거에 동물들은 일을 하는 일꾼이나 음식으로만 여겨졌다. 반려동물 산업은 나라가 산업화를 이루고 많은 사람들이 맘대로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유지하면서 떠오르기 시작했다.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작은 품종과 실용적인 측면으로 본 한국 토종개인 진돗개와 같은 큰 품종까지 다양하다.

 오래전부터 고양이는 쥐를 잡고 사회에 해를 끼치며, 불운을 가져다주는 동물로 여겨져 비우호적으로 여겨졌지만 이같은 태도는 점차 사라지고 있는 중이다. 고양이를 사랑하는 도시 젊은이들의 숫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고양이들을 위한 수의사 치료와 용품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반려 강아지와 고양이들 개체수의 급증은 버려진 동물들의 수 증가로 이어졌다. 2011년 7월, 코리아타임즈는 2010년 전국에서 버려진 반려동물들 숫자가 10만 마리가 넘는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 중 소수 몇 마리만이 살 곳을 얻었다고 한다. 서울시내에서만도 20만 마리로 추정되는 길고양이들이 배회한다.

 동물들을 유기하고 방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수많은 동물 보호단체가 존재하고 있고, 그 중 광주에서는 `보듬이’가 있다. `보듬이’는 올해, 지원금을 오용하고 동물들에게 최소한의 기본적인 보호도 제공하지 않은 광주동물보호소를 고발하면서 화제가 됐다.

 `보듬이’ 회원인 허지성은 “10년 전에는 광주시가 보호소를 관리하고 많은 자원봉사자들을 따뜻하게 환영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광주보호소는 활동 상황이 뛰어나, 다른 지역 기관들이 성공 모델로 삼고 견학하러 오기도 했단다. 하지만 이것은 옛말이다.

 현재 이 보호소는 광주시청으로부터 매년 약 4억 원의 지원금을 받지만, 반려동물의 음식과 필요한 물품 구입에 쓰는 비용은 겨우 지원금의 6~8%뿐이고, 75%는 직원들 월급으로 지출된다. 광주시는 현재 동물보호소를 직접 운영하지 않고, 전남대학교 동물병원연구소에 위탁해 운영하고 있다.

 전남대 수의사들은 실제 보호소 운영에는 관여하지 않은 채 이사회만 참석하며 수당을 받고 있다. 동물보호소장 또한 이름만 걸고 보호소에 상주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급여를 받는다. “우리는 그를 만나지도 못하고 접촉도 할 수 없다“는 게 허 씨의 말이다.

 `보듬이’ 회원들이 북구 보호소에서 자원봉사할 때, 그들은 현장 직원들 곁에서 동물들을 손질하고 산책하며 씻겨준다. 현장 직원들은 접수담당자, 조련사, 수의사, 수위 그리고 거리를 배회하고 있는 동물들을 데려오는 여덟 명의 구조대원들로 구성돼 있다.

 대다수의 구조대원들은 시청의 직업프로그램을 통해 고용된 나이 든 남성들로, 동물을 다뤄본 경험이 거의 혹은 전혀 없다. “때때로 시민들이 구조대원들을 부르지만 그들은 오지 않거나 연락을 받고 와도 그 개를 잡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허 씨는 말했다.

 보호소에는 100마리가 넘는 개와 고양이가 철망으로 만들어진 더러운 우리 안에 살고 있다. 보호소는 2015년 2월부터 동물안락사를 중단했지만 보호소의 많은 동물들이 호흡기 질환과 피부병으로 죽고 있다. 새끼동물들은 특히 약하다. 허 씨에 따르면, 보호소도 때때로 보듬이 회원들이 집에 데려가 키우는 걸 허용한다고 한다. “그 보호소의 직원들도 새끼 강아지와 고양이가 보호소에 계속 머문다면 죽을 거라는 걸 알고 있습니다”라고 허 씨는 말했다.

 법적 고소 전, 보호소는 자원봉사자들에게 보호소 내부를 절대 보여주지 않으려고 출입을 막았다. 요즘 `보듬이’ 회원들은 주말에 자원봉사를 하며, 지역의 캣맘 단체와 함께 협업하며 격주로 활동을 하고 있다.

 보듬이 자원봉사자들은 보호소에서 환영 받지 못할 수도 있다. 보호소에 대중의 압박을 주며 투명성을 요구하고 동물들의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보듬이의 결정은 보호소 직원들과의 관계를 긴장시켰다.

 “만약 보호소 직원들이 자원봉사자들을 받지 않는다고 할 때, 보듬이에서 왔다고 말만 하면 들여보내 줍니다”고 허 씨는 말했다. “만약 들여보내지 않는다면 우리가 문제 일으킬 것을 알고 있어요.” 영어학원 원장인 허 씨는 자신의 학원 수강생들을 보호소에 데려와, 어른들은 우리 청소 등의 훨씬 힘든 일을 하는 동안, 학생들에게 강아지와 산책하는 일을 맡긴다.

 한국어를 할 수 있는 광주시민들은 광주 동물보호소 홈페이지(kcanimal.or.kr)에서 자원봉사를 신청할 수 있다.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들은 광주 애완동물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보듬이 단체와 함께 주말에 자원봉사 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 보기를 권한다.

번역: 장동하<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