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때에 이르지 못한 감독의 야망

 한국 속담 중에 ‘호랑이를 그리려다가 고양이를 그린다’는 말이 있다. 시작할 때는 크게 마음먹고 훌륭한 것을 만들려고 하였으나, 생각과는 다르게 결과가 신통치 않은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대호’는 이 속담과 무관하지 않은 영화다. 제목에서부터 의욕을 불태웠던 이 영화는, 컴퓨터그래픽으로 구현해낸 호랑이만 놓고 본다면, ‘큰 호랑이’를 그려낸 것이 맞다. 정말이지 이 영화 속의 호랑이는 스크린을 종횡무진 활보하며 그 존재감을 확실하게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호’의 목표가 첨단기술을 통해 호랑이를 되살려 내는 것에만 있지는 않았을 것이다. 박훈정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거장의 인장을 찍고 싶은 마음을 숨기지 않기 때문이다.

 옛부터 우리 조상들에게 호랑이는 영물이었다. 이와 관련한 옛날이야기도 많다. 그랬던 호랑이들이 지금은 한국 땅 어디에도 없다. ‘대호’는 호랑이의 실종을 일제강점시기 일본 총독부의 ‘해수구제(害獸驅除)에 관한 건’에서 그 실마리를 찾는다. 즉 해로운 맹수를 제거한다는 명목으로 일본과 조선 정부는, 사냥꾼들에게 대대적인 지원을 하면서 호랑이와 표범 그리고 늑대를 닥치는 대로 사냥하도록 했던 것이다.

 박훈정 감독은 이와 같은 역사적인 근거에 자신의 상상력을 가미한다. 그리하여 짐승으로서의 호랑이를 잡고자 하는 인물들과 영물로서의 호랑이를 지키고자 하는 인물이 탄생한다.

 그런데 문제는, ‘지리산의 임금’을 잡겠다는 인물들의 동기가 단선적이라는 데 있다.

 먼저, 일본의 총독 마에조노(오스기 렌)가 있다. 그의 집무공간에 박제화 된 동물들이 실내를 장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는 부피가 큰 호랑이의 가죽을 탐내고 있는 게 분명하다. 그리하여 그는 일본군을 대대적으로 동원하고 조선의 사냥꾼들을 앞 세워 호랑이사냥에 나서는 것이다. 그러니까 마에조노의 호랑이사냥의 동기는 개인의 탐욕을 벗어나지 않는다. 이 대목은 제국주의 일본을 대표하는 인물이 식민지 조선을 대표하는 영물을 없애고자 하는 이유치고는 빈약하기 짝이 없다.

 조선의 사냥꾼인 구경(정만식)의 사연도 단순하기는 마찬가지다. 그는 과거, 사냥에 나섰다가 산군(山君)에게 동생을 잃었고, 자신은 얼굴에 큰 흉터를 입었다. 그의 호랑이사냥의 명목은 복수인 셈인데, 산군 사냥에 혈안이 된 동기 치고는 볼품없다.

 그리고 석이(성유빈)가 있다. 석이는 호랑이를 잡아서 장가를 가겠다는 것이 목표인데, 이 이유 역시 안일하기는 마찬가지다. 이렇듯 이 영화 속의 캐릭터는 입체적이지 못한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그러니까 호랑이를 잡겠다고 설치는 인물들은 많으나 관객들을 어필시키지 못하며, 이들의 대척점에 있는 천만덕(최민식)의 영물에 대한 존중이 부각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이 영화가 정점의 순간에 힘이 실리지 못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여기에다 감독은 이야기를 촘촘하게 엮는 것에도 소홀하다. 이를 애써 무시하고 감독은 아비의 자식사랑과 부자의 정(情)을 완만한 호흡으로 전시한다. 느린 속도로 영화의 종착역에 다다르는 것이 주제를 부각시켜줄 것이라고 믿은 결과다. 문제는 내용을 알차게 채우지 못한 채 막바지에 도착했다는 점이다.

 이렇듯 준비가 덜 된 상황에서 감독은 비장의 주제를 꺼내든다. 바로 인간과 짐승이 자연에서 하나가 되는 ‘선(仙)의 경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 주제는 그 내용만 놓고 본다면 가히 우주적이다. 허나 이 주제가 부각되기 위해서는 전조가 충분히 깔려 있었어야만 했다.

 결국 ‘대호’는 호랑이를 그리려다가 고양이를 그린 꼴이 되었다.

 어찌되었든, ‘대호’를 통해 박훈정 감독의 야망이 확인된 것만은 분명하다. 큰 그릇은 늦게 완성된다고 했다. 그때를 기다려보자.

조대영 <영화인>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