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를 위한 토론

On the evening of December 18, 2015, several dozen Korean and international Gwangju residents crowded into the Youth Center Archivesfor the second event in the Real Talk series.Hosted by the program Hello Korea on Gwangju Foreign Network (GFN), “Rainbow Youth: Talking for Change” addressed the challenges faced by LGBT+ youth in Korea and the culture, issues and organizations that affect them.
Gay, lesbian, bisexual, transgender, queer, intersex, and asexual identifying people (henceforth referred to as LGBT) have higher rates of depression and 4-6 times the suicide rates of heterosexual people, according to a November 2015 study. The plight of Korean LGBT is perhaps highlighted by the fact that even Gwangju, a city with an emphasis on human rights, does not have a single organization geared toward LGBT issues.
The Jeolla province tends to be more socially conservative tha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ut, even LGBT organizations in Seoul are currently not supported by government funds but by civilians, peoples’ groups and their own fundraising efforts.
Incheon’s Diversity Korea facilitates diversity training and human rights education. Jihak Kim of Diversity Korea made the journey from Incheon to lead the discussion, knowing Gwangju LGBT youth face a more hostile environment than their counterparts in and around Seoul.
Kim sees LGBT rights as a natural progression of Gwangju’s human rights history. In the 1970s and 1980s, Gwangju citizens fought for democratization; around 1983, democratization allowed minority groups recognition and a voice.
It is difficult to pinpoint the beginning of the LGBT movement in Korea because there was no single historical moment. People typicallydo not publicly “come out of the closet” and same-sex relationships have thus remained under the surface.
LGBT issues are sometimes seen as foreign issues in Korea. Kim said that international residents can contribute by expressing their thoughts on everyday incidents relating to LGBT issues. Both international residents and Koreans can be allies by stopping hate speech when they hear it and offering emotional support should someone choose to share his or her sexual orientation. Ki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istening before responding and looking for similarities, not differences.
While the conversation can be complicated by religious beliefs, sexual orientation and religion are both part of the diversity of human experience. “Accepting others is something we can all do, regardless of religion,” Kim stated.
In Korea, the word “multi-cultural” is usually used to refer to foreigners or mixed-race families, but Kim explained that every person exists within and interacts with multiple cultures, according toage, gender, sexual orientation, income, geographic location and more.
To introduce terms commonly used in discussions about LGBT issues, Kim showed the “Genderbread Person,” a cartoon expla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identity, gender expression, biological sex, and sexual and romantic attraction.
Before taking questions from the audience, Kim introduced the guest speaker, a member of the LGBT student club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NU). For his safety, the young man used a pseudonym and requested no photos be taken of him at the event.
Through a translator, he said that he had been nervous to come to the event for fear that he might be recognized. Coming from Seoul, he is acutely aware of the lack of diversity in Gwangju, where there are no city-wide programs and the only LGBT organizations are student clubs at universities.
The CNU group isonly a year old and does not receive university funding as a formally recognized student club. In order to attain that status, the group would have to listits members’ identities, so the students do their own fundraising by collecting fees from its 30-40 members to keep the club operating. Thisclub is a safe space whereLGBT people can be free and comfortable expressing themselves.
Prejudices and stereotypes against gay people discourage them from ever coming out, the guest speaker admitted. Coming out carries a very real threat of violence or termination from a company. Laws against same-sex conduct in the military mean that a gay man serving in the military can be jailed for expressing his sexuality. Some youth are kicked out of their homes after coming out, and while there are support centers, there are no actual shelters for LGBT youth in the entire country. “Coming out could destroy everything I have,” the guest speaker said. “Coming out can be a poison.”
During the question and answer time, more questions came from the audience thantime permitted. Before the conversation continued in smaller groups over refreshments, an audience member asked the guest speaker if he thought it was too soon to pursue LGBT rights in Korea. The young man responded, “It is not even right to ask that question. Time does not matter when there is injustice. We need to fix it, not wait, and there is no such thing as too early.”
By Laura Becker
-<원문해석>-
2015년 12월18일 저녁, `리얼 토크’ 시리즈의 두번째 행사에 참여한 수십명의 국내인, 외국인들이 청년센터에 붐볐다. 광주 외국인 네트워크(GFN) 주최의 `안녕 한국’이라는 프로그램인 `무지개 청소년: 변화를 위한 토크’는 LGBT 청년들이 직면한 문제와 문화, 이슈, 그들에게 영향을 주는 기관들에 대해 이야기했다.
2015년 11월 조사에 따르면 동성애, 양성애, 성전환자, 퀴어, 중성, 무성별인 사람들(이하 LGBT)에게선 높은 비율의 우울증, 자살률도 이성애자들 보다 4~6배 높다. 한국 LGBT의 어려운 현실은 인권을 중시하는 도시인 광주에서조차도 이 문제에 적합한 단체가 없다는 사실에 의해서도 알 수 있다.
전라도는 서울 등 대도시보다 사회적으로 더 보수적인 경향이 있다. 그러나 서울의 LBGT 단체들 조차도 현재 정부로부터 지원은 기대하기 어렵고, 시민들, 시민 단체들 그리고 스스로의 모금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의 Diversity Korea는 다양성 훈련과 인권교육을 용이하게 한다. Diversity Korea의 김지학 씨는 광주 LGBT청년들이 서울지역 및 주변 지역보다 더욱 적대적인 환경에 놓여있다는 것을 알고, 토론을 이끌기 위해 인천에서 내려왔다.
김 씨는 LGBT의 권리를 광주 인권 역사의 자연스러운 진보로 본다. 1970년과 1980년대 광주시민들은 민주주의를 위해 싸웠고, 1983년 즈음 민주주의는 소수 집단을 받아들이고 그들의 소리를 들었다.
한국에서 LGBT운동의 시작을 정확히 규정하기는 어렵다. 그것만의 단일한 역사가 없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성 정체성을 밖으로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동성 관계들은 수면 아래에 남아있다.
LGBT 이슈는한국에서는 때때로 외국의 문제로 여겨진다. 김 씨는 외국인 거주자들은 LGBT와 관련된 일상적인 문제들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표현함으로써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들과 한국인들은 그런 이야기를 들으면 적대적인 말을 중지하고, 누군가가 혹은 그(그녀)의 성적 취향을 공유하는 정서적인 지지를 줌으로써 동맹관계가 될 수 있다. 김 씨는 다른점이 아닌 닮은점을 찾고 답하기 전에 듣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대화가 종교적 신념에 의해 복잡할 수 있지만, 성적 취향과 종교는 모두 인간 다양성의 일부분이다. “종교와 무관하게, 다른 사람을 인정하는 것은 우리 모두 할 수 있는 것이다”고 김씨는 말했다.
한국에서 `다문화’란 단어는 보통 외국인이나 혼혈가족을 말할 때 사용하지만 모든 사람은 나이, 성, 성적취향, 소득, 지리적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문화와 상호작용하고 그 안에서 존재한다고 김씨는 설명했다.
LGBT 이슈에 대한 논의에 보통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하기 위해서 김씨는 성 정체성, 성 표현, 생물학적 성별, 성적과 낭만적인 매력 사이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만화 `Genderbread Person’를 보여주었다.
김 씨는 청중의 질문을 듣기 전에 초대 연사로 전남대학교 LGBT 동아리 학생 한 명을 소개했다. 신분 보장을 위해 그 젊은 남성은 가명을 사용하고 행사 중에 사진 촬영은 허용되지 않음을 요청했다.
통역사를 통해 그는 그가 자신이 알려질 것 같은 두려움 때문에 행사장에 오는 것이 긴장되었다고 말했다. 서울 출신인 그는 광주에는 다양성이 부족함을 잘 알고 있었다. 도시 전체 프로그램들은 없고 LGBT 조직은 오직 대학교 학생 동아리에만 있다.
그 전남대 동아리는 1년 밖에 안되었고 공식적으로 자금 지원을 받지 못한다.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그 동아리 멤버들의 신분이 등록되어야 하기에 학생들은 동아리 운영을 유지하기 위해 30~40명 되는 회원들의 회비를 모으고 있다. 이 동아리는 LGBT 사람들이 자유로울 수 있고 자신을 편하게 표현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이다.
동성애자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이 그들이 커밍아웃할 용기를 잃게 한다고 초대 연사는 인정했다. 커밍아웃은 회사로부터 폭력이나 퇴사의 위협을 동반한다. 군대 안에서 동성애 행동에 관한 법은 군복무 중인 게이 남성들이 그들의 성 정체성을 표현할 경우 투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몇몇 청년들은 커밍아웃하면 집에서 내쫓기고 보호센터가 있지만 국가 전체에 LGBT를 위한 실질적인 보호소는 없다. “커밍아웃은 내가 가진 모든 것을 파괴하고 독이 될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질의응답 동안 주어진 시간보다 더 많은 청중들의 질문이 있었다. 다과시간을 통해 작은 그룹들로 대화를 이어가기 전에 한 청중이 그 연사에게 만약 LGBT권리가 한국에서 추구되는 것이 너무 이른 것인가에 대해 물었다. 그 젊은이는 답변했다. “그 질문은 옳지 않다. 부당함이 있을 때에 시간은 문제되지 않는다. 우리는 지체하지 말고 바르게 고칠 필요가 있고 거기에 너무 일찍 이른 것은 없다”고 했다.
글=Laura Becker
번역=조남희 광주국제교류센터 인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