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트볼 노년층의 숨겨진 오락

Gate ball is similar to croquet which is played with balls and a stick on a field of grass, artificial turf or dirt. There are no records of the official introduction of croquet to Korea however, it was introduced to Japan in 1880s. Not until post WWII that the sports was known to the public. In 1947, Suzuki Kazunobu from Hokkaido created the game by adopting and modifying croquet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island in woods.
The game became popular soon after the 1964 Tokyo Olympics, when there was the “sports for all” boom throughout the Japanese archipelago. Not only the phenomenon but also the game’s easy and simple rules requiring relatively small amount of energy to play have attracted the elderly to the neighborhood fields.
It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in 1980s. Attempts to host the Asian Games and the Olympic Games in the 80s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rastructure of sports throughout Korea. At first, the gate ball clubs were established to provide more leisure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Union of Gate Ball Korea, the number of clubs around the country was dramatically increased and by 1998, gate ball was played regardless of age.
The players have 30 minutes to play and they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five with own designated numbers in order. There are three gates worth a point each and a goal pole worth two points in the middle of the field of 20~25m (65~82in) by 15~20m (49~65in). The two teams have five white and five red balls weighed 230g (0.5 lb) in a diameter of 7.5cm (3 in) ? the first attacking team normally takes the red - respectively for them to penetrate their balls into those gates and hit the pole to earn points. The ‘T’ sticks used for gate ball are not restricted in weight and material. However, the size of the head of the hammer-like stick should be between 18~24cm (7~9.5in).
The beauty of the game is the ‘Spark.’ Spark is a turn given to the player when he/she hits the other player’s ball. During the Spark, the player puts his/her ball right next to the opposition’s ball and step on both balls to put the opposition’s away with an impact by hitting his/her ball. Due to the special rule, it allows the players to come up with various strategies interrupting other players for their win.
Crowds of the elderly in their 60s and 70s visit Gwangju All-weather Gate Ball Field located right beside Sangmu Citizen’s Park in Seo-gu. “They come here for their well-being. Both mental and physical” said Lee Gyejeong, Secretary General of Gwangju Gate Ball Union. Currently, there are 800 members in 5 sub-associations in each district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Not only the elderly come here and play, but also they meet and make friends on the field. We also have formed good teams to compete in national level” Lee said with confidence. “We have won more than nine national competitions so far including the National Gate Ball Union’s Competition, Competitions hos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Korea Council of Sport for All.”
You may have wondered where all the elderly were in town but here they are, enjoying their new bonds of friendship created on the playing field. There are more than ten gate ball fields in the city and they are opened to everyone every day from morning till night.
Other than strolling around the park, spend time in district senior welfare centers and meeting new people in public bath, gate ball can also fit into the elderly’s weekly schedule. Senior citizens in Gwangju definitely have limitations upon their choice of leisure. Hence, this gentle sport sure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welfare of the aged.
Written by Namhee Cho
Researched by YoungJu Cho
-<원문해석>-
열명의 남성과 여성이 경기장 옆에 서서 자신의 번호가 불리길 기다리고 있다. 시간이 되자, 그들은 경기장 안으로 들어가 웅크리며 그들의 금속 막대기를 가이드 삼아 목표를 바라본다. 그들은 골프나 론볼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사실, 게이트볼을 하고 있는 것이다. .
게이트볼은 잔디장이나 인공 잔디 혹은 땅 위에서 공과 채를 가지고 하는 크리켓과 비슷하다. 한국에 크리켓이 언제 들어 왔는지 공식적인 기록이 남아있지는 않지만, 일본에는 1880년대에 처음 소개되었다고 한다. 세계 2차 대전 이후까지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았었다. 1947년에 홋카이도의 스즈키 카즈노부 씨가 숲으로 이루어진 섬의 환경을 고려하여 크리켓을 변형시켜 보급하였다.
1964년의 도쿄 하계 올림픽 이후 곧 유행하기 시작했는데, 이 당시 일본 열도 전역에 `모두를 위한 스포츠’ 봄이 일어날 때였다. 그런 현상 뿐 아니라 게임 자체의 쉽고 단순한 규칙과 힘들지 않다는 점은 동네 경기장으로 노년층을 끌어들였다.
1980년대에 한국에 처음으로 소개 되었다. 80년대에 아시안 게임과 올림픽을 유치하려는 시도는 한국 전역의 스포츠 인프라 형성에 기여하였다. 처음에 게이트볼 클럽은 지역공동체 노년층의 여가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한국 게이트볼 협회의 설립 이후 1998년 까지 한국 내의 클럽 수는 매우 놀랍게 증가하였으며 나이에 상관없이 많은 사람들이 즐기게 되었다.
각자가 지닌 번호의 순으로 5명씩 2개의 팀으로 나뉘어 30분간 경기를 진행한다. 1점을 득점할 수 있는 3개의 게이트가 있고, 가로 20~25m 세로 15~20m의 경기장 중앙에 있는 골 막대(골폴)를 명중하면 2점을 득점 할 수 있다. 두 팀은 230g에 지름이 7.5cm 인 빨간색 공 5개, 흰색 공 5개를 가지는데 처음 공격하는 팀이 대체로 빨간 공으로 경기한다. 각자가 공을 쳐서 게이트 안으로 통과시켜 막대를 쳐서 점수를 얻는다. 게이트볼에 사용되는 `T’모양의 채는 무게나 재질에 구애 받지 않는다. 그러나, 해머 모양 스틱의 헤드 크기는 18~24cm(7~9.5인치)여야 한다.이 게임의 묘미는 `스파크’이다. 스파크는 경기자가 자신의 공으로 다른 사람의 공을 맞힐 경우에 주어지는 기회이다. 스파크에서 경기자는 자신의 공을 상대방의 공바로 옆에 두고 공을 쳐서 그 충돌로 상대방의 공을 멀리 보낸다. 이러한 특별한 규칙 때문에 경기자들은 이기기 위해 상대방을 방해할 다양한 전략을 찾는다.
60~70대의 많은 사람들이 서구 상무 시민 공원 옆의 전천후 게이트볼장을 찾았다. “그들은 자신의 육체와 정신의 건강을 위해 이곳에 옵니다.” 광주시게이트볼연합회 사무국장인 이계정씨가 말했다. 현재 광주광역시의 5개 구에 있는 협회들의 총 멤버 수는 800여 명이다. “노인들은 여기 와서 경기를 할 뿐 아니라 경기장에서 친구를 만나고 또 새로 만들기도 합니다. 또한 저희는 전국 대회에서 겨룰만한 훌륭한 팀들이 있습니다.” 이씨는 자신감에 찬 목소리로 말했다. “우리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과 국민생활체육협회에서 주최한 전국게이트볼대회를 포함한 전국대회에서 9회 이상 우승하였습니다.
당신은 동네의 많은 노인들이 어디에 있는지 궁금할 것이다. 그들은 경기장에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우정을 즐기며 이곳에 있다. 광주에는 10개 이상 게이트볼 경기장이 있으며 매일 아침부터 저녁까지 모든 시민들에게 열려 있다.
공원을 그냥 돌아다니거나 노인복지센터에서 시간을 보내며 공중목욕탕에서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 이외에도, 게이트볼은 노년층의 주말 일정으로 알맞을 수 있다. 광주 지역 노년 시민들은 분명히 자신의 여가 활동의 선택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이 점잖은 스포츠는 나이든 분들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이 확실하다.
글 = 조남희 <광주국제교류센터 문화포럼사무국>
자료조사 = 조영주 <광주국제교류센터 회원팀>
번역= 신혜린 <광주국제교류센터 총무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