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로부터의 교훈:
5·18 광주민중항쟁 생존자이자 사회 활동가, ‘강용주’ 박사와의 인터뷰

 Dr. Kang can still remember the first gunshots of the Gwangju Uprising. He was not Dr. Kang then, but 18-year-old Kang Yong-ju. It was May 18th, 1980 and he was sitting in a bakery on Chungjang street in downtown Gwangju. He was meeting some girls from Chonnam Girls High School, when he says he not only heard the first shots, but felt the concussions from the mas well. It was in that instant, Dr.Kang said, that he “felt arage well up inside and decided to take action.”That was around 2pm.“By 5pm” he said,“There were helicopters in the sky and military troops on the ground.”

 The next day at school, he met his friends and discussed what he had seen. Terrible stories of shootings and beatings circulated. The more they talked, the angrier they became. The school took notice, and Dr. Kang and his friends were called into the principal’s office and told not to join the protest. It was dangerous and they had no place there.

 Despite the principal’s warning, Dr. Kang and his friends left school after 4thperiodandheadeddowntown.Whenaskedwhytheydidn’tstayawayfromtheprotest,Dr.Kangexplained “Wewereyoungandsowewerebraveandcourageous.”

 I did not get the full account of what Dr. Kang experienced during the Gwangju Uprising, but know that it included gun battles with Korean Special Forces and witnessing the bloody uprising firsthand. In an interview for Torture Magazine in March of this year, Dr. Kang said that at one point during the fighting he “threw his gun to the ground and ran away.” The guilt of this action haunted him and led him to activism as soon as he entered university.

 Once there, he became involved in a Gwangju activist group called “People’s Struggle,” or Mintu in Korean. Dr. Kang was a vocal leader and called for the boycotting of presidential elections across Korea. This act led to his arrest in 1985 by the Agency for National Security Planning (ANSP). For 35 days Dr. Kang was brutally tortured, and deprived of food and sleep by the ANSP. They wanted him to confess to his involvement in a “foreign student spy ring”- a false accusation.

 But Dr. Kang refused to admit any wrongdoing. In his mind, he was standing up for democracy and honoring the victims of May 18th, by continuing their struggle. This strength and determination cost Dr. Kang his freedom, as he was sentenced to life in prison in 1986, under a National Security Law. He was considered an enemy of the state. “I was the only one of my mother’s 9 children to go to college,” he told me. “You can imagine how hurt she was to see me go to prison.”

 In all, Dr. Kang spent 13 years and 8 months in prison before being released by presidential pardon in 1993. But one would never know he had endured such hardship by meeting him. He is friendly, even jovial, and tries to make those around him feel at ease. We met in a busy cafe near the Asia Culture Center. He arrived dressed smart yet casual, in a sport coat and jeans. He made jokes and smiled often.

 It became clear to me that Dr. Kang wants to create positive change in the world, through the lessons of his hardship. He does this in a number of ways. Besides being a medical doctor, he is also the director of the Gwangju Trauma Center (GTC)- a facility devoted to helping victims of May 18th overcome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llenges.

 He also uses his experience to educate others about democracy, social activism and human rights.

 Looking forward, Dr. Kang would like to see more scholarship on May 18th. “If you don’t remember the lessons of the past,” Dr. Kang warned “there is always a chance of repeating.” He claims that while there exists a May 18 Institute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y have not published much in recent years. He also says democracy in Korea is healthy, but he would like to see greater rights given to minorities and the working classes, as well as more “creativity” in politics. This creativity includes more negotiation between political parties (not just majority rule) and more grassroots movements in Korea, such as the $15 per/hour movement in the USA.

 When asked what aspect of the Gwangju Uprising people should reflect on this May 18th, Dr. Kang’s answer was simple: “Human rights.” He explained, “Until human rights are regarded obviously, like flowers in the field, or the air we breathe, there is work to be done.”

By Murdock O’Mooney



-<원문해석>-

 광주 민주화 항쟁에서 울려 퍼졌던 첫 번째 총성은, 강용주 박사에겐 여전히 귀에 선하다. 1980년 5월18일, 강 박사는 광주광역시 충장로 시내의 한 빵집에 앉아 있었다. 당시 18살이었던 강 박사는 전남여고 출신의 학생과 만나고 있었는데 그는 첫 번째 총성을 들었을 뿐만 아니라 그에 의한 충격 또한 느꼈다고 말한다. 강 박사는 바로 그 순간에 있었다. “저는 증오심이 솟구쳤고, 반드시 어떠한 조처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때가 약 2시쯤이었다. “5시까지 충장로 거리에는 군 병력이 포진해있었고, 하늘에는 헬리콥터들이 날아다녔습니다.”

 다음날, 학교에서 어린 날의 강용주 박사는 그의 친구와 함께 어제 사건에 관해 이야기했다. 끔찍한 총기 난사와 폭행에 대한 이야기는 이미 학교에 나돌고 있었다. 이야기하면 할수록, 강 박사와 그의 친구는 치밀어 오르는 분노를 참을 수 없었다. 학교의 교장은 강박사와 그의 친구를 교장실로 불러 그들에게 주의를 시켰다. 학생들이 오갈 정도로 시위는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교장은 그들이 시위에 참여하지 않기를 원했다.

 하지만 교장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4교시가 끝나자마자 강 박사와 그의 친구는 학교를 나와 시내로 향했다. 왜 시위를 피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강 박사는 답했다. “우리는 어렸기 때문에 용감하고 대담했어요.”

 필자는 강 박사가 경험했던 광주 민주화 항쟁에 관련한 모든 사건의 경위에 대해 알고 있지는 않았지만, 광주 항쟁에서 특전사와 총격전이 있었고 강 박사는 피바다가 된 광주 한가운데에서 이 사건을 직접 봤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이번 `Torture Magazine’ 3월호의 인터뷰에서, 강 박사는 총격전 도중에 “무기를 버리고 도망쳤다”고 고백했다. 자신의 이 행동에 대한 죄책감은 항상 그를 따라다녔고, 이 때문에 그는 대학에 가자마자 운동권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한다.

 예전에 그는 `민중의 투쟁’이라 불리는 광주의 시민 집단에 참여한 적이 있었다. 강 박사는 그 집단에서 강경한 리더 중 하나였고, 제5공화국의 그릇된 대통령 선거 방식에 대해 전국에 걸친 거부 운동을 주도했다. 이 운동 때문에 그는 1985년에 국가안전기획부에 체포되어 35일 동안 잔인하게 고문받고, 식음과 수면을 박탈당했다. 안기부 요원들은 강 박사에게서 `국외 학생 간첩망’에 연루되어있다는 거짓 자백을 받아내기를 원했다.

 하지만 강 박사는 스스로에 대한 어떠한 잘못도 부인했다. 고문은 계속되었지만, 그의 마음속에는 민주주의 실현에 대한 열망과 명예로운 5·18 희생자들의 죽음이 또렷했기에 버텨야만 했다. 강 박사는 그의 자유를 희생해 의지와 결단을 지켰고, 국가보안법 위반을 이유로 1986년에 무기징역을 선고 받았다. `국가의 적’으로 간주 받은 것이다. “저는 우리 어머님의 9남매 중에 유일하게 대학을 갔었어요.” 그는 덧붙여 말했다. “제가 감옥에 갔을 때 어머님이 얼마나 고통스러워하셨을지 상상이 가지 않습니다.”

 1993년 대통령령에 의한 사면이 있기까지, 그는 총 13년 8개월 동안 갇혀있었다. 매우 친절하고 쾌활하며, 사람들은 편하게 만드는 능력이 있는 그를 만나기 전까진, 사람들은 그에 가해졌던 압제가 얼마나 고통스러워했을지 결코 알지 못할 것이다. 우리는 아시아문화전당 근처의 번잡한 카페에서 만났다. 그는 스포츠 코트와 청바지를 입은, 말쑥하지만 편리한 차림을 하고 왔다. 그는 농담하고 자주 웃었다.

 그의 역경에 대한 교훈을 통하여 필자에게 있어 확실하게 다가온 것은, 강 박사는 세상이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이미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를 해왔다. 그는 현재 의사 신분 이외에도 5·18운동 희생자들이 가진 심리적·정신적·감정적 문제를 돕는 광주트라우마센터(GTC)의 원장이다. 그는 또한 그의 경험을 바탕으로 민주주의와 사회 운동, 그리고 인권에 대한 교육도 병행하고 있다.

 나아가 강 박사는 5·18운동과 관련한 장학금 확보를 희망하고 있다. 현재 전남대학교 교내에 5·18재단이 있지만, 지금까진 많이 알려지지 않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하며, “만약 우리가 과거를 통한 교훈을 잊게 된다면, 그 고통스러운 역사는 언젠간 반복될 것입니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지금의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양호한 수준이지만 노동자와 같은 소수 계급에 더욱 큰 권리를 줄 수 있는 훨씬 더 창의적인 정책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러한 창의적인 정책들이란 다수결의 원칙에 휘둘리는 것이 아닌, 여러 정당의 교섭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했다. 그는 또한 미국의 시급 `15$’ 운동과 같은 풀뿌리 민주주의가 우리 사회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람들이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의의와 의미에 반영된 정신이 물었을 때, 강 박사의 대답은 간단했다. “인권입니다.” 그는 마지막으로 덧붙였다. “초원의 꽃처럼, 우리가 마시는 공기처럼, 인권이 당연시하게 여겨지는 그 날이 오기 전까지는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글= Murdock O’Mooney

번역= 이태범<광주국제교류센터 자원활동가>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