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영화

여성 감독이 여성 배우들과 함께 여성의 삶을 조명해 관객들의 사랑을 폭넓게 받기란 쉽지 않다. 이와 같은 사례가 귀하다는 것은 이를 증명한다. 그런 점에서 ‘미씽: 사라진 여자’(이하 미씽)는 흔치 않은 조합을 실행에 옮기며 이를 장점으로 승화시킨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영화가 시작하면 일에 쫓기는 지선(엄지원)의 모습이 보인다. 지선이 바쁜 이유는 생업과 양육을 동시에 해결해야 하기 때문인데, 이런 상황에서 지선은 딸을 중국인 보모 한매(공효진)에게 맡기게 된다. 그런데 더할 나위 없이 딸을 잘 보살펴 주었던 한매가 딸과 함께 종적을 감추며 영화는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미씽’은 이제 추적극이 된다. 그러니까 지선은 자신의 딸을 데리고 도망쳐버린 한매의 뒤를 쫓아 한매가 어떤 이유로 사라졌는지에 대한 비밀을 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결국에는 한매 역시 한 때 딸을 둔 엄마였음을 확인한다.
그렇다. 지선과 한매는 국적도 다르고 살아가는 조건도 다르지만 아이를 낳고 길러야 하는 엄마라는 점, 그리고 두 인물 모두 자신의 아이를 제대로 돌보지 못해서 가슴이 미어지기도 했다는 점에서 공통분모로 묶인다. 그러니까 이 영화는 여성이 어미로서 가지는 어떤 본능, 다시 말해 ‘모성’(母性)을 이야기하고자 지선과 한매라는 인물을 창조했던 것이다.
문제는 지선과 한매가 자기들이 낳은 그 생명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애쓰는 지극한 마음은 여느 누구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지만, 처해 있는 조건은 아이를 잘 키우기가 탐탁지 않다는 것이다. 지선은 이혼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아이를 남편에게 빼앗기지 않기 위해 돈 버는 일과 아이 양육을 병행해야 했고, 한매는 이주여성으로 농촌에 시집와서 애를 낳았지만 아이를 키우는 것이 요원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 영화의 동력은 바로 여기서 발생한다. 지선은 실종된 딸을 찾기 위해 어미로서의 본능을 표출하고, 한매는 자신의 아이를 잘 보살필 수만 있다면 어떤 일이라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미씽’은 ‘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한 명이 아닌 두 명의 엄마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렇게 두 엄마의 행동을 따라가다 보면 대한민국의 민낯과 만나게 된다. 지선은 일과 양육을 병행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물론 사회적 편견에서도 자유롭지 못하고, 한매의 모습에서는 가정폭력은 물론 세상의 폭력에 노출된 이주여성의 삶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지선과 한매는 처해있는 처지는 다르지만 결국 사회적 약자로서의 여성이자 소수자의 삶을 대변하는 것이다.
이 영화가 흥미로운 것은, 두 엄마의 모성의 이야기를 스릴러의 형식으로 풀었다는 점이다. 이 형식은 관객들을 극 속으로 몰입시키는데 있어 상당한 힘을 발휘한다. 극이 진행되면서 비밀이 한 꺼풀 씩 벗겨지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이 영화는, 막바지에 이르러서 한매가 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는가를 관객들에게 충분히 설득시키기 때문이다.
그리고 ‘미씽’은 영화의 만듦새에 있어서도 전체적으로 높은 완성도를 보여준다. 조명을 포함한 촬영은 안정되어 있고, 과거와 현재를 수시로 오가는 속도감 있는 편집은 이 영화가 상업영화로서도 손색이 없음을 증명하기 때문이다.
일찍이 ‘…ing’과 ‘어깨너머의 연인’을 연출하기는 했지만 이렇다 할 주목을 받지 못했던 이언희 감독은, 여성 감독으로서 여성의 정체성을 담아낼 수 있는 영화를 깊게 고민했던 것이고, 그리고 그 어떤 것도 아닌 ‘모성’을 이야기의 중심으로 끌고 들어와 보란 듯이 자신의 존재를 증명했다. 그렇게 ‘미씽’은 여성의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영화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조대영 <영화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