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란 교수 자녀교육 일기]

요즘 우리 생활은 부득이하게 변화된 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평소에 쉽게 “밥 한 번 먹어요!”라고 주고 받던 인사말조차 “조금 편안해지면 한 번 만나요! 그 때가 언제가 될지는 아직 잘 모르겠지만요”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예전에는 살면서 ‘하면 될 것 같아!’라는 생각이 많았다면 지금은 ‘열심히 해도 되는 일이 없을지도 몰라!’라는 생각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긍정과 몰입에 대해 이야기한 마틴 셀리그만의 연구를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펜실베니아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인 마틴 셀리그먼은 24마리의 개를 실험했습니다.

24마리의 개를 8마리, 3개 집단으로 만들어서 상자에 넣고 2집단의 개에게는 전기 충격을 주었습니다.

첫 번째 집단의 개들은 조작기를 누르면 전기 충격이 멈추도록 제작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 집단의 개들은 어떠한 대처도 할 수 없도록 줄에 묶어서 개들은 스스로 어떠한 대처도 할 수 없이 전기 충격을 받는 상황을 만들어주었습니다.

마지막 세 번째 개들은 전기 충격을 주지 않았습니다.

하루가 지난 이후 이들 세 집단의 개 24마리를 모두 가운데 놓인 장애물을 쉽게 넘어가서 전기 충격을 피할 수 있도록 만든 상자에 옮겨 놓고 다시 전기 충격을 주었습니다.

그런데 24마리의 개들은 이전 경험의 영향으로 집단별로 다른 행동을 보였습니다.

자신이 노력해서 전기 충격을 피했던 경험을 했던 개의 집단, 아무리 노력해도 전기 충격을 피할 수 없었던 개의 집단, 전기 충격을 주지 않아 아무런 고통도 경험하지 않은 개의 집단 모두 다른 행동을 했습니다.

이미 개들은 스스로 장애물을 극복하고 성공한 집단의 개들은 상자 중앙에 놓인 장애물을 넘어 전기 충격을 피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노력해도 끈에 묶인 채 자신의 노력으로 전기 충격을 피할 수 없었던 개들의 집단은 전기 충격이 주어지자 무기력하게 구석에 웅크리고 앉아 전기 충격을 고스란히 온 몸으로 당하면서 고통스러워하였습니다.

이처럼 자신이 노력해도 그 상황을 극복할 수 없던 경험이 누적되면 어떤 일을 해도 그 상황을 극복할 수 없을 것이라고 미루어 짐작하고 어떤 노력도 기울이지 않게 된 것입니다.

셀리그먼은 자신의 노력으로 피할 수 없는 전기 충격을 경험한 개들은 얼마든지 피할 수 있는 전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피하려고 노력하지 못하는 것을 보고 이를 ‘학습된 무기력’이라고 했습니다.

아무리 노력해봤자 성공할 수 없다고 느끼고, 성공할 수 없으니 차라리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는 현상을 말합니다.

노력해도 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되다 보면 나중에는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는 상황이 되어도 아예 시도조차 하지 않고 자포자기하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무기력은 전기 충격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전기 충격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고 자신이 통제할 수 없다는 경험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사람들에게도 견디기 힘든 소음 상황을 주었을 때 자신이 노력해도 소음을 피할 수 없는 상황 이후에는 소음을 멈추기 위한 행동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상황을 경험하고도 무기력에 빠지지 않고 다시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힘은 실패를 그저 잠시 일시적인 후퇴로 여길 수 있는 부모님의 모습을 볼 수 있다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희망적이고 낙천적인 사람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지금 부모님의 따뜻하고 낙관적인 삶의 모습은 자녀의 미래 모습일 수 있습니다.

문의: kimklan@kwu.ac.kr

김경란 광주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