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국 시민 활동가 50여명 참여 토론회 열려
"후쿠시마 반면교사 삼아 핵발전소 폐쇄해야"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출 대응을 위해 한·중·일 3국이 모여 시민사회 포럼이 개최됐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 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 탈핵시민행동, 동아시아기후네트워크가 지난 17일 오후2시 NGO센터 시민마루에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대응 한∙중∙일 시민사회 포럼’을 개최했다.
단체에 따르면 이날 한국, 중국, 일본의 시민활동가 50여 명은 현장 및 온라인에서 만나,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 배출 문제를 자세히 살펴보고 각국의 대응 활동 상황을 공유했다.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문제와 더불어 각국의 핵발전소의 문제도 살폈다.
일본 지구의 벗 ‘미츠타 칸나’ 사무국장은 발표에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성분 및 처리 과정, 도쿄전력의 방류 계획, 방류 외에 검토한 대안, 일본 정부의 어민과의 약속 파기와 어민들의 반대활동에 대해 이야기 했다.
미츠타 칸나 사무국장은 “방사성 물질을 더 이상 바다에 배출해서는 안된다"며 "방사성 물질은 시설외 외부환경으로 배출 시키는 것이 아니라 집중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국측 발표자로 나서 환경운동연합 안재훈 에너지기후국장은 한국의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대응 활동 현황(전국공동행동 발족, 지역어민들의 반대활동 등)을 소개하고 한국의 핵발전소 문제를 언급했다.
안 국장은 영광핵발전소(한빛) 격납건물 공극 문제, 경주핵발전소(월성) 삼중수소 누수 문제, 고준위핵폐기물 등을 이야기하며 “후쿠시마 핵사고에서 반면교사 삼아 핵발전소가 가지고 있는 위험성에 다시 한번 경각심을 가지고 대응해야 한다. 핵발전소 조기 폐쇄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측 발표자 장시성 칭간환경보호교육센터 류단 사무국장은 “중국에서도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에 대한 우려가 높고, 방류계획에 대한 공동 성명서를 냈다”며 “방사성 오염수가 특정 국가만의 문제가 아닌 만큼 국제가사회가 공동으로 대응하자”고 제안했다.
토론에 참여한 한∙중∙일 3국은 이날 향후 지속적으로 국제연대를 지속해 나가기로 약속했다.
토론자들은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 방류 반대’, ‘핵발전소 반대’ 등의 피켓을 함께 드는 퍼포먼스로 포럼을 마무리했다.
김은유 기자 metaphor@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