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능기부스토리](427)쓰레기 아닌 자원으로
광주재능기부센터 ‘지구 살리기’ 한발 더
광주재능기부센터는 꾸준하게 쓰레기를 줄이고 자원을 재활용하며 업사이클링을 통한 자원 순환에 앞장서왔습니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학원 가방 등의 재활용도 그 중 하나입니다. 이들 가방은 원래 재활용이 되지 않아 쓰레기 봉투에 버려야 했습니다. 이렇게 매년 버려지는 가방들이 쓰레기양을 늘리는 것을 보고 재활용 방법을 고민하다 아시아 빈곤국가 어린이들에게 보내면 좋겠다는 생각에 이르렀습니다.
한류 영향으로 아시아 각국에선 한글이 써 있는 물건들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굚 게다가 우리나라의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가방이 컬러풀하고 디자인이 좋고 내구성이 뛰어나 인기가 좋다는 걸 알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리나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그리고 학교는 2월에 졸업하고 3월에 입학하는 시즌이지만, 아시아의 많은 국가들은 5월과 6월이 졸업과 입학 시즌이어서 시기적으로 맞았습니다. 우리나라 졸업과 입학 시즌에 집중적으로 가방을 모아 보내면 6월 달에 입학하는 아시아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됩니다.
평소 가방을 갖고 다니지 않던 학생들이 한글이 써져 있는 예쁜 가방을 선물을 받으면 너무나 기쁜 나머지 안고 잔다고 합니다. 이렇듯 우리는 돈을 주고 버려야 하는 가방이지만 아시아 나라의 학생들에게는 소중한 선물이 되는 재활용을 재능기부센터가 실천하고 있습니다.
고장 난 우산을 기부받아 수리해 공유우산으로 필요한 곳에 배분하고굚 수리가 불가능한 것은 우산 천을 재활용해 선풍기 케이스나 에코백을 만들어 배분을 하고 있습니다굙 우산 손잡이는 옷걸이 등으로 업사이클링 하고 있습니다.
우산은 캡과 원단, 팁과 우산띠, 중봉, 손잡이, 버튼, 손잡이 끈 등으로 구성이 돼 있어 분리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우산이 고장나면 그대로 버리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그래서 환경을 지키고 쓰레기를 줄이며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해 고장 난 우산을 모아 새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우리 주변에는 사용 가능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물품들이 쓰레기가 되고 있어 광주재능기부센터가 광주 새활용센터 ‘더 새로이’를 만들기 위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순천에 있는 업사이클링 센터와 충북 청주와 전북 전주에 있는 새활용센터 등을 방문해 벤치마킹했고, 외국의 사례도 찾아보며 준비하고 있습니다.
얼마 있지 않으면 광주도 쓰레기 매립장 사용이 종료됩니다.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쓰레기 대란은 불을 보듯 뻔한 상황입니다.
재능기부센터가 준비 중인 새활용센터 ‘더새로이’가 만들어지면 시민참여형 프로그램들을 마련하여 새 활용을 권장하고 지구를 살리는 일에 앞장설 것입니다.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전남대학교병원 공공 보건의료사업팀에서 아동서적 4박스, 장남감과 교구 1박스, 미술&음악물품 1박스를 광주재능기부센터에 기부해주셨습니다. 물품들을 기부해주신 전남대학교병원 공공 보건의료사업팀 직원들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강남물산’ 김준동 대표가 “무더운 날씨에 고생이 많다”면서 커피와 음료 10잔을 배달시켜주셨습니다. ‘강남물산’ 김준동 대표는 광주재능기부센터를 통해 김, 컵라면, 간편식 등을 지속적으로 기부해주고 계십니다. 김준동 대표의 응원에 힘입어 더욱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광주재능기부센터 용봉점 복합문화공간 아낌없이 주는 나무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재능 나눔 수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우선 방학 기간 동안 실시하는데 7월 24일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12시까지 첫 수업을 합니다.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12시까지 진행하는 중학교 수학 수업에 참여를 원하면 010-3642-1177번으로 신청하기 바랍니다.‘광주재능기부센터 용봉점’은 북구 설죽로 203. (용봉동 패션의 거리 뉴발란스 4층)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장우철 (광주재능기부센터 사무처장)
▶문의사항 (그 밖의 센터에 대한 문의도 가능)
“광주재능기부센터. 나눔 N JOY”
전번 : 062)431-0918
카페 : 다음카페 ‘광주재능기부센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