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고샅길 따라-08

“우리는 날만 새문 딜다봐.” “놀문 뭣해. 일바구리 있으문 우리는 니야내야 없이 달라들어.” 우대순(왼쪽), 이정자 할매.
“우리는 날만 새문 딜다봐.” “놀문 뭣해. 일바구리 있으문 우리는 니야내야 없이 달라들어.” 우대순(왼쪽), 이정자 할매.

“나는 요 고샅 뒤에 살아. 하루에 열댓 번도 더 와. 들랑날랑.”
“우리는 날만 새문 딜다봐.”

남원 금지면 방촌리 방촌마을 이정자(87) 할매가 늘 이무롭게 내 집 드나들 듯하는 곳, 우대순(73) 할매 집이다.

“인자 까서 자석들 주제. 딸네들 다섯, 아들 하나. 여섯으로 나눠야써.”

우대순 할매가 마늘 까는 옆에서 이정자 할매도 내 마늘인 양 까고 있는 중이다.

“무단시 도와준다요.”

“놀문 뭣해. 일바구리 있으문 우리는 니야내야 없이 다 달라들어. 촌에는 뭐든지 함께 달라들어.”

“우두거니 앙겄는 것이 일하는 것보다 더 힘들어.”

“촌 어매들은 팽생 일하는 습관이 들어서 손을 놀리문 애가 터져. 머이든 일을 보문 몬칠라그래싸.”

이정자 할매는 그래서 기어이 일을 손에 몬치고 있는 중인 것이다.

이정자 할매의 아들 내외는 시방 밭에 가 있다.

“광주 사는 아들이 왔다갔다 해. 혼자 사는 어매를 못 잊어서 늘 자주로 와. 아들이 또랑 건네밭에 꼬치 줄 매러감서 오지 말고 여가 있으란디. 어찌고 하고 있는지 궁금해서 가보고잡구만.”

“오지 마란디 머더게 가. 가서 단도리할라고?”

“가서 보기만 보고 있제, 시방사람들한테는 말 한자리 못해.”

“오매 가지 마랑께. 가문 존 소리는 못 들을 것이여.”

그 뒤에 펼쳐질 장면과 상황을 훤히 짐작하는 이웃지간인 것이다.

“우리 아들이 와갖고 내가 집에 없으문 바로 밭으로 달려와. 맨나 나 일한다고, 밭 폴아분다고 고함을 질러. 존일에 팔아불어, 팔아불어, 나도 그러코 고함을 질르제.”

밭을 두고 오가는 어매와 아들의 대화는 매양 그렇다.

마늘 까고 있는 중에도 이정자 할매의 마음은 아들이 일하는 밭에 가 있다.
글=남신희·임정희 ‘전라도닷컴’ 기자
사진=박갑철 ‘전라도닷컴’ 기자
※이 원고는 월간 ‘전라도닷컴’(062-654-9085)에도 게재됐습니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