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고샅길 따라-12

“이삔께 같이 볼라고.” 임남순 할매네 집 앞. 담벼락 바깥으로 옮겨 심은 꽃이 고샅을 환히 밝히고 있다.

안마당에 피었던 꽃. 담벼락 바깥으로 옮겨 심었더니 고샅을 환히 밝히고 있다.

“이삔께 같이 볼라고.” 임남순(83·보성 조성면 봉능리 봉산마을) 할매 말씀.

대문 나와서 몇 발짝 길을 건너면 바로 밭이다.

“내 푸접이제. 밭 요것 한 쪼각 지서. 밭 없어. 팽생 일해도 팽생 놈의 일만 했제, 장만을 못했어. 애를 쓰고 일해도 땅을 못 사. 애초에 없응께. 소도 어덕이 있어야 문대제. 나는 어덕이 없이 팽생을 살아. 일도 일도 나같이 몸썰나게 한 사람 있으까. 내 밭으로 내 논으로 가문 더 재미지제.”

할매는 그 재미를 못 누리고 살았다.

“몸땡이는 째깐해도 일을 잘해. 긍께 내 별명이 ‘이앙게’여. 모 잘 숭근다고. 보지런하다고 ‘볼보리’라고도 부르고. 일을 가문 그 집 쥔네가 좋아라 해. 좀 쉬었다가 하라고 맨나 그 소리를 들어. 옆엣사람은 ‘얼릉얼릉하라’는 말 들을 적에.”

어덕 없이 살아온 할매의 어덕은 스스로 보지런한 것이었다.

“우산각 쪽에 있는 밭도 벌초해주고 지서묵었는디 인자 힘이 들어 못하고 요것만 지서. 아칙마다 대문 열고 젤로 몬자 보는 것이 요 밭이여. 폿 숭구고 콩 숭구고 꽤도 숭구고….”

영감님 돌아가신 지 벌써 수십 해.

“그 냥반도 일만 일만 애쓰고 하고. 팽생 놀아보도 못하고 갔제.”

“저하고 나하고 둘 살아”라고 할매가 말하는 식구는 ‘메리’라고 부르는 개.

“딸 둘 아들 둘인디 아들 한나가 작년에 요때 가불었어. 저 개도 우리 아들이 나도 없고 어매 혼자 살문 쓸쓸하다고 작년에 갖다준 거여. 개만 봐도 더 아들 생각이 나. 내가 대신 갔으문 얼매나 좋아. 내가 가고 지가 살고.”

빨간 꽃 이쁘게 핀 그 고샅 대문 너머, 할매가 혼자 가슴에 품고 견디는 아픔과 그리움이 있다.

“사람이 살자문 다 사연 많애, 누구든지.”

그 너머를 모르고 산다.

글=남신희·임정희 ‘전라도닷컴’ 기자
사진=박갑철 ‘전라도닷컴’ 기자
※이 원고는 월간 ‘전라도닷컴’(062-654-9085)에도 게재됐습니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