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민원 해결 앞장, 민주당 후보 이긴 힘”
군공항 소음 피해 등 대책 앞장 승소 큰 역할
“진보정당 다른 의원들과 민생 정치 확실히"

의회실에서 업무를 보고 있는 국강현 당선인.
의회실에서 업무를 보고 있는 국강현 당선인.

 6·1지방선거 광주 기초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 4명을 제치고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한 광산구의회 국강현 당선자가 화제다.

 그는 이같은 1등의 비결을 군공항 소음 피해 등 민원 현장에서 10년 넘게 주민들과 함께 해온 소통과 밀착 의정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5일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일 실시된 지방선거에서 총 18석의 광산구의회는 민주당 소속 14명이 당선된 가운데 나머지 3석은 진보당이 차지했다.

 국 당선자는 광산구 가선거구 후보자 7명과 경쟁해 6200표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 4선 성공이다. 2등(5343표)와는 900표 차. 민주당 텃밭 광주 기초의회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 외 1위는 국 당선자가 유일하다.

 1위 비결은 뭘까? 그는 “주민과 소통하고 민원 해결을 위해 노력해왔다”는 점을 앞세운다.

 국 당선자는 군공항이전 및 소음피해 대책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15년 만에 승소 판결을 받아내는 데 역할을 했다. 또 평동산단 폐기물 소각장 부지 매각 관련 의혹 제기 등 주민들의 우려를 앞장서 행정기관에 전달하고 있다.

광산구의 한 아파트 단지 앞에서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사진=국강현 의원 페이스북
광산구의 한 아파트 단지 앞에서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사진=국강현 의원 페이스북.

 국 당선자는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선거과정에서의 주민들의 진보당에 대한 특별한 기대를 감지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지지자들이 서로 투표를 독려하며 진보당 후보를 지원해줬다”는 것.

 민주당 텃밭에서 진보당 후보인 자신에 대한 이같은 애정과 관련, 그는 “그만큼 민주당에 대한 실망이 큰 것”이라면서 “반면 진보당 후보에 대해선 고정적인 지지층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한 근거도 제시했다. 국 당선자에 따르면 제7회 지방선거에서 광주 투표율은 59.3%였고, 이번(8회) 지방선거 투표율은 37.7%로 21.6%가 하락했다. 하지만 국 당선자가 얻은 득표수는 7회 6221표, 8회 6200표로 비슷한 수준이다.

 이같은 주민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그의 향후 의정 활동은 `더욱 주민 곁으로’이다.

모내기 농가를 방문해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사진=국강현 의원 페이스북.
모내기 농가를 방문해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사진=국강현 의원 페이스북.

 국 당선자는 “4대·5대 때는 광산구의회에서 진보당 소속이 혼자였지만 이번엔 동료의원이 2명(김은정, 김명숙)이 더 생기고, 정의당(한윤희) 의원도 있어서 든든하다”면서 “조례, 건의안, 입법촉구결의안 등 우리 독자로 청원할 수 있는 의석수이므로, 더 활발하게 주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과거 민주노동당 의원시절 처럼 진보당이 주민들 속으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에 있다”면서 “주민들과 손잡고 진보정치·민생정치가 무엇인지 활발하게 보여줄 것”이라고 다짐했다.

 또 “이번 선거는 어느때의 당선보다 의미가 깊다”면서 “진보정치에 대한 주민들의 기대감에 책임이 무겁지만 향후 더 큰 진보당으로 가는 길에 도움이 될 것 같고, 힘이 난다”고 말했다. 그는 “2026년 광산구정을 집권할 꿈을 꾸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박현아 기자 haha@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