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무등산 볼더링 페스티벌]
민현빈-한스란 `암벽 부부’
암벽을 오르는 종목 `클라이밍’. 그 중에서도 `볼더링’은 안전벨트와 로프 없이 맨 손과 맨 몸으로 정상을 정복하는 종목이다. 신체에 어떠한 보호장구도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몸을 보호해줄 수 있는 수단은 `볼더링 패드’가 유일하다. 이 때문에 볼더링 패드의 위치를 잡아주는 보호자의 역할 또한 중요하게 여겨진다.
지난 5일 무등산 선비바위 일대에서 개최된 `2022 무등산 볼더링 페스티벌’에서는 서로가 바위 정상에 오를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남녀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들은 민현빈(대구시체육회 소속), 한스란(중부경남클라이밍, 노스페이스 클라이밍팀 소속) 부부.
두 사람은 세계 스포츠 클라이밍 선수권대회와 국제 스포츠클라이밍연맹 월드컵에 함께 출전하기도 한 국가대표 부부다. 특히 민현빈 씨는 전국체육대회 스포츠 클라이밍에서 금메달을 다섯 차례, 은메달과 동메달을 한 차례 씩 차지할 정도로 빼어난 실력을 자랑한다. 이러한 실력을 바탕으로 부부는 이번 대회에서 처음 공개된 코스 `백년가약’에 함께 도전했다.
이번 페스티벌에 참가한 계기를 묻자 부부는 “평소에 자연 볼더링을 좋아했다”며 “최근에는 리드 클라이밍을 주로 하다가 마침 시기에 맞게 볼더링 페스티벌을 한다고 해서 참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무등산을 `볼더링 천국’으로 칭했다. 민현빈 씨가 “무등산은 어프로치도 마음에 들고 가장 내추럴한 느낌이 드는 지역”이라며 “다른 지역에 비해 바위와 자연이 잘 어우러지는 볼더링 천국”이라고 언급하자 한스란 씨도 “남녀를 가리지 않고 누구나 충분히 할 수 있는 난이도의 볼더가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부는 “바위가 굉장히 많은데도 모두 가깝게 모여 있고, 바위를 멀리 옮겨 다니지 않기 때문에 온전히 바위를 타는데 집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인상 깊었던 코스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먼저 민 씨는 “2019년 이벤트 코스였던 난이도 V10의 세모(가칭)에 가장 먼저 도전했다”며 “날카로운 부분도 있었지만 루트 스타일과 동작이 괜찮았고, 사선으로 되어있어서 몸이 쏟아지는 느낌이 들다보니 랜딩이 어려웠지만 재밌었다”고 말했다.
이어 한 씨는 “올해 남성 이벤트 코스인 `백년가약’과 여성 이벤트 코스인 `애물단지’를 모두 해내고 싶었다”며 “결국 둘 다 해냈는데, 홀드가 잡히는 느낌뿐만 아니라 슬로퍼 같은 부분에서 몸도 써야하고 탑 아웃도 굉장히 높아서 무서웠지만 정말 짜릿하고 재밌었다”고 언급했다. 한스란 씨는 이번 대회 여성 이벤트 코스인 `애물단지’를 가장 먼저 정복해내며 시상대에 오르기도 했다. 한 씨에게는 DH글로벌에서 후원한 60만 원 상당의 `스테닉’ 제빙기가 수여됐다.
부부는 다음 대회에 대한 기대감도 숨기지 않았다. 부부는 “올해 새로운 코스도 정말 재밌었기 때문에 내년 새로운 코스도 벌써 기대된다”며 “난이도를 떠나서 새로운 경험을 하기 위해 무조건 참석하겠다”고 밝혔다.
한규빈 기자 gangstar@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