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가 ‘장애인의 날’이었지만 정작 장애인들의 이동권 보행권 등 편의는 그다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들이 많다. 지난 1981년 ‘장애인의 날’까지 제정, 이들에 대한 인권 및 기본권 보장에 나섰지만 개선이 더딘데다 이웃나라 일본과 비교해도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편의시설은 어느것 하나 나은 측면이 없는 현실이라니 씁쓸하다. 이래서야 어찌 ‘함께 사는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인지 답답할 따름이다.
무엇보다 장애인들에게 직접적인 제약으로 다가오는 보행권과 이동권의 답보가 가장 한심스럽다. 이들의 보행권·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장애인의 날이 제정된 지 무려 43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각 지지체마다 선포한 장애가 없는 ‘무장애 도시’는 예산 등 각종 이유로 그다지 나아지지 않고 있은 채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특히 이웃나라 일본과 비교해 봐도 ‘무장애 도시’의 길은 구호에만 그친 채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니 답답할 노릇이다.
가장 대표적인 사안이 시민의 발이라 할 수 있는 저상버스 도입률로, 도시별 편차가 큰 도입률 수치를 보면 한숨만 나온다. 국토교통부의 저상버스 도입 현황을 보면 전국 저상버스 도입률은 2018년 23.4%에서 2021년 30.6%로, 보급률은 해마다 약간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지역 광주시의 경우, 지난 2021년 기준 29.7%에 그쳐 전국 평균에 다소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다 서울시 도입률 59.7%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특히 저상버스가 운행하고 있다지만 모든 노선에 저상버스가 다니는 것도 아니라니 실효성에 고개가 저어질 수 밖에 없는 이치다.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모두 함께 생활할 수 있는 권리는 보장받아야 마땅하며 또 그래야 진정한 무장애 사회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몸이 불편한 장애인들의 기본권이라 할 수 있는 이동권 및 보행권이 차별없이 보장돼 동등한 환경에서 생활해 나갈 수 있는 것이 첫 걸음이라고 본다. 따라서 우리 사회가 장애인들의 장애물을 치우고 문화적 장벽까지 허물어 이들에 대한 차별을 없애 나가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 나가야 마땅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