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환경운동연합 논평 “탄소중립 목표 맞는 투자 필요해”

광주광역시청사.
광주광역시청사.

온실가스 등이 지구 생태계 전반에 큰 영향을 끼치면서 광주시도 ‘2045 탄소중립 에너지 자립도시’를 이룰 것을 선포했으나, 구체적인 실행 의지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광주시정 전반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주류화가 필요하나, 역대 최악의 가뭄을 겪으며 빗물 및 중수도 시설 등 물 재이용 활성화 추진이 없었으며 도시의 열섬 완화를 위한 대책도 부족하다는 것.

22일 광주환경운동연합은 지구의날 논평을 내 “올해 광주 탄소중립정책과 신재생에너지 보급계획 등 컨트롤 타워인 광주 기후위기대응위원회와 에너지위원회가 출범했으나, 여전히 세부계획에 대한 논의 없이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4월 14일 개최된 광주 에너지위원회 1차 회의 안건인 ‘시 본청 출입 승용차 요일제 적용 제외 승인 건’으로 새벽 출근을 하는 환경미화원 차량 9대의 요일제 적용을 제외해달라는 단 1건만이 상정됐으며, 광주시 에너지정책과 방향에 대한 충분한 공유의 논의 시간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

환경연합은 “세계생물다양성 협약에 따라 2030년 30%의 지역을 자연 보호구역으로 관리해야하나, 보호구역을 지정하기 위한 예산 수립은 뒷전이고 영산강 수질 개선이나 하천 생태계획보다 하천변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어 “광주는 ‘광주 2045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대한 의지를 갖고, 실질적인 계획들을 서둘러 시행해야 한다”며 “과감한 공공재정 투입과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지역기업의 RE100 활성화 등 적극적인 에너지전환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현아 기자 haha@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