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가 제 43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이웃나라 일본과 비교해가며 연재한 기획 시리즈를 통해 우리나라 장애인들의 현실을 추적해본 결과,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인식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들의 이동권·보행권에 대한 개선이 더디고, 행정기관들의 관련 민원도 핑퐁 처리와 같은 구태들이 사라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래서야 소외와 차별이 없고 자립할 수 있는 ‘장애인 친화도시’를 어찌 만들 수 있을지 의문이다.

 장애인들에게 가장 직접적으로 와닿는 보행권·이동권 실태는 우리가 장애인들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갖고 있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현재도 서울에선 장애인들이 ‘지하철 타기 투쟁’을 펼치고 있지만 보행권·이동권 문제와 관련이 있는 저상버스 등 광주시의 전동휠체어 전용버스 도입률은 전국 평균치에도 못미친다는 것이다. 장애인 관련 민원도 그리 만족스럽다 할 수 없다. 광주 장애인 정책의 전반적인 업무는 장애인복지과 소속이긴 하나 저상버스·장애인 새빛콜 민원은 대중교통과, 시각장애인 점자블록은 도로과 등 여러 부서로 나눠져 있다니 답답할 따름이다.

 무엇보다 장애인에 대한 우리사회의 편견과 인식이 그다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착잡하다. 우리가 흔히 쓰는 장애인과 일반인이라는 표현이 장애인은 비정상인이고 일반인은 정상인이라는 인식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부인키 어렵기 때문이다. 장애인 정책을 펴는 공무원은 물론 비장애인들의 장애인을 바라보는 인식 개선이 선행되지 않으면 저상버스·새빛콜·보행 환경·지하철·일상 등 모든 것들이 변하지 않을 것임은 불문가지인 셈이다.

 광주시가 엊그제 제 2차 장애인 정책 종합계획을 수립, 5대 분야 42개 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점은 그래서 기대를 갖게 만든다. 하지만 장애인들을 이웃처럼 차별없이 대하는 일본의 경우에서 보듯 인간의 기본권인 보행권·이동권 등 장애인 정책 전반의 문제는 예산의 문제이지만 관심의 문제가 더욱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같은 정책과 함께 장애인들이 위험스럽지 않고 차별을 받지 않는 관심과 인식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려 사는 ‘장애인 친화도시 광주’의 모습을 구축해 나갈 일이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