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현장]“‘극한 호우’에 시멘트 작업 안전 불감증”
시공사 “타설 시작할 땐 비 안 와…보양 작업도 함께 해”
전문가 “시멘트 물 배합 중요. 우천시 타설 않는게 원칙”

비가 내린 지난 17일 오전 9시경 화정동 인근 신축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들. 제보자 제공.
비가 내린 지난 17일 오전 9시경 화정동 인근 신축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들. 제보자 제공.

 비가 오는 날 아파트 공사 현장서 이뤄지는 콘크리트 타설에 대한 불안감이 큰 가운데, 광주서도 최근 빗속 콘크리트 타설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다.

 이번 주 지속적인 폭우 속에 벌어진 일로, 사전에 ‘많은 비’가 예보돼 있었다는 점에서 시공사 측의 안전 불감증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18일 본보에 이 같은 현장을 목격해 사진과 영상으로 촬영해 본보에 제보한 A 씨. 그는 전날(17일) 오전 화정동 신축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폭우 속 콘크리트 타설 장면을 발견하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 이곳은 지난해 1월 공사 중 외벽 일부가 붕괴돼 전국적으로 충격을 준 화정아이파크 현장과 멀지 않은 곳이어서 충격이 더 컸다. 이날 광주·전남지역은 며칠째 이어지는 ‘극한 호우’에 들어 있었다. 광주지방기상청은 17일 100~200mm의 강하고 많은 비를 예보한 바 있다.

 제보자는 “시멘트는 굉장히 예민한 것으로 물과 섞이면 안 되는 것인데, 장마철일 뿐만 아니라 100~200mm 이상 많은 비가 내린다고 예보까지 된 상황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고 있었다”면서 “물이 들어가게 되면 당연히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전문가는 아니지만 기본적인 정도는 잘 아는 입장에서 이는 심각한 일로 생각된다”고 제기했다.

 이어 “고층 아파트의 경우 강도를 철저히 관리하게 돼 있는데 레미콘 측 감리도 문제가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건설 현장 관계자는 “필요한 조치를 취하며 진행한 작업이었다”고 해명했다.

 현장 관계자는 본보와 통화에서 “타설을 시작했을 땐 비가 오지 않았다. 중간중간 비가 한 번씩 많이 내리긴 했으나 타설을 중단할 순 없어 진행했다”면서 “비닐 보양을 진행하면서 타설했다. 비가 더 심하게 오면 다른 조치도 필요할 수 있었으나 (이 날은) 보양(굳히기 작업)으로도 가능한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긴 장마에 기상청이 100~200mm의 많은 비까지 예고했던 당일, 애초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한 게 맞나?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비가 내린 지난 17일 오전 9시경 화정동 인근 신축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들. 제보자 제공.
비가 내린 지난 17일 오전 9시경 화정동 인근 신축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들. 제보자 제공.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최명기 교수(한국건설품질기술사회 부회장)은 이날 본보와 통화에서 “비 오는 날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불안전하다”며 “콘크리트 배합에 물의 양을 규정해놨는데, 비가 오는 상태에서 타설하게 되면 물 양이 많아지게 된다. 배합비보다 많은 물이 들어가면 강도가 떨어지거나 균열 등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폭우는 결국 ‘빗물’로 콘크리트 배합 과정서 추가로 들어가면 당연히 문제가 있다”며 “여름철의 경우 비가 많이 오는데 그 과정에서 사전 준비가 필요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장 좋은 원칙은 비가 왔을 때는 타설하지 않는 것으로, 여름에는 당연히 비가 올 것으로 생각해 장마철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며 “타설 과정에서는 비가 오면 안 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계획을 잘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그동안 비가 와도 타설 했는데 크게 문제없었다는 등의 안일한 인식을 가지면 안 된다”고 당부했다.

 한편 국토부가 콘크리트 품질 관리를 위해 마련한 표준시방서에는 ‘강우·강설 등이 콘크리트의 품질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필요한 조치를 정해 책임기술자의 검토 및 확인을 받아야 한다’는 규정만 명시돼 있어 지침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박현아 기자 haha@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