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주류가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에 가결표를 던진 의원들을 색출하겠다고 공언하고 있으나, 그게 그렇게 말처럼 쉽진 않은 일이다.

 물론 공천에 불안감을 느낀 일부 비주류 의원들이 자포자기 심정으로 가표를 던졌을 가능성도 있지만, 가결 이후 지금과 같은 마녀사냥 사태를 우려하며 고심 끝에 부표를 던진 비명계 의원들도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

 몇몇 수도권 의원들의 속내를 들어보면 상황은 더 복잡해진다.

 내년 총선에서 여당 후보와 박빙의 승부를 벌여야 하는 이들로선 이른바 ‘이재명 리스크’를 안고 선거판에 뛰어드는 걸 못내 불안해 하고 있다.

 이같은 기류는 친명 비명 중도파 의원들을 가리지 않는다.

 결국 일부 친명계 의원들마저 무효표 혹은 가표를 던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필자가 분석할 때도 가표의 대부분은 이처럼 내년 총선을 의식한 결과로 보인다.

 체포동의안을 가결시켜 일단 당 차원의 방탄 혐의를 벗는 게 우선이고, 이 대표의 주장대로 죄가 없다면 법원이 구속영장을 기각할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 방안이 수도권 중도표를 견인하는 데 훨씬 명분이 있다는 계산이다.

 이재명 대표의 막판 ‘부결 요청’이 의원들의 감정선을 건드렸다는 분석도 있으나, 사안의 중대성에 비추어 순진한 해석이다. 물론 이 대표가 입장을 바꾸면서 명분까지 잃은 것은 사실이다.

  # 박광온 원내대표 등 원내 지도부가 총사퇴한 상황에서 친명계 위주인 당 최고위원회는 가결 표를 던진 이들에 대한 징계를 시사하고 나섰다.

 당 전체가 엄청난 충격에 휩싸인 것을 감안하더라도, 이처럼 ‘배신자’ 운운하며 동료 의원들을 공격하는 것은 적절치 않는 일이다. 당을 수습해야 할 최고위원들이 오히려 당을 분열로 내모는 건 고장난 당내 민주주의의 반증이 아닐 수 없다.

 특히 강성 지지층도 아니고 공당의 지도부가 소위 ‘상응 조처’를 공언한 것은 민주적 정당의 모습과도 큰 거리가 있다. 무기명 비밀투표의 결과를 놓고 민주 정당에서 반대 의견을 ‘색출’한다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고 결코 해서도 안 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일부 주류 의원들이 같은 당 의원들을 향해 ‘떳떳하면 밝히라’는 식으로 압박하는 것도 이젠 자제해야 한다.

 이 모습이 진정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배출한 수권정당 민주당의 얼굴일 수 있는가 돌아볼 일이다.

 이 대표가 “검사 독재정권의 민주주의·민생, 평화 파괴를 막을 수 있도록 민주당에 힘을 모아달라”고 입장문을 낸 것도 논란을 일으켰던 불체포특권 포기 약속을 접은 것에 대한 사과나 설명이 없다는 점에서 아쉬운 대목이다.

 이 대표가 지금 할 일은 강성 지지층을 다독이며 당의 화합을 위해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다.

 그것이 이 대표가 바라는 ‘더 개혁적인 민주당, 더 유능한 민주당, 더 민주적인 민주당’을 만드는 길이기도 하다.

  # 이 대표는 오는 26일 영장실질심사를 받을 예정이다. 만약 법원이 영장을 발부할 경우 이 대표는 정치 생명에 큰 타격을 입게 된다. 그동안 이 대표는 검찰 수사가 ‘정치 보복’이라며 무죄를 주장해 왔기 때문이다.

 당 대표에서 물러나라는 비주류의 목소리도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친명계는 이 대표가 구속되더라도 옥중에서 대표직을 계속할 것이라고 주장해 왔으니, 민주당은 분당을 불사하는 극심한 혼돈 속으로 빠져들 전망이다.

 반대로 구속영장이 기각될 경우, 이 대표는 리더십을 다시 복원하면서 내년 총선 준비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공천 혁신을 내세우며 원외 친명인사들을 대거 내세울 가능성도 있다.

 민주당, 나아가 한국 정치에 또 하나의 변곡점이 다가오고 있다.

 서울본부장 겸 선임기자 kdw34000@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