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호세 변호사 내·외국인 생활법률]

문호세 변호사.
문호세 변호사.

문호세 변호사는 2013년 제2회 변호사 시험에 합격해 변호사로 활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변호사 문호세 법률사무소를 운영하면서 광주광역시 동부교육청 학교폭력위원회 심의위원, 광주광역시 정보공개심의위원 등 지역에서의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수년간 변호사로 일하며 여러 국적의 의뢰인을 만나오면서 우리 지역의 이주민들이 적절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함을 느껴왔습니다. 비단 노동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다른 언어로 인해 많은 오해와 불편을 겪는 것을 보며 그들이 낯선 곳에 안전하게 정착하고,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 싶어서 칼럼을 연재합니다.

Lawyer Moon Ho-se passed the second bar examination in 2013 and began working as a lawyer. Currently, she runs a lawyer Moon Ho-se law office and continues her activities in the region, deliberation committee member of the School Violence Committee of Gwang-ju Eastern Educational Office, and a deliberation committee on information disclosure in Gwangju. Having worked as a lawyer for many years and met clients of various nationalities, I have felt that migrants in our area do not have adequate legal protection. Seeing many misunderstandings and inconveniences not only in the labor field but also in daily life due to different languages, I wanted to help them settle down safely and live a stable life in a strange place, so I decided to start this column.

 -상사가 회사 직원들이 모여 있는 단체 카카오톡 방에서 제 사생활에 대해 험담을 했고, 다른 직원들도 그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아 퇴사까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도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할까요?

 △근로기준법 제76조의2는 “사용자 또는 근로자는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ㆍ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직장 내 괴롭힘은 ①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 우위를 이용할 것, ②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을 것, ③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일 것의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질문의 경우, 발화자가 상사이므로 ①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 우위를 이용할 것에 해당하고, 다른 직원들이 모여 있는 단체 카카오톡 방에서 험담하는 것은 업무상 필요성이 없는 행위이므로 ②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을 것에 해당하고, 이로 인해 질문자가 퇴사까지 고민할 정도이므로 ③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에 해당하므로 직장내 괴롭힘입니다.

 직장내 괴롭힘을 당한 피해자는 사용자에게 직장 내 괴롭힘 사실을 신고할 수 있고, 사용자는 지체 없이 당사자 등을 대상으로 그 사실 확인을 위하여 객관적인 조사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피해자는 △국가인권위원회법상 인권침해 또는 차별행위를 이유로 한 진정, △직장 내 괴롭힘 피해자에 대한 해고, 징계 등 불리한 인사처분에 대한 노동위원회 구제신청,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해 발병한 질병 등에 대한 산업재해 신청, △직장 내 괴롭힘이 형사법 위반일 경우 고소 고발, △직장 내 괴롭힘을 이유로 한 손해배상 청구 등 민사 소송을 할 수 있습니다.

 문의 062-571-7001.

 문호세 (변호사) lawmoonhs@naver.com

 Q) My boss gossiped about my personal life in the company group Kakao Talk room. Other employees seem to be talking about it, so I'm even thinking about quitting. Does it correspond to "workplace bullying"?

 A) Article 76-2 of the Labor Standards Act stipulates that "a user or worker shall not engage in any act that causes physical or mental pain or deteriorates the working environment beyond the appropriate scope of his job by utilizing his status or relationship in the workplace."

 Therefore, workplace harassment must meet all requirements: ① taking advantage of the superiority, such as position or relationship at work, ② exceeding the appropriate scope for work, and ③ causing physical and mental pain or deteriorating the working environment.

 In the case of a question, since the speaker is the boss, it corresponds to ① taking advantage of the superiority such as relationship at work. And gossiping in a group KakaoTalk room where other employees gather is an act that is not necessary for work, so ②It is exceeding the appropriate scope for work, and ③It is and act that causes physical and metal pain or worsens the working environment, so the act of your boss constitutes “bullying at work”.

 The victims of workplace harassment can report it to the user, and the user must conduct an objective investigation on the parties without delay to confirm the fact.

 Victims can also file △a petition for human rights violations or discrimination under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ct, △a labor commission relief application for unfavorable personnel dispositions, such as dismissal and disciplinary action, for victims of workplace harassment, △an industrial accident application for diseases caused by bullying at work, △a complaint if workplace harassment is a criminal violation, △civil lawsuits such as claims for damages for workplace bullying.

 ☎062-571-7001

 Moon Ho-se (lawyer)

 lawmoonhs@naver.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