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룰부터 고소·고발에 비명횡사 논란까지
불필요한 대립 경쟁에 쌓여만 가는 피로감
더불어민주당 텃밭인 광주에서 공천 잡음이 잇따르고 있다. 공천장만 따내면 사실상 당선인 지역 정치구도에서 경선룰을 정하는 것부터, 비명횡사 논란 등 온갖 파열음이 이어지고 있다. 여론조사에서 상위권을 기록했던 후보가 컷오프(공천 배제)가 되기도 했고, 경선 직후에도 결과에 불복해 고소·고발로 이어지는 등 과열양상을 보이며 불필요한 대립 경쟁으로 후유증을 낳으며 지역민들의 피로감이 더해지고 있다.
7일 더불어민주당 등에 따르면 광주 선거구 8곳 중 6곳의 경선을 마무리 짓고 서구갑, 서구을 경선을 앞두고 있다. 오는 12일이면 모든 지역구의 후보가 결정된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현역은 민형배 의원 1명만 살아남았다. 이 과정에서 ‘현역 물갈이론’ 대신 ‘친명 아니면 죽는다’는 ‘비명횡사’ 논란을 불식시키지 못해 시스템 공천에 대한 불신은 커져만 가고 있다.
특히 본선이 곧 당선인 민주당의 텃밭에서 공천장을 따내기 위해 선거운동 초기부터 벌어진 파열음은 흑색선전에 고소·고발 등 진흙탕 싸움으로 번져가고 있다.
예비후보들은 본격적인 선거운동을 하기 앞서 경선룰 방식부터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왔다.
광주 서구을 김광진·김경만, 광산갑 이용빈 예비후보 등은 고검장 출신 후보들에 대한 정치 신인 가산점이 과도하다고 주장해 왔다. 민주당은 당헌·당규상 장·차관급 이상의 정무직 공직자, 1급 상당 고위공무원단, 17개 시·도 광역단체 부단체장 등에게는 정치신인 가산점을 10%만 부여하지만 차관급으로 대우받는 고검장에게는 20%의 가산점이 부여돼 부당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당에서는 이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전날 광주 광산갑 이용빈 의원은 고검장 출신인 박균택 민주당 당대표 법률특보에게 패했다.
경선 결과가 발표한 이후에도 불복과 비방도 이어지고, 수사 대상으로 오르기도 했다.
광주 북구갑에서는 광주 북구갑 정준호 예비후보가 일찌감치 현역 조오섭 의원을 꺾고 공천장을 따냈으나 경선 과정에서 전화 홍보를 부정한 방법으로 했다는 의혹으로 검찰이 선거사무소를 압수수색했다.
정 예비후보는 “불법 전화방 운영에 어떠한 개입도 한 사실이 없을을 분명히 밝혀둔다”는 입장을 내세운 반면 조오섭 의원은 “불법의혹이 사실일 경우 후보 자격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동남을 경선에서 탈락한 이병훈 의원도 최근 기자회견을 열고 경선 과정에서 벌어진 허위사실 유포와 금품 살포 혐의 등을 주장하며 중앙당에 경선 무효화를 주장하는 한편 수사당국에도 수사를 촉구했다.
이에 민주당은 경선을 확정 짓고도 광주지역 후보자들 인준을 보류하고 있는 상황이다.
반복되는 정치 파행을 막기 위해서는 유권자 스스로 후보자들의 능력 위주로 선택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영태 전남대학교 명예교수는 “호남은 이제 냉정해져야 한다”며 “남은 총선 기간만이라도 ‘친명’, ‘찐명’이 아니라 능력 중심의 선택을 해야 한다. 3년 후 대선에서 또다시 패배하지 않으려면 우리 지역도 과감하게 썩은 동아줄을 버릴 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전경훈 기자 hu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