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능기부 스토리](564) 홀로 자녀 양육 중인 여성들
“맛있는 식사하시고 만원 중 천 원은 기부하세요”

해마다 신학기에 이뤄지고 있는 유장석 전문 MC의 책가방 기부.
해마다 신학기에 이뤄지고 있는 유장석 전문 MC의 책가방 기부.

 40대 초반의 김모 여성에 대한 지원 소식입니다. 김 씨는 결혼 후 2명의 자녀를 출산하여 생활을 해왔는데 남편과의 잦은 다툼으로 인해 이혼을 했다고 합니다.

 그 당시 김 씨는 수면장애로 인해 10년 넘게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질병으로 인한 통증으로 인해 자살예방센터에서 상담을 받는 상황이어서 자녀의 양육은 아이들의 아버지가 맡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남편이 갑작스럽게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본인이 자녀 2명의 양육을 맡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자신이 혼자서 살고 있던 원룸으로 자녀들이 오게 되었는데 작은 방 하나에서 아이들을 키우는 것이 힘들었다고 합니다.

 그렇지 않아도 건강이 좋지 못해 근로 능력이 없어 기초수급 생계비로 생활을 해오던 터라 경제적으로 어려웠고 좁은 방에서 세 명이 사는 것이 힘들다고 판단을 하여 임대주택을 신청하였고 다행히 선정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보증금을 마련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지인들에게 돈을 빌리러 다녔는데 쉽지 않았다고 합니다. 다행히도 전 남편의 가족들을 상대로 양육권 소송을 했는데 승소를 하여 전 남편의 유족연금으로 보증금을 납부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산 넘어 산이라고 보증금은 해결했지만 이사를 가게 되면 당장 생활하는데 필요한 가전제품을 구입할 돈이 없어 걱정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소식을 들은 광주재능기부센터에서는 당장 시급한 세탁기를 구입해 지원했고 좋은 이웃들 사업을 통해 냉장고를 구입하여 설치했습니다. 구입비용은 (주)피쉬데이의 기부금을 통해 지원해드렸습니다.

 김 씨는 집이 생겼다는 기쁨도 잠시 살아갈 길이 막막했는데 큰 도움을 받게 되었다며 고마운 마음을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다시 아이들과 생활을 하게 되어 걱정이었는데 집도 생기고 가정도 마련이 되어 지금부터는 건강도 잘 챙기고 자녀들과 함께 열심히 살아보겠다는 약속도 했습니다.

 새로운 출발을 하게 된 김 씨가 자녀들과 함께 새로운 집에서 행복하게 잘 살았으면 좋겠고 도움주신 분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30대 초반 김모 여성에 대한 지원 소식입니다. 김 씨는 4세와 2세 아들을 양육하며 지내고 있습니다. 김 씨는 결혼 이후 이어지는 남편의 가정폭력과 도박으로 재산은 탕진되고 빚더미에 앉아 결국 이혼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혼 후 첫째 아이는 남편이 둘째 아이는 김 씨가 양육하기로 하고 헤어졌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매달 양육비를 주기로 하였는데 남편은 본인도 아이 양육하기가 힘들어 양육비를 부쳐줄 수 없다고 했다고 합니다.

 그렇게 힘든 생활을 이어갔는데 남자친구를 만나 큰 위안이 되었다고 합니다. 본인에게 늘 인자하게 대해주고 금전적인 도움도 주어 의지를 많이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다 셋째 아이를 임신하게 되었고 임신사실을 남자친구에게 알렸다고 합니다. 그러자 남자친구는 본인이 유부남인 사실을 밝혔고 아이를 낳으면 해외로 입양을 보내자고 제안을 했다고 합니다.

 김 씨는 거부하고 아이를 낳게 되었다고 합니다. 아이의 출생신고를 하려고 했는데 유부남인 남자친구 앞으로 아이를 올리지 못해 이혼한 전 남편의 호적에 셋째 아이를 올렸고 현재는 둘째와 셋째 아이를 키우면서 남자친구에게 양육비를 받고 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양육비 지원은 얼마가지 못했고 혼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아이들을 키우다보니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했습니다. 그래서 대출을 받게 되었고 대출을 갚지 못해 신용불량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김 씨의 어려운 사정을 듣고는 가정을 방문해 상담을 진행하였습니다. 김 씨는 신용회복을 통해 빚은 갚아갈 예정인데 본인과 아이들이 독감에 걸려 힘든 상황이고 건강이 갈수록 안 좋아져 집안 정리정돈을 못해 청소와 수납에 어려움이 많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환경 개선을 위한 청소를 하였고 수납을 위한 가구들을 구입해 설치했습니다. 그리고 식료품과 간편식 등 음식류와 생활용품들을 지원했습니다.

 김 씨는 아무리 생각해봐도 본인은 기구한 운명을 타고 난 것 같다고 하면서 왜 이렇게 사는지 모르겠다고 눈물을 떨구었습니다.

 김 씨가 현재 많이 힘들어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많은 사람들의 응원에 힘 입어 아이들과 함께 행복하게 살아갔으면 좋겠습니다.

 유장석 MC님께서 ‘장석회관프로젝트’를 통해 초·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가방 120개를 기부하는 행사를 가졌습니다.

 저희 광주재능기부센터에도 40개의 가방이 기부가 되어 필요한 학생들에게 전달을 해드렸습니다.

 매년 장석회관프로젝트를 통해 입학을 앞두고 있거나 낡은 가방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큰 선물을 해주신 유장석 MC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하하 문화센터’ 회원님들께서 이번 달에도 반찬을 정성스럽게 만드셔서 광주재능기부센터에 기부해주셨습니다. ‘하하 문화센터’ 회원 분들께서는 광주재능기부센터를 통해 지속적인 기부를 하고 계십니다.

 이번에도 회원 분들께서 직접 반찬을 만들어 나눔에 동참해주신다고 하셔서 우선 아빠가 아이들을 키우는 한부모 가정 15가정을 대상으로 반찬 나눔을 했습니다.

 한 눈에 봐도 군침이 도는 맛있는 반찬을 정성스럽게 만들어 주셔서 전달해드렸습니다. 3월의 메뉴는 짜장, 어묵볶음, 깍두기, 콩나물 무침입니다. 반찬 기부에 동참해주신 ‘하하 문화센터’ 회원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첨단에 위치한 ‘키즈캐슬 유치원’에 다니는 유현서 양이 옷과 장난감을 기부해주셨습니다. 전달은 ‘마마도터’ 유 송 대표님께서 해주셨습니다. 기부에 동참해주신 유현서 양과 ‘마마도터’ 유 송 대표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광주재능기부센터에서는 ‘또 하나의 테이블’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또 하나의 테이블’은 음식점이나 카페 등의 영업장을 운영하시는 사장님께서 한 달에 한 차례 지치고 힘든 분들을 초대하여 한 테이블에 정성스러운 음식이나 차를 대접하고 위로와 희망을 전해주는 프로젝트입니다.

 광산구 평동에 위치한 ‘송오당’에서 ‘또 하나의 테이블’을 마련해주셨습니다. 모 장애인 시설에서 오신 장애인 3분과 직원 2분, 총 5분이 귀한 대접을 받았습니다.

 ‘송오당’은 광주 광산구 용동길 23번길 33-11에 위치하고 있으며 예약 전화는 062-943-3527번입니다. ‘송오당’은 17년 전통의 한방오리 및 닭백숙으로 유명한 맛집입니다. 많은 이용바랍니다. 또 하나의 테이블에 초대해주신 ‘송오당’ 곽승희 대표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한국GM 연수원에서 근무하고 계시는 염정호 선생님께서 문화상품권 10만 원을 광주재능기부센터에 기부해주셨습니다. 염정호 선생님께서는 광주재능기부센터를 통해 지속적인 기부를 이어가고 계시는 고마운 분이십니다. 기부해주신 상품권은 소중하게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기부에 동참해주신 염정호 선생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광주재능기부센터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분들을 응원하기 위한 ‘만사형통 프로젝트 2탄’을 진행합니다. ‘한백년의 따뜻한 밥상’ 만원의 행복은 1. 만원으로 식사하기, 2. 10% 기부하기, 3. 건강반찬과 한백년식품 받기로 진행합니다.

 그동안 천원밥상과 지속적인 기부를 이어온 ‘한백년 식당’에서 만원의 식사를 준비하여 그 중 1000원은 광주재능기부센터에 식사를 하신 분이 직접 기부를 하고, 개인 당 만원 상당의 ‘한백년 식품’에서 직접 제조한 건강식품이나 반찬을 선물로 받을 수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기부된 금액은 지역의 청소년들을 위한 장학금으로 전달될 예정입니다. 매주 수요일과 목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 한백년 식당에서 진행을 하며 선착순 100명을 대상으로 ‘한백년 기부사랑 밥상’을 제공합니다.

 식사메뉴는 매번 다르게 준비되고 건강밥상으로 차려집니다. 한백년 식당은 5·18 국립묘지 입구 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소는 광주광역시 북구 민주로 164입니다.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문의는 광주재능기부센터 062-431-0918로 전화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장우철 광주재능기부센터 대표

 ▶문의사항 (그 밖의 문의도 가능)

 “광주재능기부센터. 나눔 N JOY”

 전화 : 062)431-0918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