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총선 참패에 "비대위원장직서 사퇴"
이해찬 "승리 도취하면 안 돼…우리도 심판 받는다"
김부겸 "윤 대통령, 이재명 만나 국정 논의해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1일 단독 과반 의석을 확보한 제22대 총선 결과에 대해 "민주당의 승리가 아니라 우리 국민들의 위대한 승리"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더불어민주연합 중앙선대위회의 겸 선대위 해단식에서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에 과반 목표를 초과 달성하는 지지와 성원을 보내주신 점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께서 행사하신 한표 한표에 담긴 소중한 뜻을 민주당이 전력을 다해 받들겠다"며 "국민의 오늘을 지키고 국민의 더 나은 내일을 여는 데 22대 국회가 앞장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당선자들에겐 "당의 승리나 당선의 기쁨을 즐길 정도로 현재 상황이 녹록지 않다"며 "선거 이후에도 늘 낮고 겸손한 자세로 주권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 나왔기 때문에 국민 주권의 원칙을 가슴에 새기고 일상적인 정치 활동에서 반드시 실천해 나가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이제 선거는 끝났다. 여야 정치권 모두가 민생 경제위기 해소를 위해 온 힘을 함께 모아야 한다"며 "민주당은 대한민국을 살리는 민생 정치로 국민의 기대와 성원에 반드시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
이해찬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은 "이번 선거 과정에서 국민이 얼마나 무서운 존재인지 정치인들이 다시 한번 되짚어보는 좋은 기회가 됐다고 생각한다"며 "저도 이렇게 국민들이 여당을 심판하는 그런 뜨거운 의지를 보인 것은 처음 봤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지난번에 180석을 줬는데 뭐했냐는 소리를 그동안 많이 들었지 않았냐"며 "이번에 이렇게 줬는데도 또 못하면 정말 준엄한 심판을 받는다. 이번 승리에 도취해서 오만하면 절대로 안 된다"며 강조했다.
김부겸 상임공동선대위원장도 "이번 선거 결과가 민주당이 잘해서라기보다는 윤석열 정부의 무능력, 무책임, 무비전을 심판해야 한다는 국민의 열망이 워낙 강했기 때문"이라며 "민주당이 정신 똑바로 차려서 이 정부의 흔들리는 국정 방향이 바로 잡히도록 제 역할을 하겠다"라고 말했다.
정부여당을 향해선 "민심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전면적인 국정쇄신이 필요하다”며 “윤 대통령은 조속한 시일 내에 제1야당 이재명 대표를 만나서 향후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국가적 과제 해결 방안에 대해서 큰 틀에서 합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1일 "선거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직에서 물러난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검은색 정장을 착용하고 나와 "민심은 언제나 옳다. 국민의 선택을 받기에 부족했던 우리 당을 대표해서 국민들께 사과드린다"고 전했다.
그는 "국민의 뜻을 준엄하게 받아들이고 저부터 깊이 반성한다"고 말했다.
이어 "야당을 포함해 모든 당선자들에게 축하의 말씀을 드린다. 국민의 뜻에 맞는 정치를 부탁드린다"며 "함께 치열하게 싸워주시고 응원해주신 동료시민 여러분, 사랑하는 당원 동료들, 당선되지 못한 우리 후보들께 위로와 감사의 말씀 드린다"고 했다.
한 위원장은 "우리가 국민들께 드린 정치 개혁의 약속이 중단 없이 실천되길 바란다"며 "어떻게 해야 국민의 사랑을 되찾을 수 있는지를 고민하겠다. 쉽지 않은 길이겠지만 국민만 바라보면 그 길이 보일 거라 생각한다"고 전했다.
한 위원장은 이어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향후 행보에 대해 "특별한 계획은 없고 어디서 뭘 하든 나라 걱정하며 살겠다"고 답했다.
정치를 계속하겠단 약속을 지키는 것이냔 물음엔 "전 제가 한 약속 지키겠다"며 해 사실상 정계은퇴가 아님을 시사했다.
총선 결과에 대해 대통령실과 공동 책임이 있다고 보냐는 질문엔 "제 책임이다"라고 했다.
아울러 패배 원인에 대해선 "여러분이 분석하면 된다"며 "국민들의 마음을 얻지 못한 거라 생각하고, 그 책임 오롯이 저에게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비대위원들의 사퇴 여부에 대해선 "그건 제가 그분들 의사를 강요할 문제는 아니라 제가 책임지고 사퇴하겠다"고 했다.
김대원 기자 kdw34000@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