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 시행 2년차 광주 자치구 전년비 소폭 증가
동·남구 등 목적 분명한 ‘지정 기부’ 모금 성과
서·북구 지정 아이템 “발굴 중”…광산구도 채비

지난해 기아챔피언스필드를 찾은 E.T야구단 모습. 광주 동구는 E.T야구단을 지원하기 위한 지정기부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광주 동구 제공.
지난해 기아챔피언스필드를 찾은 E.T야구단 모습. 광주 동구는 E.T야구단을 지원하기 위한 지정기부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광주 동구 제공.

 고향사랑기부제 시행 2년 차 상반기까지 실적을 보니, 광주지역은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모금액이 소폭이나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부터 가능해진 지정기부 효과로 풀이된다.

 2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년차를 맞이한 올해 ‘고향사랑기부제’ 기부액 및 기부건수는 다수의 지자체가 시행 첫해인 지난해보다 감소한 가운데, 광주지역(광주시·5개 구)은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작년 모금 고향사랑기부금, 어디에 쓰이나?

 광주지역은 2023년 기준 기부 건수 1만 2590건, 기부액은 15억 1600만 원이었다. 이 중 2023년 5월 말까지 실적은 3473건, 4억 5084만 4000원이었는데, 올해 같은 기간 기준으론 3863건, 4억 7029만 1000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기부건수는 11.2%, 기부액은 4.3% 증가한 수치다. 반면 대구의 경우에는 -38.9%로 기부금이 대폭 감소했다.

 연말정산 시 10만 원 까지 전액 세액 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연말에 기부금이 몰리는 특성이 있어 올해 실적을 지금 판단하기는 이르지만, 지정 기부 등 올해 개선된 제도의 영향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 광주지역 자치구는 ‘지정기부’가 가능해짐에 따른 기대감을 숨기지 않고 있다.

 지난해 광주지역에서 가장 많은 기부금을 모금한 동구가 대표적이다. 동구는 지난해 민간플랫폼을 활용해 지정 기부의 효과를 톡톡히 봤던 만큼 올해도 기대감이 있으나, 행안부의 제동으로 민간플랫폼은 이용할 수 없게 된 점은 아쉽다는 반응이다.

 동구 기획예산실 관계자는 본보와 통화에서 “230개가 넘는 지자체가 한 시스템을 통해 모금하는 것보다 지난해 민간플랫폼을 활용해 목적이 두드러진 기부금 모금이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지정기부가 공식적으로 가능하게 됐고, 기부자들이 어디에 쓰이는지를 알고 있어서 기부 효능감이 있을 것”이라면서 “작년 민간플랫폼을 활용한 지정기부 덕을 본 만큼, 올해도 이를 내세워 기부를 독려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올해 ‘통일 효도 열차 지원사업’, ‘시간우체국 조성 사업’ 등 지정기부 사업을 새롭게 발굴한 남구도 ‘지정기부’로 발빠르게 접근하고 있다.

 남구 주민자치과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지정기부 사업을 중요하다고 판단해 약 9개월간 준비해왔다”면서 “시간우체국, 통일열차 사업 등 목적이 분명한 사업을 열심히 홍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서구·북구 또한 지정기부 사업을 발굴 중으로 아이디어 공모 등을 통해 사업을 확정할 계획이다.

 광산구도 상반기 지정기부와 관련 아이디어 발굴을 진행했으나, 아직까진 발굴이 되지 않은 상태다.

 광산구 관계자는 “상반기 수요조사 및 아이디어 발굴을 했으나 기존에 하던 사업 외 다른 아이디어가 없어 다시 과정을 거치고 있다”면서 “주민들에게 기부를 유도하면서 주민 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사업 아이템으로 지정기부를 진행한다면 모금에 더 기대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고향사랑기부금 활성화를 위해 지정기부 활성화 및 홍보 강화 등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커진다.

 양부남 국회의원은 24일 보도자료를 내 “지난해보다 실적이 뒷걸음칠 수 있어 국민의 관심을 높이고 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할 시점”이라면서 “고향 발전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지정기부 활성화, 대국민 홍보 강화, 세액공제 비율 확대 등 참여 독려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주소지 이외의 지자체에 1인당 연간 500만 원 이하 일정 금액을 기부하면 세액공제와 함께 30% 상당의 답례품을 제공받는 제도다.

 박현아 기자 haha@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