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박체’ ‘바른체’ ‘유나체’ 등 3가지 타입 4종
온라인 친화적…홉페이지서 내려받아 사용
전남도교육청이 전용서체를 자체 개발해 무료 배포하고 있다.
디지털 교과서 시대에 맞춰 모바일 등에서 글자가 깔끔하게 표현될 수 있게 온라인 친화적으로 개발됐다는 평가다.
29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한 전남교육 전용서체는 고딕 계열(또박체), 명조 계열(바른체), 손글씨 계열(유나체) 등 3가지 타입의 글씨체 4종이며 한글 2780자, 영문 94자, 특수문자 986자로 구성됐다.
‘또박체’와 ‘바른체’는 현대적 감각과 산뜻한 인상을 주며, ‘유나체’는 손글씨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학부모 글씨체다.
이들 서체는 도교육청 누리집(기관소개-전남도교육청 로고-전남교육 서체)에서 내려받아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업적 용도로도 가능하다.
도교육청은 전남교육 브랜드 제고와 이미지 통일성 확보를 위해 지난해 9월부터 서체 개발에 나섰다.
대학교수 등 관련 분야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과 보완 사항을 수렴해 완성했다.
도교육청은 전용서체를 소속기관 뿐 아니라 전국에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기관 및 학교가 온․오프라인에서 제작하는 자료집, 홍보물, SNS 웹자보, 동영상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김학주 홍보담당관은 “시중에 유통되는 글꼴들은 많지만, 무료인지 유료인지 법적 검토부터 디자인 취향까지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아 업무 스트레스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며 “전용서체가 교직원들의 수고와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