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박체’ ‘바른체’ ‘유나체’ 등 3가지 타입 4종
온라인 친화적…홉페이지서 내려받아 사용

전남도교육청이 개발한 전용서체. 전남도교육청 제공
전남도교육청이 개발한 전용서체. 전남도교육청 제공

전남도교육청이 전용서체를 자체 개발해 무료 배포하고 있다.

디지털 교과서 시대에 맞춰 모바일 등에서 글자가 깔끔하게 표현될 수 있게 온라인 친화적으로 개발됐다는 평가다.

29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한 전남교육 전용서체는 고딕 계열(또박체), 명조 계열(바른체), 손글씨 계열(유나체) 등 3가지 타입의 글씨체 4종이며 한글 2780자, 영문 94자, 특수문자 986자로 구성됐다.

‘또박체’와 ‘바른체’는 현대적 감각과 산뜻한 인상을 주며, ‘유나체’는 손글씨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학부모 글씨체다.

이들 서체는 도교육청 누리집(기관소개-전남도교육청 로고-전남교육 서체)에서 내려받아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업적 용도로도 가능하다.

도교육청은 전남교육 브랜드 제고와 이미지 통일성 확보를 위해 지난해 9월부터 서체 개발에 나섰다.

대학교수 등 관련 분야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과 보완 사항을 수렴해 완성했다.

도교육청은 전용서체를 소속기관 뿐 아니라 전국에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기관 및 학교가 온․오프라인에서 제작하는 자료집, 홍보물, SNS 웹자보, 동영상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김학주 홍보담당관은 “시중에 유통되는 글꼴들은 많지만, 무료인지 유료인지 법적 검토부터 디자인 취향까지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아 업무 스트레스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며 “전용서체가 교직원들의 수고와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