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능한데 재물 많으면 의지 손상되고
어리석은데 富하면 잘못만 늘어갈 뿐”
공직사회가 엉망이 되었다. ‘나라 잘 되는 데는 열 충신으로도 모자라지만 나라 망치는 것은 혼군(昏君)이나 간신(奸臣) 하나면 충분하다’는 옛말이 괜한 말이 아님을 실감하고 있다. 절대 권력을 휘두르던 왕조체제를 벗어난 지가 100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그 때보다 못한 일들이 나라와 공직사회에서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 나라의 기강이 무너졌다. 이대로 가다가는 망국의 낭떠러지로 추락하는 길 밖에 없다. 깨어있는 시민들이 정신 바짝 차리고 이 난국을 바로잡아야 한다. 이런 현상에 대한 역사적 성찰로서 역대 중국의 청백리들을 소개하여 반면교사로 삼고자 한다. 많은 격려와 질정을 바랄 뿐이다.
글쓴이 김영수(한국사마천학회 이사장)는 지난 30년 넘게 위대한 역사가 사마천(司馬遷)과 그가 남긴 중국 최초의 본격적인 역사서 3천 년 통사 《사기(史記)》를 중심으로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공부하고 있다. 그 동안 150차례 이상 중국의 역사 현장을 탐방했으며, 많은 저역서를 출간했다. 대표적인 저서에는 ‘간신 3부작’ 《간신론》 《간신전》 《간신학》, 《사마천 사기 100문 100답》, 《성공하는 리더의 역사공부》 등이 있다. (편집자주)
세 개의 꿈
수천 년 왕조체제를 겪은 중국 백성들은 늘 거창한(?) 세 가지 꿈을 꾸며 살았다고 한다.
첫번째 꿈을 ‘명군몽(明君夢)’이라 한다. 밝은 임금, 즉 현명한 통치자를 갈망하는 꿈이다. 두 번째 꿈은 우리 연재의 주제인 청백리에 대한 ‘청관몽’이다. 그런데 이 두 꿈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명군 아래 탐관오리가 설치기 힘들고, 혼군 아래 청백리가 버티기 힘들기 때문이다.
‘명군몽’이 실현되면 ‘청관몽’은 꿀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백성들은 임금이 어리석고 못났어도 벼슬아치들이 청렴하면 그나마 살 만하지 않겠는가 하는 기대를 버리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래서 거창한 꿈이라고 비아냥거려 본 것이다.
‘명군몽’도 ‘청관몽’도 무망(無望)할 때 백성들은 과연 어떤 꿈을 꿀까?
이것이 세 번째 꿈인 ‘협객몽(俠客夢)’이다. 치외법권 지대의 막강한 무공과 의협심으로 무장한 협객이 이들을 처단했으면 하는 꿈이다. 어쩌면 지금 우리도 이 세 번째 꿈을 꾸고 있는 것은 아닐는지?
예나 지금이나 백성들이 삶이 넉넉했던 적은 한 번도 없었던 것 같다. 그저 먹고사는 걱정 안 할 정도만 해주면 대만족이었다. 그런데 자기 손으로 임금을 뽑는 지금도 이 문제는 여전하다. 잘못 뽑기 때문이다. 꿈은 같은 꿈을 꾸는데 그 꿈을 이루어줄 사람을 잘못 가리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지금 우리 시대의 비극이다.
그러다 보니 나쁜 놈들이 물을 만난 듯 설쳐댄다. 국민들의 삶은 더욱 구렁텅이로 빠진다. 간신 탐관오리들이 버젓이 커밍아웃하여 큰 소리를 친다. 왜 이럴까? 이에 대한 정답을 지금으로부터 약 2500년 전인 춘추시대 남방의 강대국 초나라 궁정의 연예인이었던 우맹(優孟)이 다음과 같은 노래로 알려준다.
탐관오리 노릇은 해서는 안 되는데도 하고,
청백리는 할 만한 데도 하지 않는구나.
탐관오리가 되면 안 되는 것은 더럽고 비천해서인데
그래도 하려는 까닭은 자손들의 배를 불릴 수 있기 때문이지.
청백리가 되려는 것은 고상하고 깨끗해서인데,
그래도 하지 않으려는 것은 자손이 배를 곯기 때문이라네.
그대여, 초나라 재상 손숙오(孫叔敖)를 보지 못했는가?
그렇다! 청백리로 살면 자신은 물론 가족과 후손까지 배를 곯고, 탐관오리로 살면 자신은 물론 가족과 후손까지 배불리 잘 살기 때문이다.
우맹은 초나라 재상을 지낸 청백리 손숙오의 아들이 생계가 어려워 시장에 땔나무를 팔러 나온 모습을 목격했다. 살아생전 신분을 초월하여 자신을 존중했던 재상 손숙오의 가족이 끼니를 걱정할 정도로 어렵다는 사실을 안 우맹은 고심 끝에 손숙오 복장을 하고 장왕(莊王) 앞에 섰다. 우맹, 아니 손숙오를 본 장왕은 깜짝 놀랐다. 죽은 손숙오가 살아 돌아온 것 같았기 때문이다. 장왕은 우맹에게 자초지종을 물었고, 우맹은 손숙오 집안의 사정을 이야기했다. 장왕은 손숙오 집안을 잘 보살피라는 명령을 내렸다.
청백리의 비애
우맹의 노래는 ‘청백리의 비애’를 잘 나타내고 있다.
흔히들 청렴한 정도를 가지고 관리를 청백리와 탐관오리 두 종류로 나눈다. 우맹의 노래 가사처럼 탐관은 인품이 더럽고 비천하기 때문에 해서는 안 되는데도 그 자손이 그를 통해 배를 불리고 득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탐관의 길로 빠진다. 반면 청백리는 고상하고 깨끗한 인품의 소유자라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 등 정말 걸어야 길인데도 자손들이 배를 곯기 십상이라 그 길을 가지 못하게 막는 것이다.
우맹은 당초 이 노래를 통해 손숙오의 자손들이 불쌍하게 살 수밖에 없는 필연성을 설명하려 했다. 그런데 의도한 바는 아니었겠지만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탐관과 청백리 사이에 존재하는 하나의 규칙 같은 것을 건드렸다. 즉, 존경도 받고 자손도 잘 되는 두 가지 모두를 다 얻을 수 없다(?)는 현실을 드러내버린 것이다. 현실은 어느 한 쪽의 포기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늘 자신의 인생 목적과 가치관에 근거하여 이 둘 중에서 선택을 하지만, 그와 동시에 늘 관리의 행동에 근거하여 그들을 판단하고 평가한다. 이런 점들을 염두에 두고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면 어떨까?
첫째, 탐관은 분에 넘치는 이익을 얻기 때문에 좋은 평가와 명성을 얻을 수 없다. 반면 청백리는 사회적으로 그 고상한 인품을 인정받지만 꼭 거기에 걸맞는 이익을 얻는다고는 할 수 없다. 우맹의 풍자와 그 결과가 이를 잘 보여준다.
설사 사회적으로 청백리에 대한 건강하고 정상적인 자극 기제가 수립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사람들은 청백리의 부족한 점(재산이나 부)을 기꺼이 보상해주려 할 것이고, 탐관에게 모자란 점(청렴)에 대해서는 영원히 비난하고 유감스럽게 생각할 것이다.
둘째, 청백리는 물질적 부나 혜택을 자손에게 남겨 주지는 않지만, 자손들에게 정정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인격적 이미지를 남겨 주고, 또 스스로 노력해서 생계를 유지하고 자기 힘으로 인재가 되라는 의지를 물려준다.
반면, 탐관은 자손에게 엄청난 물질적 이익을 남겨 주지만, 자손들이 본디 가지고 있어야 할 노력과 자립심이라는 객관적 조건을 부분적으로 박탈할 뿐만 아니라 더럽고 나쁜 이미지의 조상을 남김으로써 영원히 고개를 들지 못한 채 살아가게 만든다.
셋째, 탐관은 사회 기풍에 아주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우리 사회는 늘 청백리를 원한다. 이런 희망을 도덕적 심판과 양심적 책임 추궁에 기대기보다는 대중이 참여하는 감시 기제를 만들고 법이란 수단으로 이 희망을 실현해야 한다.
“너흰 지금 얼마나 깨끗하게 사느냐?”
서한 선제(宣帝) 때 소광(疏廣· ?~기원전 45)이란 현명한 대신은 황제가 하사한 거금을 마을 사람과 친지들에게 모두 나누어준 다음 자손들에게는 “유능한데 재물이 많으면 그 의지가 손상되기 쉽고, 어리석은데 재물이 많으면 잘못만 늘어갈 뿐이니라”라고 했다.(《한서》 <소광전>)
청나라 말기의 청백리 임칙서(林則徐·1785~1850)는 소광의 이 말에 더 부연하여 “자손이 나와 같다면 돈을 남겨주어 무엇하겠는가? 유능한데 재물이 많으면 그 의지가 손상되기 쉽다. 자손이 나만 못하다면 돈을 남겨주어 무엇하겠는가? 어리석고 돈이 많으면 그 잘못만 늘어난 뿐이다”라고 했다. 정말 바른 말이다.
광대 우맹이 풍자적으로 성찰한 청백리와 탐관의 문제는 우리를 향해 ‘도대체 너희는 얼마나 건전하고 깨끗하냐’며 리트머스 시험지를 들이대는 것 같다. 지금 우리 공직자와 공직사회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김영수 한국사마천학회 이사장

명예와 존경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청렴한 행정가, 정치가, 활동가, 기자, 학자들을 조롱하는 자들도 있으니... 끝까지 청렴하기가 쉽지 않은 세상인 것 같습니다.
교수님, 글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