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 연예인이 되살려낸 청백리
공직사회가 엉망이 되었다. ‘나라 잘 되는 데는 열 충신으로도 모자라지만 나라 망치는 것은 혼군(昏君)이나 간신(奸臣) 하나면 충분하다’는 옛말이 괜한 말이 아님을 실감하고 있다. 절대 권력을 휘두르던 왕조체제를 벗어난 지가 100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그 때보다 못한 일들이 나라와 공직사회에서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 나라의 기강이 무너졌다. 이대로 가다가는 망국의 낭떠러지로 추락하는 길 밖에 없다. 깨어있는 시민들이 정신 바짝 차리고 이 난국을 바로잡아야 한다. 이런 현상에 대한 역사적 성찰로서 역대 중국의 청백리들을 소개하여 반면교사로 삼고자 한다. 많은 격려와 질정을 바랄 뿐이다.
글쓴이 김영수(한국사마천학회 이사장)는 지난 30년 넘게 위대한 역사가 사마천(司馬遷)과 그가 남긴 중국 최초의 본격적인 역사서 3천 년 통사 《사기(史記)》를 중심으로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공부하고 있다. 그 동안 150차례 이상 중국의 역사 현장을 탐방했으며, 많은 저역서를 출간했다. 대표적인 저서에는 ‘간신 3부작’ 《간신론》 《간신전》 《간신학》, 《사마천 사기 100문 100답》, 《성공하는 리더의 역사공부》 등이 있다. (편집자주)
기록에 남은 청백리 1호는 누구이며 어떤 사람일까?
시간으로 보아서는 앞서 소개한 <순리열전>에 기록된 진 문공 때의 법관 이리가 기원전 7세기 사람이므로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힐 만하다. 다만 청백리로서의 행적이 뚜렷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를 딱히 청백리로 규정하기에는 그렇다. 법 집행에 한 치의 어긋남도 용납하지 않은 강직한 법관으로서의 이미지가 강렬하다 하겠다.
기록으로 남아 있는 가장 이른 청백리는 사마천이 <순리열전> 첫 머리에 올린 손숙오(孫叔敖)>라는 춘추시대 초나라의 재상이다. 손숙오는 또 권력자에게 풍자와 유머로 충고한 연예인(코미디언)에 관한 최초의 기록 <골계열전>에도 등장하고 있다.
손숙오는 춘추시대 중반 남방의 강대국 초나라 출신으로 나고 죽은 해는 확실치 않지만 기록으로 보면 기원전 7세기 후반에서 기원전 6세기 초반까지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웅주(雄主) 장왕(莊王· ?~기원전 591)을 충실히 보좌하여 초나라를 일약 강대국으로 끌어 올리고, 장왕을 패주로 세우는데 큰 역할을 해냈다. 특히 장왕이 대외 정복을 비롯하여 수시로 국내를 비울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국내 국정 전반을 단단히 챙김으로써 장왕이 마음껏 위세를 발휘할 수 있게 뒷받침했다. 비유하자면 1인자가 마음 놓고 외부 활동을 할 수 있는 청렴하고, 1인자의 자리를 결코 위협하지 않는 야심 없고 확실하고 믿을 수 있는 2인자가 바로 손숙오였던 것이다.
청백리로서 손숙오의 존재를 세상에 널리 알린 사람은 흥미롭게 우맹(優孟)이라는 초나라 궁정 연예인이었다. 이 연재 첫 회에서 소개한 인물이기도 한데 그는 손숙오가 세상을 떠난 뒤 그 가족이 끼니를 걱정할 정도로 어렵게 사는 것을 알고는 손숙오 분장을 하고 장왕 앞에서 이런 노래를 불러 장왕을 감동시키고, 나아가 손숙오 집을 돌봐주게 했다. 그 노래를 다시 한 번 인용해둔다.
탐관오리 노릇은 해서는 안 되는데도 하고,
청백리는 할 만한 데도 하지 않는구나.
탐관오리가 되면 안 되는 것은 더럽고 비천해서인데
그래도 하려는 까닭은 자손들의 배를 불릴 수 있기 때문이지.
청백리가 되려는 것은 고상하고 깨끗해서인데,
그래도 하지 않으려는 것은 자손이 배를 곯기 때문이라네.
그대여, 초나라 재상 손숙오(孫叔敖)를 보지 못했는가?
손숙오의 어린 시절 일화: ‘참양두사(斬兩頭蛇)’
궁중 연예인 우맹이 되살려낸 청백리 손숙오의 생애를 좀 더 알아보자. 먼저 어린 손숙오가 머리가 둘 달린 뱀을 죽인 ‘참양두사’ 일화이다.
손숙오가 어린 날 바깥에 나갔다가 땅바닥에서 머리 둘 달린 뱀을 보았다. 손숙오는 옆에 있던 작대기를 들고 그 뱀을 죽였다. 집에 돌아온 손숙오는 어머니를 붙들고 엉엉 울었다. 아들의 느닷없는 행동에 어머니는 놀라며 그 까닭을 물었다. 손숙오는 어머니를 두고 자기가 먼저 죽게 생겼으니 이보다 더 불효막심한 일이 어디 있냐고 말했다. 어머니가 다시 자초지종을 물으니 손숙오는 조금 전 길에서 머리 둘 달린 뱀을 죽였다고 했다.
당시 민간에는 따르면 누구든 머리 둘 달린 뱀을 보면 죽는다는 미신이 널리 퍼져 있었고, 손숙오도 이를 들어 알고 있었다. 다만, 손숙오는 행여 다른 사람이 이 뱀을 보고 죽으면 어떡하나 하는 마음에서 자신의 손으로 뱀을 죽였던 것이다. 남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걸었던 셈이다.
이야기를 들은 어머니는 네가 다른 사람을 위해 정말 좋은 일을 했는데 설마 하늘이 너를 데려가겠냐며 다독였다. 이 일화는 중국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실려 있다. 이것이 손숙오라는 사람의 인품이다.
고위 공직자의 처신과 ‘삼진삼퇴’
손숙오가 재상이 된 다음 호구장인(狐丘丈人)이라는 사람이 찾아와서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도가(道家) 계통의 책인 《열자(列子)》에 나온다. 호구장인이 당신이 이제 막 재상이 되었는데 이런 이야기 들어보았냐며 말을 꺼낸다.
“지위가 높고, 권력이 있고, 녹봉이 많은 사람들에게 보통 사람들은 원한을 가지는데, 시기, 혐오, 원망입니다. 들어 보셨소?”
누가 높은 자리에 오르면 사람들이 괜히 시기하고 질투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권력과 부를 누리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일반적인 반감 같은 것을 호구장인이 지적했다. 이는 오늘날도 비슷하고 우리의 현실은 더하다. 호구장인이 말한 이 세 가지는 결국은 공직자가 일을 잘하느냐 여부에 따라 나오고 안 나오고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손숙오의 답은 간결하고 단호했다.
“저는 작위가 높아질수록 뜻을 더욱 낮추었고, 권력이 커질수록 마음을 작게 먹었고, 녹봉이 많아질수록 더 많이 베풀었으니 세 가지 원망을 피할 수 있겠지요.”
우리 고위 공직자들에게 손숙오의 말을 되돌려 준다. ‘세 가지는 피하고 살아라.’ 공직자의 기본자세를 무려 2600년 전의 사람이 정확하게 지적하고 있지 않은가. 귀담아 듣고 적어도 한가지만이라도 피하고 살라고 간곡하게 권한다.
손숙오는 제자백가 여러 책에 등장하는데 《열자》와 같은 도가 계통인 《장자(莊子)》에도 있다. 아마 손숙오의 처신이 도가의 사상에도 들어맞기 때문일 것이다. 또 도가의 뿌리가 남방 초나라 지역인 점도 관련이 있을 것 같다. 이 고사는 줄여서 ‘삼진삼퇴(三進三退)’라 한다. ‘세 번 나갔다가 세 번 물러난다’는 뜻으로 손숙오가 재상 자리에서 세 번이나 물러났다 기용된 사정을 담고 있다. 관련 대목을 보면 이렇다.
손숙오가 재상 자리에서 쫓겨났지만 마음은 더할 수 없이 평온했다. 그러자 견오(肩吾)가 이렇게 물었다.
“당신께서는 세 번이나 재상에 임명되었지만 한 번도 영광스러워하는 것을 보지 못했고, 세 번이나 해직되어 고향에 돌아왔지만 한 번도 괴로워하는 것을 보지 못했습니다. 처음 저는 당신의 이런 심리 상태를 의심했지만 지금 보니 당신의 마음은 정말 태연자약합니다. 대체 어떻게 그럴 수 있습니까?”
손숙오는 이렇게 대답했다.
“내게 무슨 초인적인 힘이 있겠는가? 나는 그저 재상에 임명된 일을 피할 수 없는 책임으로 생각했고, 자리에서 쫓겨난 것은 막을 수 없는 일로 생각했을 뿐이다. 나는 그 일이 내 마음대로 좌지우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일이 풀리는 대로 내버려둔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태연자약할 수 있다. 내게 무슨 초인적인 능력이 있을까? 그냥 나는 이른바 영광이나 괴로움이 대체 누구 것인지 분간할 수 없을 뿐이다. 대체 그것이 내 것인가? 아니면 재상 것인가? 만약 재상 것이라면 나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고, 아무런 관계가 없다면 내가 영광스러워하거나 괴로워해야 할 이유가 없지 않은가? 만약 내 것이라면 재상과는 아무 관계가 없지 않은가? 재상과 관련이 없는 이상 내가 그 자리를 맡느냐 맡지 않느냐를 가지고 영광스러워하거나 괴로워해야 할 이유가 무엇인가? 바람을 쏘면서 유람할 시간도 부족한데 무엇 때문에 귀천을 생각하고, 또 그것 때문에 슬프고 기뻐해야 한단 말인가?”
참으로 초연한 달관의 경지가 아닐 수 없다. 벼슬이나 녹봉도 자연에 따른 일이기에 누가 되었건 무엇이 되었건 의식적으로 추구하거나 회피할 것 없다. 이런 것들은 억지로 구한다고 해서 오는 것도 아니고, 피한다고 해서 없어질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해야 할 일, 최대한 할 수 있는 일이란 큰 도에 순응하여 자연을 따른다. 오가는 것이 다 한 가지라 마음 설레거나 귀찮아 할 필요도 없다. 내게 다가오는 것이라 해서 귀한 것도 아니고, 내게서 떠나간다고 비천한 것이 아니다. 오면 거절하지 말고, 간다고 괴로워 말라. 사람들이 모두 이런 마음가짐이라면 세상은 많이 편해질 것이다.
손숙오의 말은 얼핏 보아 현실을 회피하거나 도피하는 것 같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그 안에는 인간과 자연에 대한 따스함이 묻어나는 지혜가 흘러넘친다. 자리에 목을 매고는 온갖 비상식적이고 심지어 불법적인 행동을 마다 않는 우리 고위 공직자 그리고 기득권 보수들에게 이런 경지를 바랄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다음 회에 계속)
김영수 한국사마천학회 이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