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속의 물건·돈 따위를 탐내지 않는다
공직사회가 엉망이 되었다. ‘나라 잘 되는 데는 열 충신으로도 모자라지만 나라 망치는 것은 혼군(昏君)이나 간신(奸臣) 하나면 충분하다’는 옛말이 괜한 말이 아님을 실감하고 있다. 절대 권력을 휘두르던 왕조체제를 벗어난 지가 100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그 때보다 못한 일들이 나라와 공직사회에서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 나라의 기강이 무너졌다. 이대로 가다가는 망국의 낭떠러지로 추락하는 길 밖에 없다. 깨어있는 시민들이 정신 바짝 차리고 이 난국을 바로잡아야 한다. 이런 현상에 대한 역사적 성찰로서 역대 중국의 청백리들을 소개하여 반면교사로 삼고자 한다. 많은 격려와 질정을 바랄 뿐이다.
글쓴이 김영수(한국사마천학회 이사장)는 지난 30년 넘게 위대한 역사가 사마천(司馬遷)과 그가 남긴 중국 최초의 본격적인 역사서 3천 년 통사 《사기(史記)》를 중심으로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공부하고 있다. 그 동안 150차례 이상 중국의 역사 현장을 탐방했으며, 많은 저역서를 출간했다. 대표적인 저서에는 ‘간신 3부작’ 《간신론》 《간신전》 《간신학》, 《사마천 사기 100문 100답》, 《성공하는 리더의 역사공부》 등이 있다. (편집자주)
역사는 공직자, 특히 고위 공직자가 청렴을 시종일관 유지하기가 얼마나 어려운가를 또렷하게 보여준다. 조선시대 청백리의 대명사처럼 여기는 황희 정승은 그 자신은 물론 그 자식들까지 여러 차례 뇌물 수수 등 비리에 얽힌 바 있다. 이런 점에서 춘추시대 송(宋) 나라의 귀족 출신인 자한이 청렴을 지키기 위해 보여준 자기만의 원칙과 자세는 오늘날 공직자에게 던지는 의미가 매우 깊다.
2600년 전 재난 대응 전문가 자한
자한이 나고 죽은 해는 알 수 없다. 기록들로 미뤄보면 대체로 기원전 6세기 초반부터 중후반까지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기원전 580~기원전 510년 사이로 추정한다.) 이름을 낙희(樂喜)라 했지만 자한으로 많이 부른다. 춘추시대 비교적 약소국이었던 송나라(도성은 지금의 하남성 상구시) 귀족 출신이었다. 평공(平公, 재위 기원전 575~기원전 532)부터 원공(元公, 기원전 532~기원전 517), 경공(景公, 기원전 517~기원전 469)까지 세 군주를 모시면서 남다른 업적을 남겼다. 그의 주요 활동은 대체로 평공의 재위 기간과 겹친다.
정치가로서 자한의 진면목은 기원전 564년 발생한 대화재와 그에 대한 대처를 통해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그 과정을 상세히 추적해보자.(이 부분은 《좌전》에 기록으로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춘추시대 경제 발전, 인구 증가로 성시의 규모가 전례 없이 커졌다. 이 때문에 화재로 인한 피해도 커질 수밖에 없었다. 기원전 524년 5월에는 7일 동안 큰 바람이 불어 송나라를 포함하여 이웃한 네 나라 도성에 모두 화재가 발생했다. 정나라의 정치를 주도하고 있던 자산(子産)의 치밀한 대처로 불은 가까스로 잡았지만 그 피해는 엄청났다.
그런데 자산이 이 대화재를 빠르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던 것은 40년 전 자한의 경험이 절대적인 역할을 했다. 자한 때의 대화재는 기원전 564년 봄이었고, 송나라 도성에서 불이 시작되었다. 자한은 그 즉시 도성 안에서 일하는 관리들을 소집했다. 관리들과 그 소속 인원들과 함께 불이 아직 미치지 않은 구역의 작은 집은 철거하고 큰 집에는 불길이 퍼지지 않게 진흙 따위를 발라 불길을 차단하는데 온 힘을 기울였다. 아울러 흙을 비롯하여 물을 긷고 담을 수 있는 장비를 챙겨 인력의 상황에 근거하여 흙과 물을 비축했다. 이어 인원을 나누어 곳곳을 돌면서 불길과 잔불이 남아 있지 않은지 꼼꼼하게 살피게 했다.
관련된 관리들은 빠르게 성 안팎의 백성들을 소집하여 화재 현장으로 달려가게 했다. 불이 붙은 지역의 사람들은 모두 안전한 곳으로 피신시켰다. 동시에 치안을 책임지고 있는 사구(司寇)와 군대 및 궁정 사무관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맡은 바 일에 최선을 다하게 했다. 재난을 틈탄 범법행위와 소요를 막기 위해 치안을 강화하는 조치였다.
대화재에 대처한 자한은 말하자면 재난 대응 전문가의 면모를 잘 보여주었다. 이는 세계 소방의 역사에 길이 남을 사례라 할 수 있다.
약소국의 생존전략은?
자한은 청백리였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정치가였다. 예의 화재 대응에서도 보았다시피 그는 정확한 판단력과 결단력으로 재난의 피해를 최소화했다. 이런 그의 능력은 국제정세에 대한 정확한 통찰로도 입증되었다. 그와 관련한 사례를 살펴본다.
춘추시대는 제후국들 사이에 전쟁이 잦았다. 심지어 자고나면 나라 하나가 없어질 정도라는 말까지 남아 있을 정도였다. 이 때문에 전쟁을 멈추기 위한 외교 활동도 활발했다. 전쟁을 멈추기 위한 가장 큰 전제조건은 강대국의 동의 여부였다. 당시 양대 강국은 서북의 진(晉) 나라와 남방의 초(楚) 나라였다. 그리고 이 외교적 담판을 송나라가 맡았다.
송나라는 좌사(左師) 향수(向戍, 생졸 미상)를 책임자로 임명했다. 기원전 546년 향수의 사전 조율을 거쳐 진·초 두 강국이 화의에 동의했고, 이를 확정하기 위한 회맹이 송나라 도성에서 열렸다. 이 회맹을 ‘전쟁을 멈추기 위한 회맹’이란 뜻의 ‘미병지회(○兵之會)’라 한다. 두 강국을 포함하여 모두 14개국 대표가 모였고, 우선 진·초 두 강국을 맹주로 받들었다. 이어 맹약에 모두 서명했다. 맹약의 내용은 크게 다음 두 가지였다. 먼저, 진·초 두 나라는 군대 동원을 멈추고 재난을 복구하는데 힘을 쓴다. 다음으로 다른 제후국들은 진·초 두 나라에 일정한 양의 공물을 바친다.
당시 제후국들은 군주를 위협하는 경·대부의 세력이 크게 신장되어 내부 정쟁이 잇따랐다. 이 때문에 외부에 신경 쓸 겨를이 없었다. ‘미병지회’는 이런 상황에서 나온 고육지책이기도 했다. 공물을 바치는 쪽이 전쟁으로 입는 피해보다 훨씬 작았기 때문이다.
‘미병지회’ 이후 일시적으로 평화가 찾아왔다. 이 회맹을 성공적으로 이끈 향수는 자신의 공적에 들떠 평공에게 상을 달라고 요청했다. 평공도 향수의 공을 높이 평가하여 무려 60개의 읍을 상으로 내린다고 서명했다. 향수는 이를 자한에게 자랑했다. 그러나 자한의 생각은 전혀 달랐다.
자한은 군대란 적국을 위협하고 자기 나라를 안정시키는 힘이며, 난을 일으키는 것도 모두 싸울 줄 아는 군대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인식했다. 따라서 생존경쟁을 유지하는 무력을 없애자는 양수의 제안은 제후들을 속이는 행위에 불과한데 부끄러움도 모르고 상을 달라고 큰소리를 친다고 나무랐다. 그리고는 평공이 서명한 죽간의 글자를 칼로 모조리 긁어낸 다음 바닥에 내던졌다. 그러자 이에 불만을 품은 향수의 가신들이 나서 자한을 공격하려 했다. 현명한 향수는 이를 말리는 한편 자한이야말로 자신을 구한 큰 은인이라고 외쳤다.
자한은 약소국의 생존전략으로 평화도 중요하지만 그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는 적지만 강력한 군대가 먼저 필요하다는 정확한 인식을 갖고 있었다. 자한의 이런 인식이 옳았음은 그 후 국제정세가 생생하게 입증했다. ‘미병지회’로 중원이 그런대로 평화를 유지한 기간은 약 40년에 지나지 않았고, 그 후 전쟁은 더욱 격렬하게 진행되었다.
‘불탐(不貪)’으로 청렴을 지키다
자한은 춘추시대 귀족 계급에서도 가장 귀한 신분인 경(卿) 출신이었다. 이 신분은 군주 다음으로 귀했다. 자한은 이처럼 고귀한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도덕적 수양을 강조했고, 이는 청백리로서 그의 청렴함을 단단히 뒷받침했다. 《여씨춘추》에는 그가 얼마나 도덕적 수양에 신경을 썼는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전한다.
한번은 초나라 사신이 송나라를 방문했다. 자한은 사신을 자신의 집에서 접대했다. 자한의 집으로 가면서 사신은 “남쪽의 집들의 담장이 앞으로 튀어 나와 있고 또 구불구불했으며, 서쪽 집들이 있는 쪽의 물길이 자한의 집 앞을 흐르는” 것을 보았다. 사신은 이런 모습을 이해할 수 없어 자한에게 물었다. 자한은 이렇게 답했다.
“남쪽은 가죽신을 만드는 장인들이 3대에 걸쳐 살고 있기 때문에 그들을 다른 곳으로 이주하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들이 정착해서 생활하지 않으면 조나라에 필요한 가죽신을 구할 수 없습니다. 서쪽은 다른 집들은 지세가 높은 곳에 있고 저의 집은 낮습니다. 빗물은 당연히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저 때문에 억지로 물길을 다른 쪽으로 바꿀 수는 없지요.”
사신은 귀국하여 초왕에게 “송나라를 공격할 수 없습니다. 군주는 현명하고 재상 자한은 인자하여 인심을 얻고 있습니다. 송나라를 공격해도 얻는 바가 없을 것입니다”라고 보고했다.
청백리로서 그의 자세와 태도를 잘 보여주는 사례는 《춘추좌전》과 《설원》 그리고 《한비자》 <유로> 편에 전한다. 이 두 일화는 자한의 청렴함을 넘어 사물의 가치와 인간관계에 대한 깊은 성찰의 기회를 준다. 이 짧은 기록들을 모두 합쳐 정리하여 자한의 깊은 성찰과 공직자의 자세 등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송나라 사람이 아름다운 옥돌을 얻어 그것을 자한에게 주려 했으나 자한은 이를 거절했다. 그러자 옥돌 주인은 “제가 옥공에게 이 옥돌을 보였더니 귀한 보물이라고 하더이다. 그래서 이렇게 드리려고 하는 것입니다”라며 옥돌을 재차 자한에게 올렸다. 그러자 자한은 “저는 욕심 부리지 않는 ‘불탐(不貪)’을 보물로 생각하고, 그대는 옥을 보물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 옥돌을 제게 주면 우리 두 사람 모두 보물을 잃게 되는 것이니 각자의 보물을 지키느니만 못합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옥돌 주인은 머리를 조아리며 “소인이 이 옥돌을 가지고 고향으로 돌아가면 틀림없이 도적에게 해를 당할 것입니다. 그러니 이 옥돌을 드리고 죽음을 면하려는 것입니다”라고 애원했다. 자한은 그 옥돌을 자기 마을로 보내 옥공에게 잘 다듬게 한 다음 옥돌 주인에게 다시 돌려주어 좋은 값에 팔도록 했다. 옥돌 주인은 이렇게 해서 돈을 벌어 집으로 돌아갔다.
옥돌 주인은 옥을 귀한 보물로 여겨 자한에게 이 보물을 바치고자 했다. 그러나 자한은 ‘불탐’을 보물로 여긴다고 하여 보통 사람과는 다른 가치관을 드러내 보였다.
사물에 대한 사람들의 가치 판단은 두 방면에서 결정된다. 하나는 판단 대상의 객관적 속성이고, 다른 하나는 판단자의 주관적 필요성이다. 구체적 사물의 가치 크기에 대한 한 개인의 판단은 그 사물 자체의 속성을 보는 것으로 주관자의 필요성을 어느 정도 만족시킨다. 구체적 사물의 객관적 속성이란 것이 일반적으로 상대에 따라 변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관적 필요성은 사람마다 다 다르다. 따라서 같은 사물이라도 판단하는 사람에 따라 그 가치 크기는 달라질 수밖에 없다.
옥은 감상하거나 비싼 값에 팔 수 있는 속성을 갖고 있다. 보통 사람도 아름다운 것을 감상하거나 그것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으려고 하는 주관적 필요성을 갖고 있다. 이 두 가지 때문에 옥은 사람들 눈에 높은 가치를 가진 보물로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한 나라를 이끄는 지도자로서 자한의 주요한 관심은 다른 방면에 있었던 것 같다. 그러다 보니 아름다운 물건을 감상하고 그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는 등과 같은 주관적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약했다. 그렇기 때문에 자한에게 옥은 그다지 큰 가치를 가진 보물이 아니었다.
자한은 나라의 지도자이자 공직자로서 청렴이란 명성을 가장 얻고 싶었는지 모른다. 그래서 ‘불탐’을 하나의 행동 지표로 삼아 자신의 주관적 필요성을 만족시켜 했을 것이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서 최고로 값나가는 보물은 남들이 다 귀하게 여기는 옥이 아니라 ‘불탐’이었다.
물론 자한에게 있어서 옥이 전혀 값어치 없는 물건은 아니었을 것이다. 다만 옥의 가치와 ‘불탐’의 가치는 비교가 될 수 없었다. 자한은 자신의 보물을 이 하찮은 것과 바꿀 생각이 없었고, 그래서 옥을 바치려는 사람의 성의를 거절함으로써 자신의 ‘불탐’을 지키려 했다. ‘불탐’은 눈에 보이거나 만질 수 있는 유형의 물건이 아니다. 따라서 자한이 옥을 받지 않음으로써 무엇을 지켰는지 기록에는 남아 있지 않다. 그가 옥을 받았더라도 그 대가로 무엇을 지불했는지도 볼 수 없다. 말 그대로 ‘받은 것인지 안 받은 것인지’ 보통 사람으로는 이해할 수 없다.
사실 ‘불탐’이 대표하는 것은 관리로서 갖추어야 할 품격과 자세다. 만질 수 없고, 사고 팔 수도 없지만 분명히 존재한다. 총명하고 지혜롭고 청렴한 사람만이 이를 인식하고 파악하고 소중하게 여길 수 있다.
거절당한 옥돌 주인은 옥돌을 바치는 까닭이 죽음을 면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이는 확실히 ‘귀한 물건이 화를 불러온다’는 사회적 통념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옥돌 주인은 화를 피하기 위해 하필이면 자한에게 옥돌을 바치려 했을까? 아마 자한의 인품을 평소 존경했기 때문에 그랬던 것 아닐까? 그러니 자한이 이 옥돌을 받았더라면 자한에 대한 옥돌 주인의 존경심을 잃었을 것이다. 옥돌 주인의 ‘죽음을 면키 위해서’라는 말은 어쩌면 예물을 드리려는 사람이 마지막으로 내놓은 부탁이었는지 모른다. 그런데 이것이 공교롭게도 자한이 상대에게 은혜를 베풀 수 있는 기가 막히게 좋은 기회를 주었다. 자한은 옥돌을 잘 가공해서 돈으로 바꾸게 해줌으로써 부와 인정을 옥돌 주인에게 함께 딸려 보냈다.
이렇게 자한은 그 청렴함은 물론 지혜까지 갖춘 보기 드문 청백리로서 그 이름을 역사에 남기고 있다. 세속의 물건이나 돈 따위를 탐내지 않는 ‘불탐’은 청렴을 지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자세라 할 수 있다. 이 자세는 공직자가 가지고 있거나 지키고자 하는 가치관이 어디에 있는가와 직결된다. 고귀한 가치관을 추구하느냐 세속적인 가치관을 탐하느냐에 따라 청백리와 탐관오리가 갈라진다.
김영수 (사)사마천학회 이사장
본문 한자 속 ‘○’표시는 신문제작시스템에 없는 글자임을 표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