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민·군공항 통합공항 이전의 플랜B 가동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탄핵 정국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는 논의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강기정 광주시장이 ‘원점에서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는 취지의 발언이 알려지면서 플랜 B가동도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공항 이전에 뭔가 새로운 구상이 필요한 시점인 것이다.
광주시는 그간 공항 이전 문제를 풀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무안군의 협조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지지부진한 상태였다. 시·도와 무안군이 참여한 3자회담에서도 풀리지 않았고 민주당 상생발전 TF, 범정부협의체 등의 노력도 허사였다. 여기에 탄핵정국과 제주항공 참사라는 예기치 않은 사고가 겹쳐지면서 현재는 개점휴업 상태다.
탄핵 정국은 광주시 최대 역점 사업중 하나인 군공항 이전사업에 새로운 난기류를 조성했고 대형 항공 참사는 이전 사업 자체를 엉클어지게 했다. 한참 분위기를 타려던 참에 터진 사고 여파는 무안공항의 미래를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공항이 언제 재개항 할지조차 예단키 어렵다. 그러니 이전 논의가 다시 재개될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설령 무안 공항이 재개항 되더라도 난제는 수두룩하다. 승객들이 무안공항 안전을 문제 삼아 공항 이용을 기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광주시민들도 예외일 수 없다. 그런 이유로 광주공항을 무안으로 이전해야 하느냐는 새로운 의문이 조성되기 시작했다. 안전 문제는 쉬쉬한다고 넘어갈 사안이 아니어서 문제가 심각하다.
오는 15일이면 여객기 참사 49재다. 희생자와 유가족들을 두고 이전 문제를 대놓고 말하기도 조심스럽다. 그렇다고 마냥 뒤로 미룰 수도 없는 딱한 처지다. 이런 상황에서 강 시장이 “이전 자체를 무산시키기보다 국제선 취항을 통한 광주공항 존치”를 거론 한 것은 현실론에 무게를 둔 것으로 이해한다. 시민 불안과 관광업계 피해 등을 최소화 하기위해서라도 창의적 플랜 B는 필요하다. 거듭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면서 꼬인 실타래가 풀렸으면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