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남도교육감 본보 인터뷰
“기존 교육과정 실패…역할 재정립 준비중”
“국제고 전환·혁신도시 이전 의미는 아냐”

김대중 전남도교육감
김대중 전남도교육감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은 나주 소재 전남외국어고등학교를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명문고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교육감은 13일 본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올해 전남외고 새 비전을 발표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교육감은 “기존 교육과정 특목고로서 실패했다. 이 학교를 어떻게 재정립할지 현재 준비 중”이라며 “학생들이 미래 글로벌 리더로 진출하고 이에 적합한 자질을 갖추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같은 미래교육 구상과 관련 “학생 주도형 교육프로그램으로 사고력과 창의력을 키우는 ‘IB(국제 바칼로레아)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이미 전남외고에서 이 과정을 도입해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김 교육감은 전남외고의 명문고 비전안이 과거 이 학교의 국제고 전환이나 나주혁신도시 이전안 등과는 차원이 다르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의 학교 위치에서 교육프로그램을 미래교육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외국 글로벌 대학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학생으로 성장해 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명문이라고 하는 것이 학생을 좋은 대학에도 보내야 하지만 미래교육을 선도하는 곳”이라고 부연했다.

 김 교육감의 미래교육은 ‘글로컬교육’으로 통하며 그의 트레이드마크로 자리잡았다.

 그는 “글로컬교육은 교육의 대전환이고, 이는 ‘교육이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라며 “철학적으로 공생과 독서 인문교육에 중점을 두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김 교육감은 “가장 지역적인 것과 글로벌한 것의 융복합이 공생의 글로컬교육이 탄생한 배경이고 정수”라며 “지난해 5월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를 개최해 ‘전남교육이 하면 세계에서도 통한다’는 자부심을 느끼게 했고 글로컬교육의 표준을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이어 “올해 전남교육은 시대적 과제인 공생의 글로컬교육을 차질 없이 추진해 학생의 인간다운 품성과 공동체 의식을 길러주고 교육가족에게 희망의 길을 제시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김 교육감은 “‘공부하는 학교’란 교육의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지역의 현실을 강점으로 살려내 아이들을 세계 속의 미래인재로 키워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래 계획과 포부에 대해 “지금 수도권으로 모든 게 집중되고 있다. 교육만큼은 이곳과 격차를 줄이려 한다”며 “서울로 가지 않더라도 절대 뒤지지 않는 교육시스템을 만들어내고 싶다”고 말했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