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현장 신뢰성 저해…근본적 제도 개선해야”
도교육청 부서 책임자 동시 부재 근무태만 지적도

최정훈 전남도의원. 전남도의회 제공
최정훈 전남도의원. 전남도의회 제공

전남 교원의 실제 거주지와 주민등록상 주소가 일치하지 않는 사례가 많아 전남교육 현장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다수의 전남도교육청 부서 책임자가 부재하는 현상이 발생해 근무 태만이란 비판 목소리도 나왔다.

18일 전남도의회에 따르면 최정훈 도의원(더불어민주당·목포4)은 최근 임시회 전남도교육청 업무보고에서 전남 교원의 실제 거주지와 주민등록상 주소 불일치 문제를 제기했다.

최 의원은 “작년 행정사무감사에서 전남 공립학교 교원의 광주 출퇴근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며 “공립학교 교원 중 17.4%가 광주에서 출퇴근하고 있는데, 주민등록상 주소가 광주로 등록된 교원은 14.5%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어 “일부 교원이 인사상 이익을 고려해 실제 광주에서 거주하면서 전남에 주민등록지를 두는 이기적인 행위가 전남교육 행정의 신뢰성을 저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최 의원은 “예를 들면 담양 초등 교원의 광주 출퇴근 비율은 85%에 달하지만, 주민등록상 주소가 광주로 등록된 비율은 45%에 불과하다”며 “이런 주소 불일치 현상에 대한 근본적 원인 분석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최 의원은 설 연휴 전날 다수 부서의 책임자가 부재한 상황에 대한 언론 보도를 거론하며 근무 태만을 지적했다.

그는 “긴급 상황 발생 시 책임과 권한이 없는 하위직만 있는 경우에는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며 “각 부서에서 책임질 수 있는 의사결정권자가 남아 책임의식을 느끼고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원들의 실제 거주지와 주소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고 인사제도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또 부서 책임자들이 근무 현장에서 상시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정진탄 기자 chchtan@gjdream.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