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대학에 5년간 1000억 원이 지원되는 ‘글로컬 30’사업에 지역 대학들이 총력전에 돌입했다. 다음달 말일까지 혁신기획서 제출을 앞두고 광주· 전남 대학들이 자존심을 건 마지막 승부를 벼르고 있는 것이다.

 광주·전남 대학들의 글로컬 선정 결과는 기대와는 거리가 멀었다. 나름대로 합종연횡을 택해 최선을 다했지만 기대보다 초라한 성적에 머물렀다. 광주에서는 선정대학이 한곳도 없었다. 전남에서 순천대와 목포대가 이름을 올려 그나마 체면을 세웠다. 전남대가 본지정에서 연거푸 쓴맛을 봤고 대규모 연합작전을 펼친 조선대를 비롯한 사립대들도 대거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그에 따른 후유증도 적지 않았다.

 많은 대학 관계자들은 올해가 마지막 기회로 여기고 있다. 그런 이유로 저마다 혁신안을 들고 마지막 일지 모르는 기회를 잡기 위해 총력전 태세로 나서는 모습이다. 전남대는 예비 지정 인센티브를 받았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여타 대학들과 동일 선상 경쟁을 펼쳐야 할 처지다. 대표 사학 조선대는 5+2라는 물량전이 실패하자 산하 조선간호대와 이공대와의 연합 작전으로 승부를 걸 계획이다. 광주대·남부대·호남대 등도 연합이라는 히든카드로 무장해 기대를 모은다.

 그렇지 않아도 지역 대학들은 학령 인구 감소와 신입생 미달 사태라는 겹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글로컬 대학 선정에 목을 메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한 푼이 아쉬운 상황에서 1000억 원의 지원금은 놓칠 수 없는 기회다. 이번이 마지막 승부라는 각오로 최대한의 아이디어와 혁신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으면 한다.

 강조하건대 구태의연한 혁신안은 곤란하다. 형식적 대응으로 지난해 같은 낭패를 반복해서는 안 될 것이다. 달라진 환경에 대비해 철저한 준비로 혁신과 규모로 승부하는 것이 최선이다. 특히 전남대는 예비 지정을 통과하고도 본 지정에 실패했던 지난 사례를 반복하지 않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사립대들도 지난번 실패를 거울삼기 바란다. 진인사대천명의 자세로 좋은 결과가 나오길 기대한다. 지역민과 함께 결과를 지켜보고자 한다. 기회는 자주 오는 것이 아니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