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 기자회견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가 발생한 지 14년이 된 날이다, 이날 ‘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은 5·18 민주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탈핵과 에너지 전환을 촉구했다.
12일 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에 따르면 이날 단체는 △한빛 1·2호기 폐쇄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건식저장시설 건설 절차 중단 △탈핵 및 에너지 민주주의 실현을 요구했다.
광주전남행동은 기자회견에서 “후쿠시마 사고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일본은 880톤에 달하는 녹아내린 핵연료를 회수하지 못하고 있고, 방사능 오염수 해양 투기로 환경 오염이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러한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한국 역시 탈핵의 길을 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영광 한빛핵발전소의 노후화 문제를 강하게 비판했다. “한빛 1·2호기는 2024년과 2025년 설계수명이 만료됨에도 불구하고,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수명 연장 절차를 강행하고 있다”며 “방사선환경영향평가의 미흡, 주민 보호 대책 부족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음에도 정부와 한수원은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최근 정부가 발표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윤석열 정부는 노후 원전 10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소형모듈원전(SMR) 포함 신규 원전 6기를 추가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확정했다”며 “이는 재생에너지 확대라는 세계적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호남권 송전망이 포화되었다는 이유로 신규 재생에너지 개통이 중지된 상태”라며 “하지만 이는 핵발전과 석탄발전을 유지하려는 정책적 결정일 뿐,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적극적 노력이 부족하다”고 광주·전남 지역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후퇴를 겨냥했다.
한빛핵발전소 내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 문제도 언급했다. “현재 습식 저장고의 포화율이 81.5%에 이르고 있으며, 2030년이면 완전히 가득 찰 예정”이라며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빛핵발전소 부지 내 건식 저장시설을 건설하려 하지만, 이는 지역 주민들에게 일방적으로 부담을 전가하는 것”이라고 성토했다.
끝으로 “우리는 후쿠시마 사고에서 배워야 한다”며 “핵발전소 사고는 되돌릴 수 없는 재앙을 초래하며, 지역 주민과 미래 세대에게 끝없는 희생을 강요한다. 이제라도 탈핵을 앞당겨야 한다”고 덧붙였다.
채정희 기자 goodi@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