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호세 변호사 내·외국인 생활법률]

문호세 변호사.
문호세 변호사.

문호세 변호사는 2013년 제2회 변호사 시험에 합격해 변호사로 활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은 변호사 문호세 법률사무소를 운영하면서 광주광역시 동부교육청 학교폭력위원회 심의위원, 광주광역시 정보공개심의위원 등 지역에서의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수년간 변호사로 일하며 여러 국적의 의뢰인을 만나오면서 우리 지역의 이주민들이 적절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함을 느껴왔습니다. 비단 노동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다른 언어로 인해 많은 오해와 불편을 겪는 것을 보며 그들이 낯선 곳에 안전하게 정착하고,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 싶어서 칼럼을 연재합니다.

Lawyer Moon Ho-se passed the second bar examination in 2013 and began working as a lawyer. Currently, she runs a lawyer Moon Ho-se law office and continues her activities in the region, deliberation committee member of the School Violence Committee of Gwang-ju Eastern Educational Office, and a deliberation committee on information disclosure in Gwangju. Seeing many misunderstandings and inconveniences not only in the labor field but also in daily life due to different languages, I wanted to help them settle down safely and live a stable life in a strange place, so I decided to start this column.

 -배우자의 반복적인 가정폭력으로 도저히 함께 살 수 없어서 집을 나왔습니다. 저를 찾을 수 없는 곳으로 떠나 지내고 싶지만 주민등록 등본이나 초본을 발급받아 제가 사는 곳을 알아낼까 봐 두렵습니다. 가정폭력 가해자가 피해자의 주소를 알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나요.

 △주민등록법에 따라 배우자나 직계혈족은 본인의 동의가 없더라도 주민등록등·초본을 발급받아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우자로부터 가정폭력을 입은 피해자가 가해자를 피해 다른 곳으로 이사하더라도 배우자는 주민등록 초본을 발급받아 변경된 주소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피해자는 가해자에 의한 2차 가해의 두려움을 안고 지내야 합니다.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정폭력 피해자는 관할기관에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주민등록표의 열람 또는 등·초본의 교부를 제한하도록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가해자가 더 이상 피해자의 주소지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조치입니다.

 배우자(사실혼 배우자 포함)나 배우자였던 사람, 자기 또는 배우자의 부모나 자녀 등으로부터 폭행·상해·학대·공갈이나 재물 손괴·강간 등과 같은 가정폭력피해를 입은 사람(가정폭력 피해자)은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가정폭력 가해자가 피해자 등의 주민등록표 열람을 하지 못하게 하거나 등·초본의 교부를 제한하도록 신청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표의 열람 및 교부 제한을 신청하는 사람은 신분증·신청서와 함께 가정폭력의 유형에 따라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증거자료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가정폭력 관련 상담소의 장 또는 긴급전화센터의 장이 발급한 상담사실 확인서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 입소확인서 또는 긴급피난처 입소확인서 △성폭력 피해 상담소의 장 등이 발급한 상담사실 확인서 △지역노인보호전문기관의 장이 발급한 상담사실 확인서 △검찰 고소·고발사건 결정 결과 통지서 △경찰 수사 결과 통지서 △확정된 법원 판결문 사본 등(주민등록법 시행규칙 제13조의 2).

 그런데 위와 같은 주민등록표 열람 및 교부 제한을 신청하더라도 가해자가 피해자에 대하여 민사소송 등을 제기하면 법원으로부터 주소보정 명령을 받아 피해자의 주민등록초본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소송절차에 의한 주소노출을 막고자 하는 경우 전자소송 사전포괄동의를 신청하여 신청인에 대하여 제기된 소송의 서류가 모두 온라인으로 전자 송달되므로 소송을 통한 주소지 노출을 피할 수 있습니다. 사전포괄동의는 전자소송포털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최대 1년간 신청인에 대하여 제기되는 소송의 서류를 전자로 송달받을 수 있습니다.

 문의 062-571-7001.

 문호세 (변호사) lawmoonhs@naver.com

 Q) I left home because I could no longer live with my spouse due to repeated domestic violence. I want to move somewhere he cannot find me, but I am afraid he might obtain my address by requesting a copy of my resident registration certificate. Is there a way to prevent the perpetrator from finding out my address?

 A) Under the Resident Registration Act, a spouse or direct family member can obtain a copy of your resident registration certificate without your consent. This means that even if a victim of domestic violence moves to a different location to escape the abuser, the spouse can still obtain a resident registration document and find out the new address, exposing the victim to the risk of further harm.

 To prevent this problem, domestic violence victims can request the relevant authorities to restrict the perpetrator's access to their resident registration records. This measure prevents the abuser from confirming the victim's address.

 Victims of domestic violence-including those abused by a spouse (including spouse of de facto marriage), former spouses, or their own or their spouse’s parents or children can apply to the mayor, county governor, or district head to restrict the perpetrator from accessing or obtaining copies of their resident registration records.

 To apply for this restriction, the victim must submit an identification document, an application form, and one of the following pieces of evid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domestic violence:

 A certificate of counseling issued by the head of a domestic violence counseling center or emergency hotline center. A confirmation of admission to a domestic violence victim shelter or emergency refuge. A counseling certificate issued by the head of a sexual violence counseling center.

 A counseling certificate issued by the head of a local elderly protection agency. A notification of the decision on a complaint or accusation issued by the prosecution. A notification of investigation results issued by the police. A certified copy of a finalized court ruling, etc.

 (Resident Registration Act Enforcement Rules, Article 13-2)

 However, even if such a restriction is in place, the abuser may still be able to access the victim’s resident registration records through the court if they file a civil lawsuit against the victim. The court can issue an order requiring the victim to provide their updated address.

 To prevent address disclosure through litigation, victims can apply for comprehensive prior consent for electronic litigation (전자소송 사전포괄동의). This ensures that all legal documents related to any lawsuit filed against the applicant are delivered electronically, preventing the disclosure of their address through the court process. This application can be made through the electronic litigation portal, and the consent remains valid for up to one year. ☎062-571-7001.

 Moon Ho-se (lawyer). lawmoonhs@naver.com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