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국에 발목 잡힌 광주·전남의 주요 현안 사업들을 대선 공약으로 되살리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에서 새 정부 대선 공약으로 못 박아 기사회생 하려는 노력인 것이다.

 대통령 공약 개발 내용을 보면 광주시의 경우 30년 숙원 사업 ‘군공항 이전’을 필두로 15대 과제, 40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전남도는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국립의대 신설’을 최대 역점 사업으로 내세운 20대 과제, 75개 사업으로 구성 했다. 시국이 어수선해지면서 풀지 못한 과제를 두 달 후 출발하는 새 정부에서 기사 회생시키려는 공약 개발로 눈길을 끈다.

 광주·전남 대선 공약에는 광주와 전남의 미래 먹거리 사업들이 대부분 포함됐다. 광주시의 경우 5·18 헌법 전문 수록, 인공지능 중심도시 구축, 달빛철도 건설 등 해묵은 역점사업들을 총 망라하고 있다. 전남도는 석유-철강사업 대전환 메가프로젝트, 솔라시도 AI 슈퍼 클러스터 허브 구축 등을 2, 3호 공약으로 포함시켜 윤석열 시대 못 이뤘던 전남 발전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할 태세여서 기대를 부풀린다.

 지난해 말 느닷없는 계엄으로 지역의 모든 현안 사업이 올스톱 상태다. 이번 대선 공약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업들이 대거 포함돼 새로운 각오를 엿볼 수 있다.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새 정부에서 최우선 사업으로 밀어붙이길 기대한다. 무엇보다 광주시의 ‘군공항 이전 사업’이나 전남도의 ‘국립의대 신설’은 더 늦출 수 없는 사업들이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 전광석화 같은 추진력을 기대 하는 바다.

 기대도 크지만 우려도 남는다. 광주·전남 대선 공약 개발 내용은 지역 미래 발전의 종합판이라 할 수 있다. 공약은 실패한 윤석열 정부처럼 말만 번지르르 해서는 곤란하다. 공약이 공약(空約)이 돼서는 곤란하다는 얘기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 바로 추진이 가능하도록 사업 주체마다 준비 태세부터 완벽히 갖춰 놓아야 한다. 지금은 엄중한 경제 위기 국면이다. 무슨 사업이든 속도전이 생명인 시대다.

[드림 콕!]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드림투데이(옛 광주드림)를 구독하세요

저작권자 © 드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